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삼문(成三問)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131C0BCBB38B1418X0 |
자(字) | 근보(謹甫) |
호(號) | 매죽헌(梅竹軒) |
시호(諡號) | 충문(忠文) |
생년 | 1418(태종 18) |
졸년 | 1456(세조 2)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창녕(昌寧)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성승(成勝) |
외조부 | 박첨(朴襜) |
출신지 | 충청남도 홍성(洪城) |
묘소 | 서울 노량진 사육신 묘역 |
묘소 | 충청남도 은진 |
저서 | 『매죽헌집』 |
[관련정보]
[상세내용]
성삼문(成三問)
1418년(태종 18)∼1456년(세조 2) 6월 8일(주1)
. 조선 초기의 문신.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 충청남도 홍성(洪城) 출신.
졸년 |
세조실록 2년(1456) 6월 8일 기사에 "이개.하위지.성삼문.... 등이 결당하여 어린 임금을 끼고 나라의 정사를 마음대로 할 것을 꾀하여, 6월 초1일에 거사하려 하였으니, 그 죄는 능지처사(凌遲處死)에 해당합니다. .... 이개 등을 환열(轘裂)하여 두루 보이고 3일 동안 저자에 효수(梟首)하였다"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함. |
1. 가계와 관직
증조부는 대제학(大提學) 성석용(成石瑢)이며, 조부는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성달생(成達生)이고, 부친은 도총관(都摠管) 성승(成勝)이며, 모친은 현감 박첨(朴襜)의 딸이다. 딸은 부사 박임경(朴臨卿)의 아내가 되었는데, 외손 박증(朴增)은 은거, 박호(朴壕)는 문과급제 후 중종조에 호조판서를 지냈고, 박한(朴垾)은 별좌를 지냈다.
1438년(세종 20)에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고, 1447년에 문과중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집현전학사로 뽑혀 세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으면서 수찬(修撰)‧직집현전(直集賢殿)으로 올라갔다.
1442년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고, 세종의 명에 따라 『예기대문언독(禮記大文諺讀)』을 펴냈다. 세종이 훈민정음 28자를 만들 때에 정인지(鄭麟趾)‧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이개(李塏) 등과 함께 이를 도왔으며, 특히 신숙주와 같이 명나라 요동을 여러 번 왕래하면서, 그곳에 유배중인 명나라의 한림학사 황찬(黃瓚)을 만나 음운(音韻)을 질문하였다.
또한, 명나라 사신을 따라 명나라에 가서 음운과 교장(敎場)의 제도를 연구해와서 1446년 9월 29일에 역사적인 훈민정음을 반포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1453년(단종 1) 좌사간으로 있을 때에 수양대군(首陽大君: 뒤의 세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을 죽이고 스스로 정권과 병권을 잡으면서 그 추종자들과 함께 그에게 내린 정난공신(靖難功臣) 3등의 칭호를 사양하는 상소를 올렸다.
1454년에 집현전부제학이 되고, 이어서 예조참의를 거쳐, 1455년에 예방승지가 되었다. 그해 세조가 어린 조카인 단종을 위협, 선위(禪位)를 강요할 때에 그가 국새(國璽)를 끌어안고 통곡을 하니 세조가 그를 차갑게 노려보았다.
1438년(세종 20)에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고, 1447년에 문과중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집현전학사로 뽑혀 세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으면서 수찬(修撰)‧직집현전(直集賢殿)으로 올라갔다.
1442년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고, 세종의 명에 따라 『예기대문언독(禮記大文諺讀)』을 펴냈다. 세종이 훈민정음 28자를 만들 때에 정인지(鄭麟趾)‧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이개(李塏) 등과 함께 이를 도왔으며, 특히 신숙주와 같이 명나라 요동을 여러 번 왕래하면서, 그곳에 유배중인 명나라의 한림학사 황찬(黃瓚)을 만나 음운(音韻)을 질문하였다.
또한, 명나라 사신을 따라 명나라에 가서 음운과 교장(敎場)의 제도를 연구해와서 1446년 9월 29일에 역사적인 훈민정음을 반포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1453년(단종 1) 좌사간으로 있을 때에 수양대군(首陽大君: 뒤의 세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을 죽이고 스스로 정권과 병권을 잡으면서 그 추종자들과 함께 그에게 내린 정난공신(靖難功臣) 3등의 칭호를 사양하는 상소를 올렸다.
1454년에 집현전부제학이 되고, 이어서 예조참의를 거쳐, 1455년에 예방승지가 되었다. 그해 세조가 어린 조카인 단종을 위협, 선위(禪位)를 강요할 때에 그가 국새(國璽)를 끌어안고 통곡을 하니 세조가 그를 차갑게 노려보았다.
2. 단종복위 운동
그는 아버지 성승의 은밀한 지시에 따라, 박중림(朴仲林)‧박팽년‧유응부(兪應孚)‧허조(許慥)‧권자신(權自愼)‧이개‧유성원(柳誠源) 등을 포섭해서 단종복위운동을 계획하면서 거사의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그러던 중 1456년(세조 2) 6월 1일에 세조가 상왕인 단종과 함께 창덕궁에서 명나라 사신을 위한 잔치를 열기로 하자, 그날을 거사일로 정하였다.
그는 거사일 전날에 집현전에서 비밀회의를 열고 그의 아버지 성승과 유응부‧박쟁(朴崝) 등 무신들에게는 운검(雲劒)으로 세조의 뒤에 섰다가 세조와 윤사로(尹師路)‧권람(權擥)‧한명회(韓明澮)를, 병조정랑 윤영손(尹鈴孫)에게는 신숙주를 각각 제거하도록 분담을 시켰다.
그 나머지 중신들은 여러 무사들이 나누어 제거하기로 정하였다. 그리고 김질(金礩)에게는 그의 장인인 정창손(鄭昌孫)으로 하여금 상왕복위를 주장하도록 설득하라 하였다.
그러나 당일 아침에 갑자기 연회장소가 좁다는 이유로 운검의 시립이 폐지되자 그날의 거사는 일단 중지되고, 뒷날 세조가 친히 거둥하는 관가(觀稼)때로 미루어졌다. 거사에 차질이 생기자 함께 모의했던 김질이 그의 장인 정창손과 함께 세조에게 밀고를 하였으므로 모의자들이 모두 잡혀갔다.
그러던 중 1456년(세조 2) 6월 1일에 세조가 상왕인 단종과 함께 창덕궁에서 명나라 사신을 위한 잔치를 열기로 하자, 그날을 거사일로 정하였다.
그는 거사일 전날에 집현전에서 비밀회의를 열고 그의 아버지 성승과 유응부‧박쟁(朴崝) 등 무신들에게는 운검(雲劒)으로 세조의 뒤에 섰다가 세조와 윤사로(尹師路)‧권람(權擥)‧한명회(韓明澮)를, 병조정랑 윤영손(尹鈴孫)에게는 신숙주를 각각 제거하도록 분담을 시켰다.
그 나머지 중신들은 여러 무사들이 나누어 제거하기로 정하였다. 그리고 김질(金礩)에게는 그의 장인인 정창손(鄭昌孫)으로 하여금 상왕복위를 주장하도록 설득하라 하였다.
그러나 당일 아침에 갑자기 연회장소가 좁다는 이유로 운검의 시립이 폐지되자 그날의 거사는 일단 중지되고, 뒷날 세조가 친히 거둥하는 관가(觀稼)때로 미루어졌다. 거사에 차질이 생기자 함께 모의했던 김질이 그의 장인 정창손과 함께 세조에게 밀고를 하였으므로 모의자들이 모두 잡혀갔다.
3. 복위운동의 실패
그는 세조를 가리켜 ‘진사(進賜: 종친에 대한 호칭)’라 호칭하고 떳떳하게 모의사실을 시인하면서 세조가 준 녹(祿)은 창고에 쌓아두었으니 모두 가져가라 하였다. 그는 모진 고문을 당하였으나 조금도 굴하지 않으면서 세조의 불의를 나무라고 또한 신숙주에게도 세종과 문종의 당부를 배신한 불충을 크게 꾸짖었다. 격노한 세조가 무사를 시켜 쇠를 달구어 그의 다리를 태우고 팔을 잘라냈으나 그는 안색도 변하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그 사건에 연루되어 문초를 받고 있던 강희안(姜希顔)을 변호해주어 죽음을 면하게 하였다. 그달 8일에 아버지 성승과 이개‧하위지(河緯地)‧박중림‧김문기(金文起)‧유응부‧박쟁 등과 함께 군기감 앞에서 능지처사(凌遲處死)를 당하였다.
그때 동생 성삼빙(成三聘)‧성삼고(成三顧)‧성삼성(成三省)과 아들 성맹첨(成孟瞻)‧성맹년(成孟年)‧성맹종(成孟終) 및 갓난아이까지 모두 죽음을 당하여 혈손이 끊겼다. 그가 형을 당한 뒤 그의 집을 살펴보니 세조가 준 녹이 고스란히 쌓여 있었을 뿐 가재라고는 아무것도 없었으며, 방바닥에 거적자리가 깔려 있을 뿐이었다. 부인과 딸이 노비가 되면서 부인 연안김씨가 신주를 만들어 제사하였고, 부인이 죽은 후에는 외손 박호에게 이안되어 외손 봉사하였다. 박호도 아들이 먼저 사망해서 신주를 인왕산에 묻었다. 1672년 신주가 발견되어 송시열 주관하에 홍주 성삼문 구댁으로 모셨고, 1871년 노은서원이 훼철되어 노성에 있는 외손 박증재실로 모셔다가 외손 봉사 한 후, 1903년 성삼문 방손이 봉사손으로 허락을 받아, 현 세종시 성씨집성촌에 문절사를 창건하고 그곳으로 이안하였다.
그러면서도 그 사건에 연루되어 문초를 받고 있던 강희안(姜希顔)을 변호해주어 죽음을 면하게 하였다. 그달 8일에 아버지 성승과 이개‧하위지(河緯地)‧박중림‧김문기(金文起)‧유응부‧박쟁 등과 함께 군기감 앞에서 능지처사(凌遲處死)를 당하였다.
그때 동생 성삼빙(成三聘)‧성삼고(成三顧)‧성삼성(成三省)과 아들 성맹첨(成孟瞻)‧성맹년(成孟年)‧성맹종(成孟終) 및 갓난아이까지 모두 죽음을 당하여 혈손이 끊겼다. 그가 형을 당한 뒤 그의 집을 살펴보니 세조가 준 녹이 고스란히 쌓여 있었을 뿐 가재라고는 아무것도 없었으며, 방바닥에 거적자리가 깔려 있을 뿐이었다. 부인과 딸이 노비가 되면서 부인 연안김씨가 신주를 만들어 제사하였고, 부인이 죽은 후에는 외손 박호에게 이안되어 외손 봉사하였다. 박호도 아들이 먼저 사망해서 신주를 인왕산에 묻었다. 1672년 신주가 발견되어 송시열 주관하에 홍주 성삼문 구댁으로 모셨고, 1871년 노은서원이 훼철되어 노성에 있는 외손 박증재실로 모셔다가 외손 봉사 한 후, 1903년 성삼문 방손이 봉사손으로 허락을 받아, 현 세종시 성씨집성촌에 문절사를 창건하고 그곳으로 이안하였다.
4. 인품과 학문
그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절신(節臣)으로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국민들의 숭앙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육신의 한 사람일 뿐 아니라, 타고난 자질이 준수하고 문명이 높았으며, 조정의 경연(經筵)과 문한(文翰)을 도맡아 처리하였다.
또한, 그가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한 것은 민족문화의 차원에서도 그의 높은 절의에 뒤지지 않는 큰 업적이라 할 수 있다. 뒷날 남효온(南孝溫)이 『추강집(秋江集)』의 육신전에 대의를 위하여 흔연히 죽음의 길을 택한 그의 높은 절의를 기록하여 후세에 전하고 있다.
1691년(숙종 17) 신원(伸寃)되고, 1758년(영조 34)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1791년(정조 15) 단종충신어정배식록(端宗忠臣御定配食錄)에 올랐다.
그의 묘는 서울 노량진 사육신 묘역에 있으나 그의 일지(一肢)를 묻었다는 묘가 충청남도 은진[현재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양촌리 산55번지]에도 있다. 장릉(莊陵: 端宗의 능) 충신단(忠臣壇)에 배향되었으며, 영월의 창절사(彰節祠), 서울 노량진의 의절사(義節祠), 공주 동학사(東鶴寺)의 숙모전(肅慕殿)에 제향되었다. 유허(遺墟)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외가)와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충곡리(한양말)(별장) 두 곳에 있다. 관직 생활하던 사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화동 23번지 부근이다.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저서로는 『매죽헌집』이 있다.
또한, 그가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한 것은 민족문화의 차원에서도 그의 높은 절의에 뒤지지 않는 큰 업적이라 할 수 있다. 뒷날 남효온(南孝溫)이 『추강집(秋江集)』의 육신전에 대의를 위하여 흔연히 죽음의 길을 택한 그의 높은 절의를 기록하여 후세에 전하고 있다.
1691년(숙종 17) 신원(伸寃)되고, 1758년(영조 34)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1791년(정조 15) 단종충신어정배식록(端宗忠臣御定配食錄)에 올랐다.
그의 묘는 서울 노량진 사육신 묘역에 있으나 그의 일지(一肢)를 묻었다는 묘가 충청남도 은진[현재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양촌리 산55번지]에도 있다. 장릉(莊陵: 端宗의 능) 충신단(忠臣壇)에 배향되었으며, 영월의 창절사(彰節祠), 서울 노량진의 의절사(義節祠), 공주 동학사(東鶴寺)의 숙모전(肅慕殿)에 제향되었다. 유허(遺墟)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외가)와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충곡리(한양말)(별장) 두 곳에 있다. 관직 생활하던 사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화동 23번지 부근이다.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저서로는 『매죽헌집』이 있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肅宗實錄
正祖實錄
梅竹軒集
莊陵誌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肅宗實錄
正祖實錄
梅竹軒集
莊陵誌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재범(李在範)
명 : "삼문(三問)"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