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단종(端宗)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B2E8C885FFFFB1441X0
이명(異名)이홍위(李弘暐)
생년1441(세종 23)
졸년1457(세조 3)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
현덕왕후(顯德王后)
정순왕후(定順王后)
처부송현수(宋玹壽)

[상세내용]

단종(端宗)
1441년(세종 23)∼1457년(세조 3). 조선 제6대왕. 재위 1453년∼1455년.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홍위(李弘暐).

부친은 문종이며, 모친은 현덕왕후(顯德王后) 권씨(權氏), 비는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宋氏)이다.
1. 등극당시 상황
1448년(세종 30) 8세 때 의정부의 청으로 왕세손에 책봉되고, 1450년 문종이 즉위하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이해 문종이 왕세자를 위하여 처음으로 서연을 열고 사(師)‧빈(賓)들과 상견례를 행할 때, 좌빈객 이개(李塏)우사경 유성원(柳誠源)에게 왕세자의 지도를 간곡히 부탁하였다.

1452년 5월 문종이 재위 2년 만에 경복궁 천추전(千秋殿)에서 죽자 근정전(勤政殿)에서 즉위하였다. 즉위에 즈음하여 나이가 어려 정치하는 일에 어두우니 모든 조처는 의정부와 육조가 서로 의논하여 시행할 것과, 승정원은 왕명출납을 맡고 있으므로 신하들의 사사일은 보고하지 말도록 교서를 내렸다.

문종의 고명을 받은 영의정 황보 인(皇甫仁), 좌의정 남지(南智), 우의정 김종서(金宗瑞) 등이 측근에서 보좌하고, 집현전학사출신인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하위지(河緯地)신숙주(申叔舟)이개유성원 등은 지난날 집현전에서 세종으로부터 보호를 부탁받았으므로 이들이 측근에서 협찬하였다.

이해 윤9월, 저녁 강의에서 『논어』를 강론할 때 왕이 ‘사무사(思無邪)’라는 문구의 뜻을 묻자 박팽년은 “생각하는 바가 간사함이 없는 마음이 바름을 이른 것이며, 마음이 바르게 되면 일마다 바르게 되는 것”이라 대답하였다.

10월 박팽년집현전부제학으로 삼았는데, 그의 학문이 정밀, 심오하여 경연에 강의할 때마다 자신의 배움에 깨달은 바가 많았으므로, 특별히 통정대부에 가자시켜 임명하였던 것이다.

이해 고려의 개국공신 배현경(裵玄慶)홍유(洪儒)복지겸(卜智謙)신숭겸(申崇謙)과, 유금필(庾黔弼)서희(徐熙)강감찬(姜邯贊)윤관(尹瓘)김부식(金富軾)조충(趙沖)김취려(金就礪)김방경(金方慶)안우(安祐)김득배(金得培)이방실(李芳實)정몽주(鄭夢周) 등을 왕씨(王氏) 묘정(廟庭)에 종사(從祀)하도록 하였다.
2. 수양대군의 권력찬탈
1453년(단종 1) 4월경회루에 나가서 유생들을 친히 시험 보이고, 또 모화관에 가서 무과를 베풀었는데 권언(權躽) 등 40명이 뽑혔다. 온성함흥의 두 고을에 성을 쌓고, 나난(羅暖)무산(茂山)의 두 성보(城堡)를 설치하였다.

악학제조 박연(朴堧)세종『어제악보(御製樂譜)』를 인쇄, 반포하기를 청하니, 왕이 이를 허가하였다. 왕이 대신 황보 인김종서정분(鄭苯) 등을 불러 그들에게 자문하여 박중림(朴仲林)대사헌에 임명하였다. 이해 10월 작은아버지인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정권을 빼앗고자 자기 측근인 권람(權擥)한명회(韓明澮)의 계책에 따라 무사를 거느리고 가서 좌의정 김종서는 그의 집에서 죽이고, 영의정 황보 인, 병조판서 조극관(趙克寬), 이조판서 민신(閔伸), 우찬성 이양(李穰) 등은 대궐에 불러와서 죽였다. 이들의 죄명은 작은아버지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을 추대하여 종사를 위태롭게 하였다는 것이다.

갑자기 일어난 일이므로 일의 옳고 그름을 가리기도 전에 정권은 수양대군에게 돌아가게 되었다. 일이 이렇게 되자, 어쩔 수 없이 그들의 요구에 따라 수양대군영의정으로 삼아 군국의 중대한 일을 모두 위임시켜 처리하게 하였다.

또, 당시 거사에 참가한 사람들을 정난공신(靖難功臣)으로 인정하여 모두 공신의 칭호를 주기까지 하였다. 그리고 그들이 지칭한 난리의 장본인인 안평대군과 그 아들 이우직(李友直)은 조신들의 주청에 의하여 강화교동현(喬桐縣)에 이치(移置)되었다가 안평대군은 사사되고 이우직진도로 옮겨 안치되었다.

이 일련의 조처는 왕의 의사가 무시된 집권자인 수양대군의 주변인물들에 의하여 결정된 것이다. 이해 하위지좌사간, 성삼문우사간, 이개집의, 유응부평안도도절제사로 각각 임명하였다.
3. 수양대군의 집권과 단종의 폐위
정치의 실권을 잡게 된 수양대군은 지방에도 자기 세력을 심기 위하여 지방관을 교체시키던 중 이징옥(李澄玉)의 난을 겪기도 하였다.

한편, 양성지(梁誠之)로 하여금 『조선도도(朝鮮都圖)』『팔도각도(八道各圖)』를 편찬하게 하였다.

1454년 정월 송현수(宋玹壽)의 딸을 맞이하여 왕비로 삼았다. 이 달에 직집현전 양성지『황극치평도(皇極治平圖)』를 찬진하고, 3월 춘추관에서 『세종실록』을 찬진하였다.

5월 좌승지 박팽년이 경연에서 왕에게 안일과 태만을 경계하도록 진언하였는데, 이는 왕이 대궐 안에서 자주 활쏘기를 구경하면서 경연을 여려 차례 정지시켰기 때문이었다.

8월 각 도의 관찰사에게 유시하여 효자(孝子)‧순손(順孫)‧의부(義夫)‧절부(節婦)와 공평, 청렴하고 현저히 공적이 있는 수령을 상세히 기록하여 알리도록 하였는데, 이는 그들을 발탁, 등용하여 권장하기 위해서이었다. 보루각(報漏閣)을 수리하고 『고려사』를 인쇄, 반포하였다.

12월 각 도의 관찰사에게 유시하여, 둔전(屯田)설치계획을 수립하여 알리도록 하였다.

1455년 윤6월 수양대군이 조정의 제신들과 의논하여 왕의 측근인 금성대군(錦城大君) 이하의 여러 종친‧궁인 및 신하들을 모두 죄인으로 몰아 각 지방에 유배시키기를 청하자, 하는 수 없이 그대로 따랐다. 이러한 급박한 주변정세에 단종은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마침내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는, 상왕(上王)이 되어 수강궁(壽康宮)으로 옮겨 살았다.

1456년(세조 2) 6월 상왕을 복위시키려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복위사건의 주동인물은 지난날 집현전학사 출신인 몇몇 문신과 성승(成勝)유응부(兪應孚) 등 무신들이었다. 이들은 세종문종에게 특별한 은혜를 입었으며, 또 원손(元孫: 端宗)을 보호해달라는 간곡한 부탁을 받았으므로 어린 상왕을 복위시키는 것은, 곧 이들의 국가에 대한 충성이며 선비의 행할 의무이기도 하였다.

이때 마침 명나라 사신을 창덕궁에 초대하여 연회하는 날, 그 자리에서 세조를 죽이고 측근 세력도 제거한 뒤 단종을 복위시키려 하였으나, 그 계획이 실행되기도 전에 동모자인 김질(金礩)의 고발에 의하여 결국 실패하고, 이 사건의 주동인물 중 많은 사람이 사형을 받게 되었다.

단종은 이 사건이 있은 뒤 더욱 불안을 느끼고 있었는데, 조신 가운데 상왕도 이 사건에 관련되었다는 이유로 서울에서 내쫓자는 주청이 있자, 1457년 6월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되어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 영월에서 유폐생활을 하는 동안, 매양 관풍매죽루(觀風梅竹樓)에 올라 시를 지어 울적한 회포를 달래기도 하였다.

이해 9월 경상도 순흥에 유배되었던 노산군의 작은아버지인 금성대군(錦城大君)이 다시 복위를 계획하다가 발각되어, 다시 노산군에서 서인으로 강봉되었다가 10월 마침내 죽음을 당하였다.

1681년(숙종 7)에 노산대군으로 추봉되고, 1698년 전 현감 신규(申奎)의 상소에 의하여 복위시키기로 결정되었다. 시호를 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敦孝大王)으로, 묘호를 단종으로 추증하고, 능호(陵號)를 장릉(莊陵)이라 하였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成宗實錄
仁宗實錄
宣祖實錄
肅宗實錄
英祖實錄
正祖實錄
純祖實錄
莊陵誌
璿源系譜

[집필자]

이재호(李載浩)

능호 : "장릉(莊陵)"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3魯山君十月二十四日昇遐于寧越在位三年在上王位二年春秋十七肅宗七年辛酉追封大君二十四年戊寅追復位無嗣 莊陵寧越北冬乙旨辛坐妃懿德端良齊敬定順王后宋氏籍礪山判敦寧府事礪良君贈領敦府事礪良府院君玹壽女 世宗二十
紀年便攷v7池其敏給如此在集賢殿被世宗殊遇文宗與之為布衣交世祖受禪以禮房豕㫖抱國壐痛哭世祖方俯伏謙譲舉頭諦視之及莊陵廢朴彭年欲墜慶會楼也三問止之曰徒死無補遂協謀圖復上王丙子事泄被禍闔門皆死時年三十九臨載車顧旧僚曰若等
紀年便攷v7殿牌錦城曰吾君在寧越遂北向痛哭四拜就死位飮藥不絶遂縊而卒年三十一英祖戊午因後孫訴寃始伸雪復爵謚貞愍享莊陵忠臣上壇六宗英位
紀年便攷v7瑔漢南君同母弟朴彭年婿號醉琴軒似無翁婿同號之理世祖受禪後或乙亥或丁丑未詳與母及兄同被禍肅宗朝伸雪配食莊陵忠臣上壇賜謚貞烈正祖朝判付本洞設壇
紀年便攷v7臨東望與妻灌園藝圃取蔬果納空匏沉于江達于浦上王上賓服三年制畢乃歸于原州霧巷閉户不接人面㘴必東向盖以 莊陵在舊居之東也世祖以户曹參議召之以死自誓不應命平生詩文付之火戒子孫勿習舉業 端宗復位後因崔錫鼎建白旌閭
紀年便攷v7武科以世宗守陵官躐陞正一品官止右賛成端宗癸酉與三相臣殉節一門十六人同禍肅宗戊寅并伸雪 英宗辛亥配食 莊陵忠臣上壇六宗英位贈河寧君 當宁庚戌贈謚忠愍子承胤字長之端宗癸酉生進俱中同年文科官止獻納癸酉同禍追封礪
紀年便攷v7宗英位贈河寧君 當宁庚戌贈謚忠愍子承胤字長之端宗癸酉生進俱中同年文科官止獻納癸酉同禍追封礪陽君配食 莊陵忠臣中壇子承孝癸酉同禍追封礪平君配食 莊陵忠臣中壇承胤子繼祖紹祖將軍甲戌并被禍配食莊陵忠臣中壇穰姪承
紀年便攷v7封礪陽君配食 莊陵忠臣中壇子承孝癸酉同禍追封礪平君配食 莊陵忠臣中壇承胤子繼祖紹祖將軍甲戌并被禍配食莊陵忠臣中壇穰姪承老生進俱中官止部令癸酉被禍追封順昌君配食 莊陵忠臣中壇
紀年便攷v7忠臣中壇承胤子繼祖紹祖將軍甲戌并被禍配食莊陵忠臣中壇穰姪承老生進俱中官止部令癸酉被禍追封順昌君配食 莊陵忠臣中壇
紀年便攷v7齡外孫號坡西官止吏議與安平大君交遊端宗甲戌賜死于固城謫所正祖朝享三相祠公州蓼塘辛亥追錄死事諸臣設壇於莊陵而并享純祖辛卯贈吏參弘提子銘字警之號仁村世宗朝年十六登文科官止兵曺正郞以文學称為兵郞時曺失軍簿郞吏皆
紀年便攷v7是今之珠邱也邑人傳以為興道先塋內興道墓亦在焉封陵後始移府南八溪里云肅宗乙丑配享六臣彰節祠置守塜二人 莊陵復位時贈工佐英祖甲子因嚴從漢上言旌閭於清州己卯命移于越癸亥加贈工議戊寅莊陵復位回甲加贈工參甞教曰拚死
紀年便攷v7配享六臣彰節祠置守塜二人 莊陵復位時贈工佐英祖甲子因嚴從漢上言旌閭於清州己卯命移于越癸亥加贈工議戊寅莊陵復位回甲加贈工參甞教曰拚死奮義戮力於終事之地惟嚴戶長一人純祖丙子加贈工判謚忠毅
紀年便攷v7趙清老狷孫官止司僕寺少尹以端宗姨母夫與六臣同時被禍配享于 莊陵忠臣壇
紀年便攷v17室李氏宗室女名媛號玉峯能詩有之集過魯陵詩曰五日長干三日越哀歌聽㫁魯陵雲妾身亦是王孫女此地䳌聲不忍聞 莊陵誌載之如江㴠鷗夢濶天入鴈愁長者可謂絶唱又賦即事曰柳外江頭五馬嘶半醒半醉下樓時春紅欲瘦臨粧鏡試畵梅窓却
紀年便攷v27生願歡欣我獨長封陵都監都提調崔錫鼎言思陵陵內鄭家請塜己過累百年依貞陵內舊塜不為掘移之例特許仍存上従之莊陵內六臣祠宇移建於龍虒內閒曠䖏金昌協曰南相獻議不但持難全無惻怛顧藉之意其狠愎不仁可見矣
紀年便攷v27光廟本意而其源由於六臣六臣旣褒其忠節則今兹追復益有光於光廟之盛德也十一月追上魯山大君廟號曰端宗陵號曰莊陵追尊魯山夫人宋氏曰定順王后陵號曰思陵上奉神主詣太廟躋附于永寧殿時魯山曁夫人神主在故叅判鄭重徽家以重徽
紀年便攷v29□□進士泰亨后肅宗丁巳生字公舉號巍巖又秋月軒權尙夏門人與尹焜相居隔一川尹西李東故相呼以泉西泉東己丑薦莊陵參奉後六年為諮議有以年少者覆難者至丙申再除歷懷徳忠清都事兼海運判官歷翊衛選經筵官事親至孝學識通邁志操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