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방경(金方慶)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BC29ACBDB1212X0
자(字)본연(本然)
시호(諡號)충렬(忠烈)
생년1212(강종 1)
졸년1300(충령왕 26)
시대고려후기
본관안동(安東[舊])
활동분야무신 > 무장
김효인(金孝印)
조부김민성(金敏成)

[상세내용]

김방경(金方慶)
1212년(강종 1)∼1300년(충렬왕 26). 고려 후기의 무장(武將)이며 정치가. 본관은 안동(安東[舊]). 자는 본연(本然).
1. 성품‧행적
신라경순왕의 후손으로, 부친은 병부상서한림학사를 지낸 김효인(金孝印)이다.

어려서부터 성품이 강직하고 도량이 넓었다. 할아버지 김민성(金敏成)이 양육하였으며, 조금이라도 자기 뜻에 맞지 않는 일이 있으면 땅바닥에 뒹굴면서 울었는데, 소나 말이 그를 피해 지나가니 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길 정도였다.

1229년(고종 16)에 음서로 산원 겸 식목녹사(散員兼式目錄事)에 보임됨으로써 관도에 오르기 시작하였다. 당시 시중 최종준(崔宗峻)은 충성스럽고 직언하는 성품을 사랑하여 예우하였으며, 큰일이 있으면 모두 맡겼다. 여러번 자리를 옮겨 감찰어사에 올랐는데, 우창(右倉)을 감검(監檢)하면서 재상의 청탁도 거절하였다.

1248년 서북면병마판관(西北面兵馬判官)에 부임되어 몽고의 침공을 받자 위도(葦島)에 입보(入保)하였다.

거기에서 해조(海潮)를 막기 위하여 제방을 쌓고, 10여 리의 평탄한 지형을 농사에 이용하여 상당한 수확을 거두게 했을 뿐 아니라 빗물을 모아 못을 만들어 우물이 없는 불편을 덜게 하여, 모두 그 지혜를 칭찬하였다.

1263년(원종 4)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로 당시 정병(政柄)을 잡고 있던 유천우(兪千遇)와 대립하면서 꿋꿋한 의지를 보여주었으나, 상장군에 올라 반주(班主) 전분(田份)의 미움을 사서 지방관으로 좌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인망이 두터워서 얼마 뒤에 형부상서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가 되어 새 난국의 담당자로 등장하였다.
2. 삼별초의 난 평정
당시 강도(江都)에 천도하여 대몽항쟁을 벌였던 고려는 일단 강화를 한 다음 원나라와 개경환도문제로 실랑이를 벌이고 있었다.

김준(金俊)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임연(林衍)은 1269년 왕을 퇴위시키고 안경공(安慶公) 왕창(王淐)을 즉위시킴으로써, 반원(反元)의 입장을 굳히면서 환도를 거부하고 현상을 유지하는 정책을 쓰려고 하였다.

그러나 원나라의 강한 반대와 위협에 부닥쳐 원종은 복위하게 되었는데, 그때 사신으로 원나라에 파견되어 이장용(李蔵用)의 천거를 받으면서 고려원나라의 군사적 충돌을 막고 사태를 악화시키지 않도록 진력하였다.

1270년 6월에 이르러 개경환도가 강행되자 삼별초가 반란을 일으켰다. 그때 그 토벌의 임무를 맡아 삼별초에 의하여 함락되기 직전의 전주나주를 구하고, 진도의 대안에서 토벌에 진력하다가 무고로 개경에 압송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곧 석방되어 상장군을 제수받고 다시 삼별초의 토벌에 힘쓰게 되었는데, 원나라의 원수 아해(阿海)의 후퇴를 막는가 하면, 단독으로 고려군을 이끌고 용전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듬해 새로 원나라의 원수로 임명된 흔도(忻都)와 더불어 진도를 사방에서 공격하여 삼별초의 토벌에 성공하였다. 이 공로로 수태위 중서시랑 평장사(守太尉中書侍郞平章事)에 올랐다.

이어 탐라로 들어간 삼별초의 잔여세력의 평정을 책임맡아 1273년 행영중군병마원수(行營中軍兵馬元帥)에 임명되어 원나라 장수 흔도홍다구(洪茶丘)와 함께 공격하여, 마침내 삼별초를 완전히 토벌하고 탐라를 평정하였다. 이 공로로 시중에 오르고, 그해 가을 원나라에 들어가 원나라세조(世祖)로부터 환대를 받았다.
3. 의 일본정벌 참여
1274년(충렬왕 즉위) 10월원나라일본정벌에 도독사(都督使)로서 고려군 8천인을 이끌고 도원수 홀돈(忽敦)의 총지휘 아래 참여하였다. 처음 대마도에서 상당한 전과를 올리고 이키도[壹岐島]에서도 용전하여 크게 기세를 올렸지만, 심한 풍랑으로 결국 실패하였다.

그러나 그 공로로 상주국(上柱國)이 되고, 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가 가직(加職)되었다.

이듬해에 관제의 변화에 따라 첨의중찬 상장군 판전리감찰사사(僉議中贊上將軍判典理監察司事)에 임명되었으며, 1276년에는 성절사로서 원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1277년에 위득유(韋得儒)노진의(盧進義)김복대(金福大)의 모함을 받아 원나라다루가치(達魯花赤) 석말천구(石抹天衢)에 의하여 구금되어 홍다구에게 참혹한 고문을 당하였지만 끝까지 거짓 자백을 하지 않고 백령도에 유배되었다.

그뒤 다시 원나라에 이송되어 원나라세조충렬왕의 상소에 따라 무죄를 확인함으로써 비로소 방면되어 귀국하였다.

그뒤 중찬(中贊)에 임명되어 수상으로서 임무를 수행하였다.

1280년 벼슬에서 물러날 것을 청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원나라로부터 중선대부(中善大夫)관령고려국도원수(管領高麗國都元帥)의 직임을 받고, 1281년의 제2차 일본정벌에 주장(主將)으로 참여하였으나 또다시 실패로 돌아갔다.

1283년 삼중대광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三重大匡僉議中贊判典理司事世子師)로 치사(致仕)하였으며, 이어서 첨의령(僉議令)이 가직되고 상락군 개국공 식읍 일천호 식실봉 삼백호(上洛君開國公食邑一千戶食實封三百戶)에 봉하여졌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東方文化交流史論攷(金庠基, 乙酉文化社, 1948)
三別抄와 그의 亂에 대하여(金庠基, 震檀學報 9‧10‧13, 1939∼1941)
元寇の新硏究(池內宏, 1931)

[집필자]

민현구(閔賢九)
대표명김방경(金方慶)
방경(方慶)
성명김방경(金方慶)
시호충렬(忠烈)

명 : "방경(方慶)"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4金恂方慶次子性寬厚日以聲妓自娛官至判三司事封上洛君忠肅辛酉卒謚文英子永暾永煦見下
紀年便攷v4金丞用方慶孫以廉稱官至密直使忠肅乙巳卒
紀年便攷v5金九容方慶玄孫永旽孫平章事昴子閔思平外孫字敬之號愓若齋初名齊閔好學善詞章十六進士十八文科辛禑甲子以遼東行禮使如
紀年便攷v9金壽寧安東人方慶八世孫潚子太宗孫婿字灦叟端宗癸酉以生貟魁明經科直拜集賢修撰成宗朝策佐理㓛四䓁封福川一云昌君丙申選湖堂
紀年便攷v11金麟祥方慶八世孫文禮議鎮子字祥之中宗丁卯進士癸酉登明經科官止禮正兼春秋以御史在南原卒甞著疑塜賦膾炙人口世居慶州
紀年便攷v29金斗南方慶十五世孫僉樞址子字一敬肅宗戊午生員丁卯登明經科官止獻納卒于安州任所選清白吏孫永涭武科統使
寒臯觀外史v22瑀似是忠獻之孫當攷○方慶安東人新羅敬順王十五代孫以元朝命征珍島耽羅日本皆有
彛齋先生實紀v2西麓東幕洞坐甲之原配于新安朱夫子影堂羊角與新安皆藍浦地也娶安東金氏判三司事上洛府院君諱恂之女忠烈公諱方慶之孫生一男二女男世廉淸風郡守追封政堂文學平章事女長適典理摠郞李達尊是益齋之子號雲窩次適判樞奇仁傑孫二
國朝人物志v1安東人大提學承用曾孫中輦方慶之後自少力學太宗丁酉生員文科世宗在潛邸聞其名召之墩辭焉及登第上引見曰我欲見卿卿避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