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숙주(申叔舟)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0C219C8FCB1417X0
자(字)범옹(泛翁)
호(號)희현당(希賢堂)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417(태종 17)
졸년1475(성종 6)
시대조선전기
본관고령(高靈)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신장(申檣)
외조부정유(鄭有)
저서『보한재집』
공신호수충협책정난공신(輸忠協策靖難功臣)
공신호동덕좌익공신(同德佐翼功臣)
공신호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輸忠保社炳幾定難翊戴功臣)
공신호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상세내용]

신숙주(申叔舟)
1417년(태종 17)∼1475년(성종 6).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범옹(泛翁), 호는 보한재(保閑齋) 또는 희현당(希賢堂).
1. 가계와 관력
공조참판 신장(申檣)의 아들이며, 모친은 지성주사(知成州事) 정유(鄭有)의 딸이다.

1438년(세종 20) 사마양시에 합격하여 동시에 생원‧진사가 되었다.

이듬해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전농시직장(典農寺直長)이 되고, 1441년에는 집현전부수찬을 역임하였다.

1442년 국가에서 일본으로 사신을 보내게 되자 서장관으로 뽑혔다.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참가하여 공적이 많았다. 중국음을 훈민정음인 한글로 표기하기 위하여 왕명으로 성삼문(成三問)과 함께 유배중이던 명나라 한림학사 황찬(黃瓚)의 도움을 얻으러 요동을 열세차례나 내왕하였는데, 언어학자인 황찬은 그의 뛰어난 이해력에 감탄하였다고 한다.

1447년 중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집현전응교가 되고, 1451년(문종 1)에는 명나라 사신 예겸(倪謙) 등이 당도하자 왕명으로 성삼문과 함께 시짓기에 나서 동방거벽(東方巨擘)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해 사헌부장령집의를 거쳐, 직제학을 역임하였다.
2. 수양대군과의 관계
1452년(문종 2)수양대군사은사(謝恩使)명나라에 갈 때 서장관으로 추천되어 수양대군과의 유대가 이때부터 특별하게 맺어졌다.

1453년 승정원동부승지에 오른 뒤 우부승지좌부승지를 거쳤다. 같은해 수양대군이 이른바 계유정란을 일으켰을 때 외직에 나가 있었으며, 수충협책정난공신(輸忠協策靖難功臣) 2등에 책훈되고, 곧 도승지에 올랐다.

1455년 수양대군이 즉위한 뒤에는 동덕좌익공신(同德佐翼功臣)의 호를 받고 예문관대제학에 초배(超拜)되어 고령군(高靈君)에 봉하여졌다. 이어 주문사(奏聞使)명나라에 가서 새 왕의 고명(誥命)을 청하여 인준을 받아온 공으로 토전(土田)‧노비‧안마(鞍馬)‧의복을 함께 받았다.

1456년(세조 2)에 병조판서로서 국방에 필요한 외교응대의 일을 위임받아 사실상 예조의 일을 전장하게 되었다. 곧이어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가 되어 판병조사(判兵曹事)를 겸하고, 우찬성이 되어서는 대사성까지 맡았다.

1457년 좌찬성을 거쳐 우의정에 오르고 1459년에는 좌의정에 이르렀다. 이 무렵 동북방면에 야인(野人)의 침입이 잦았는데, 그는 강경론을 펴 1460년에 강원함길도도체찰사에 임명되어 야인정벌을 위하여 출정하였다. 그는 군사를 몇 개 부대로 나누어 여러 길로 한꺼번에 진격하는 전략을 펼쳐 야인의 소굴을 크게 소탕하고 개선하였다.

1462년에 영의정부사가 되고, 1464년에 지위가 너무 높아진 것을 염려하여 사직한 적이 있으며, 1467년에 다시 예조를 겸판하였다.

이듬해 예종이 즉위함에 유명(遺命)으로 승정원에 들어가 원상(院相)으로 서무를 참결(參決)하고, 같은해 이른바 남이(南怡)의 옥사를 처리하여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輸忠保社炳幾定難翊戴功臣)의 호를 받았다.

이듬해 겨울에 예종이 승하하자 대왕대비에게 후사(後嗣)의 택정을 서두를 것을 건의하여 대통(大統)의 승계에 공이 컸다.
3. 관찬참여 및 저술
성종이 즉위함에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의 호를 받고, 영의정에 다시 임명되었다. 노병(老病)을 이유로 여러 차례 사직하였으나 허락을 얻지 못하였고, 1472년(성종 3)에는 『세조실록』『예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세조 때부터 작업을 해온 『동국통감』의 편찬을 성종의 명에 의하여 그의 집에서 총관하였다.

세조 때 편찬하도록 명을 받은 『국조오례의』의 개찬‧산정(删定)을 위임받아 완성시켰다. 여러 나라의 음운(音韻)에 밝았던 그는 여러 역서(譯書)를 편찬하였으며, 또 일본여진의 산천 요해(要害)를 표시한 지도를 만들기도 하였다.

그리고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를 지어 일본의 정치세력들의 강약, 병력의 다소, 영역의 원근, 풍속의 이동(異同), 사선(私船) 내왕의 절차, 우리측 관궤(館饋)의 형식 등을 모두 기록하여 일본과의 교빙(交聘)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많은 업적을 남기고 1475년에 일생을 마쳤다.
4. 업적
세조는 일찍이 “ 태종에게는 위징(魏徵), 나에게는 숙주(叔舟)”라고 할 정도로 세조와의 관계가 깊었다. 이러한 관계는 사육신‧생육신을 추앙하는 도학적(道學的)인 분위기에서는 항상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나 당대에서의 그의 정치적‧학문적 영향력은 큰 것이었다.

그를 좋게 평가하는 표현으로는 ‘항상 대체(大體)를 생각하고 소절(小節)에는 구애되지 않았다.’든가, ‘큰일에 처하여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강하(江河)를 자르듯하였다.’는 것과 같은 것이 있다.

과거시험의 시관(試官)을 열세 차례나 하여 사람을 얻음이 당대에서 가장 많았고, 예조판서를 십 수년, 병조판서를 여러 해 동안 각각 겸임한 것은 드문 일이었다. 이렇게 특별한 배려는 외교‧국방면에서 그의 탁월한 능력에 따른 것으로서 저술 대부분이 이에 관계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사대교린의 외교문서는 거의가 그의 윤색을 거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글씨를 잘 썼는데 특히 송설체에 뛰어났다고 한다. 전하는 필적으로는 송설체의 유려함을 보여주는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의 찬문(贊文)과 진당풍(晉唐風)의 고아한 느낌을 주는 해서체의 「화명사예겸시고(和明使倪謙詩稿)」 등이 전한다.

시호는 문충(文忠), 저서로는 『보한재집』이 전하는데, 1644년(인조 22)에 7세손 신속(申洬)영주군수로 있을 때 교서관본 완질을 얻어 간행한 것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睿宗實錄
成宗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槿域書畵徵(吳世昌, 啓明俱樂部, 1928)
書藝(韓國의 美 6, 中央日報社, 1981)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명 : "숙주(叔舟)"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2癸亥二十五年遣使日本使臣卞仲文將發書狀官再三遞易以申叔舟擬差時叔舟久病新差上引見敎曰聞爾病羸可去耶叔舟對曰臣病良已安敢辭叔舟及至其國求詩者坌集操筆立就詩與書俱美衆皆歎
國朝編年v03申叔舟吾所善然罪重不可不誅皆曰然使武士各主所殺刑曹正郞尹鈴孫主申叔舟會其日罷雲釼謀中止而鈴孫不之知方叔舟就便房沐髮鈴孫按釼而前三問目止之及事覺被收光廟親鞫問叱之曰若等何爲叛我三問抗聲曰欲復故主耳天下誰有不
國朝編年v04指不宜在京請黜於外大妃傳敎曰龜城世祖所眷愛也今黜於外恐違世祖之意申叔舟等啓請速斷大妃又敎曰卿等好爲之叔舟等啓曰浚功臣削職收籍牒慶尙道寧海府安置籍沒家産傳曰當令彼安心以去不可罪之至此乃抹籍沒家産四字又傳曰食
國朝編年v06再三陳請及其未盛而刷還之當其時其言以爲尋常及今有蔓延難制之弊然後服其先見之明也申叔舟臨終成宗問所欲言叔舟對曰願國家勿與日本失和成廟然其言遣副提學李亨元通信及壬申納款後只於釜山豆毛浦造館以處其送使及差倭置訓
國朝編年v11世襲其來已久懲怨錄曰源氏立國於洪武初其誤也○初我國亦嘗遣使修慶吊禮世宗朝申叔舟以書狀官往來卽其一也後叔舟臨卒成宗問所欲言叔舟對曰願國家毋與日本失和成宗是其言命副提學李亨元書狀官金訢修睦到對馬島使臣以風水驚
紀年便攷v7輟己未親試科壬戌選湖堂丁卯以校理登重試甞恨家無書籍及入集賢到藏書閣閉戶端坐歴覧無遺金宗瑞開拓六鎮時以叔舟為従事宗瑞曰我固自負君之才亦大難也世宗御製諺文子母二十八字設局禁中以叔舟為撰定使臣質問于中華黄璿徃還
紀年便攷v7㑹當止此而死矣盖悔心之萌云端宗朝䇿靖難㓛二等封高靈府院君世祖朝策佐翼㓛一等年三十九典文衡丁丑錦城事發叔舟獨啓曰去年李塏等以 魯山為名今瑜亦欲挾 魯山倡亂魯山君不可安居也於是政府宗親繼之乃賜死 魯山妃宗氏没
紀年便攷v7去年李塏等以 魯山為名今瑜亦欲挾 魯山倡亂魯山君不可安居也於是政府宗親繼之乃賜死 魯山妃宗氏没為官婢叔舟欲以㓛臣婢受出上不許成三問等獄事出是夕妻尹氏獨上楼手持数尺布坐槏下叔舟還家歴搜問其故尹曰君於平曰與成
紀年便攷v7坐歴覧無遺金宗瑞開拓六鎮時以叔舟為従事宗瑞曰我固自負君之才亦大難也世宗御製諺文子母二十八字設局禁中以叔舟為撰定使臣質問于中華黄璿徃還遼東璿以罪方謫遼東凡十三度文宗疾甚召集賢諸臣膝置 魯山撫其背曰以此兒付卿
紀年便攷v7下叔舟還家歴搜問其故尹曰君於平曰與成三問軰如兄弟今聞三問等獄事發意君必同死待報至欲自䖏不圖君之生還也叔舟憮然若無所容是年入相至領睿宗朝策翼戴元㓛成宗朝策佐理元㓛以咸吉道都軆察使征野人時虜夜襲營中撓亂叔舟堅
紀年便攷v7也叔舟憮然若無所容是年入相至領睿宗朝策翼戴元㓛成宗朝策佐理元㓛以咸吉道都軆察使征野人時虜夜襲營中撓亂叔舟堅卧不起口占一絶曰虜中霜落塞垣寒鐵騎縦橫百里間夜戰未休天欲暁卧㸔星斗正䦨干将士觀其安閒頼以不擾天性高
紀年便攷v7卿等執爵以勸諸臣皆醉仆上命中官撤門楣作擔輿使出卧入直㕔是夜大雪諸臣醉醒則異香滿室覆以貂衾乃上手自覆也叔舟與成朴諸人相與涕泣誓報殊恩厥後叔舟去就如彼臨没喟然歎曰人生㑹當止此而死矣盖悔心之萌云端宗朝䇿靖難㓛二
紀年便攷v7繼之乃賜死 魯山妃宗氏没為官婢叔舟欲以㓛臣婢受出上不許成三問等獄事出是夕妻尹氏獨上楼手持数尺布坐槏下叔舟還家歴搜問其故尹曰君於平曰與成三問軰如兄弟今聞三問等獄事發意君必同死待報至欲自䖏不圖君之生還也叔舟憮
紀年便攷v7佐 三朝為名臣戊子為院相 世祖當曰桓公之於管仲漢祖之於張良光武之於鄧禹先主之於孔明唐宗之於魏徴予之於叔舟一也以一身為國家安危者㡬二十年軍國重事紛委於前左酬右答接應客使導達徳音周於之際容儀可觀俱通漢倭蒙古女
紀年便攷v7楣作擔輿使出卧入直㕔是夜大雪諸臣醉醒則異香滿室覆以貂衾乃上手自覆也叔舟與成朴諸人相與涕泣誓報殊恩厥後叔舟去就如彼臨没喟然歎曰人生㑹當止此而死矣盖悔心之萌云端宗朝䇿靖難㓛二等封高靈府院君世祖朝策佐翼㓛一等年
紀年便攷v7申末舟叔舟弟字子楫號歸来亭 端崇甲戌以生員登科歴吏議水使官止兼大司成自端宗遜位後退居淳昌不仕以清白旌孫公濟見下
紀年便攷v7尹鈴孫花山府院君權專婿官止刑曺正郞六臣六謀復上王也成三問曰叔舟我平生交然罪重不可不誅使刑郞尹鈴孫誅之及丙子事覺與六臣同時被禍
紀年便攷v8同直集賢殿 英陵抱元孫逍遥步庭中曰寡人千秋萬歲後爾䓁須念此兒言猶在耳汝豈忘之耶不意汝之惡至此極矣上使叔舟避之令武士灼鐡穿脚断肱而顏色不
紀年便攷v8祖太宗世宗文宗四祖治法政謨為書七篇凢一期乃成上覧而善之賜叔舟䓁鞍具馬
紀年便攷v8叔舟至六鎮藩胡乗夜襲营营中喧呼欲戰叔
紀年便攷v8营中乃定遂追斬四百三十餘級焚蕩室廬殺獲牛馬千餘首捷書至上大喜告廟受賀命僉知洪逸童賚御書及醖酒表裏慰諭叔舟使叔舟子㴐乗馹徃覲其父初叔舟将行上引入便殿指墻下瓢蔓曰可及此物之結子否叔舟對曰未必結子至是偶結一瓢上
紀年便攷v8洪逸童賚御書及醖酒表裏慰諭叔舟使叔舟子㴐乗馹徃覲其父初叔舟将行上引入便殿指墻下瓢蔓曰可及此物之結子否叔舟對曰未必結子至是偶結一瓢上命剖而為盃書於林心曰卿雖笑我我瓢旣成剖而為盃以示至情使遺叔舟又以陶象瓢造盃
紀年便攷v8及此物之結子否叔舟對曰未必結子至是偶結一瓢上命剖而為盃書於林心曰卿雖笑我我瓢旣成剖而為盃以示至情使遺叔舟又以陶象瓢造盃鐫其四句於內每當曲宴用之以示不忘㓛之意
紀年便攷v8蕩室廬殺獲牛馬千餘首捷書至上大喜告廟受賀命僉知洪逸童賚御書及醖酒表裏慰諭叔舟使叔舟子㴐乗馹徃覲其父初叔舟将行上引入便殿指墻下瓢蔓曰可及此物之結子否叔舟對曰未必結子至是偶結一瓢上命剖而為盃書於林心曰卿雖笑我
紀年便攷v8定遂追斬四百三十餘級焚蕩室廬殺獲牛馬千餘首捷書至上大喜告廟受賀命僉知洪逸童賚御書及醖酒表裏慰諭叔舟使叔舟子㴐乗馹徃覲其父初叔舟将行上引入便殿指墻下瓢蔓曰可及此物之結子否叔舟對曰未必結子至是偶結一瓢上命剖而
紀年便攷v8同館設養老宴申叔舟自北来朝錄北征㓛加洪允成䓁資上御浮碧樓見壁上有高麗毅宗詩遂御製詩命随駕宰樞賡和又令叔舟記之鏤板次序揭之于壁上
紀年便攷v8征之起復許琮爲咸吉道節度使魚世㳟為咸吉道觀察使協力勦賊施愛吉州人也詐稱節度使康孝文與觀察使申㴐及㴐父叔舟謀為不䡄以撓民心遂乗夜襲殺孝文又誘咸興民作亂殺㴐
紀年便攷v8申㴐叔舟子登文科世祖丁亥以咸吉道監司被害於咸興民實出於李施愛之所指使也施愛以㴐與其父謀叛之意揚言而誘亂民害之
紀年便攷v8領議政洪允成䓁教曰元子在襁褓月山君素有疾者山君雖冲年世祖每稱其器度類太祖立以為嗣何如叔舟䓁拜曰社稷之計㝎矣遂以大妃命迎者山君卽位于勤政門時年十三
紀年便攷v8居官莅事守直不阿不喜更張持大臣軆與妹夫申叔舟一時拜相叔舟占句云青眼故人俱白髮子雲遽對曰黑頭宰相只丹心叔舟愛古阜妓只丹心故語及之成宗戊戌卒年六十二謚文憲曾孫泂見下
紀年便攷v8節而還睿宗己丑拜相至領成宗朝䇿佐理㓛一等文辭敏贍居官莅事守直不阿不喜更張持大臣軆與妹夫申叔舟一時拜相叔舟占句云青眼故人俱白髮子雲遽對曰黑頭宰相只丹心叔舟愛古阜妓只丹心故語及之成宗戊戌卒年六十二謚文憲曾孫泂
紀年便攷v9申従濩叔舟孫奉禮郞㴻子字次韶號三魁堂成宗甲午進壮庚子魁明經科丙午以應敎魁重試仍以三魁為號選湖堂歴直學塼合羣書以
紀年便攷v10甲澄掌令松舟子叔舟從子字子省成宗丙午進士壬子文科官止弼善燕山甲子杖斃後伸
紀年便攷v11申光漢叔舟孫掌令泂子成宗甲辰生字漢之一時晦號企齋又駱峯又青城洞主十八猶不知書為隣所屏始讀書明年魁禮圍中宗丁卯進
紀年便攷v16叔舟
紀年便攷v17申湜叔舟五世孫同樞仲淹子字叔正一仲止號臨谷宣祖於筵中論諸臣能否曰湜也拙筬也許筬固執湜感 上知遇因以自號曰用拙
紀年便攷v17申橈叔舟五世孫縣監彥溟子字季涉 宣祖壬午進士辛丑登明經科歴三司春坊官止正光海乙卯抗䟽被謫子光樞中進士以詩名世
國朝捷錄v01字漑之號二樂亭叔舟孫高靈人燕山時謫靈光反正後大用丙子拜左文景公監司㴐子
國朝捷錄v01岩軒叔舟父字濟夫工參
國朝捷錄v01一女僕戴卓而去上有妖兒躡之則入權擥家戚而擥之女息暴疾而殊無可奈何怡告于內入而觀之則有六爲兵判出征有功叔舟明澮搆殺之
國朝捷錄v01字次韶叔舟孫澍子
郯述v01甲午進叔舟孫父澍庚子第高靈禮判
郯述v02父沔叔舟
郯述v03高川吏判叔舟子文
國朝人物志v1書德鄰孫太宗壬午生員文科參判善額書年三十以吏曹正郞退居羅州國朝榜目子叔舟末舟見下
國朝人物志v1始與汝在集賢殿世宗抱元孫散步中庭顧諸儒臣曰寡人千秋萬歲後卿等須護此兒言猶在耳汝獨忘之乎叔舟無以爲容提學姜希顏辭連不服上問希顏與謀乎三問曰實不知謀無盡殺名士留用之
國朝人物志v1謀以宴使日擧事會議于集賢殿成三問曰申叔舟吾所善然罪重不可不誅使武士各主其殺鈴孫主叔舟曾罷雲劍謀中止而鈴孫不之知叔舟就便房沐髮鈴孫按劍欲前三問目止之乃退秋江集
國朝人物志v1字子楫號歸來亭高靈人叔舟弟端宗甲戌生員文科大司諫歷莅淸顯性恬淡不樂仕進端宗遜位後叔舟當國末舟退
國朝人物志v1一帙則一帙盡矣申叔舟有受賜古文選愛之不離手守溫往借之懇踰月到其家則片片塗壁煙薰莫辨叔舟問其由則曰吾嘗臥而誦之永順君溥謂守溫曰吾有謝恩事可製表惠之守溫許諾遂索紙口號令儒生
國朝人物志v1爲直提學與成三問朴彭年等同受世宗付託文宗壬申世祖在潛邸奉使如明以叔舟及徐居正爲書狀官艱關萬里調護聖躬得竣事而還贊成受禪癸酉靖難以叔舟夙參密謀錄
國朝人物志v1燕京路梗難於其人申叔舟進曰韓明澮出使在外具致寬加十年老於臣臣請行致寬曰叔舟爲首相在下者臣當行其夕上私語曰黃守身不堪相然爲此行不可不作相遂拜右相充使以奉石
國朝人物志v1高靈人叔舟子世祖朝拜咸吉道觀察使吉州人李施愛擧兵叛圍衛㴐知不免持弓矢登城射殺四人矢盡彎折
國朝人物志v1睿宗朝拜右議政進封茂松府院君成宗朝錄佐理功與申叔舟一時重卜嘗於同年之會叔舟占一聯句靑眼故人俱白髮子雲遽對曰黑頭宰相只丹心叔舟歎服屈膝曰我不如兄之精敏叔舟
國朝人物志v1字次韶號三魁堂高靈人奉禮澍子叔舟孫成宗甲午進士壯元庚子文科壯元丙午重試壯元壬寅有旨擧賢才遺逸大司憲蔡壽薦公宜在
國朝人物志v1字淸卿高靈人叔舟從子好讀書善吟詩以蔭補官出守靈山民追慕之爲立生祠濯纓子金馹孫有記
國朝人物志v1字漑之號二樂軒又號松溪高靈人觀察使㴐子叔舟孫叔舟夢嶽降之祥而用漑生命小字白岳鍾天姿豪美文章簡古成宗癸卯進士文科選入弘
國朝人物志v1字漢之號企齋又號駱峯高靈人寺正泂子叔舟孫丁卯進士庚午文科成宗廢妃尹氏賜死燕山卽位聞有襄庇日記求見甚急光漢時尙少曾
國朝人物志v2字士仲號松村高靈人庶尹湍子叔舟六世孫乙酉進士宣祖乙巳文科昏朝癸丑以執義斥鄭造極言大壞倫紀言甚切甲寅出爲洪州牧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