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흠(申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2E0D760FFFFB1566X0
자(字)경숙(敬叔)
호(號)상촌(象村)
호(號)현옹(玄翁)
호(號)방옹(放翁)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566(명종 21)
졸년1628(인조 6)
시대조선중기
본관평산(平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신승서(申承緖)
은진송씨(恩津宋氏)
외조부송인수(宋麟壽)
묘소경기도 광주군
저서『상촌집』
저서『야언(野言)』

[상세내용]

신흠(申欽)
1566년(명종 21)∼1628년(인조 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경숙(敬叔), 호는 현헌(玄軒)상촌(象村)현옹(玄翁)방옹(放翁).
1. 가계와 출사
부친은 개성도사 신승서(申承緖)이며, 모친은 은진송씨(恩津宋氏)좌참찬 송인수(宋麟壽)의 딸이다.

송인수이제민(李濟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585년(선조 18) 진사시와 생원시에 차례로 합격하고 1586년 승사랑(承仕郞)으로서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1583년에 외숙인 송응개(宋應漑)이이(李珥)를 심히 비판하는 탄핵문을 보고 “이이는 사림(士林)의 중망을 받는 인물이니 심하게 비난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한 말로 인하여 당시의 정권을 장악한 동인으로부터 이이의 당여라는 배척을 받고 겨우 종9품직인 성균관학유에 제수되었으며, 곧 경원훈도(慶源訓導)로 나갔다가 광주훈도(廣州訓導)를 거쳐 사재감참봉이 되었다.

1589년 춘추관 관원에 뽑히면서 예문관봉교사헌부감찰병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2. 관직
1592년 임진왜란의 발발과 함께 동인의 배척으로 양재도찰방(良才道察訪)에 좌천되었으나 전란으로 부임하지 못하고, 삼도순변사(三道巡邊使) 신립(申砬)을 따라 조령전투에 참가하였고, 곧 도체찰사(都體察使) 정철(鄭澈)종사관으로 활약하였으며, 그 공로로 지평으로 승진되었다.

1593년 이조좌랑에 체직, 당시의 폭주하는 대명외교문서 제작의 필요와 함께 지제교(知製敎)승문원교감을 겸대하였다.

1594년 이조정랑으로서 역적 송유진(宋儒眞)의 옥사를 다스리고 그 공로로 가자되면서 사복시첨정으로 승진하였으며, 곧 집의에 초수(超授)되었다. 같은해 광해군의 세자책봉을 청하는 주청사 윤근수(尹根壽)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 그 공로로 군기시정에 제수되었다.

1595년 함경도어사의정부사인을 거쳐 장악원정성균관사예종부시정세자시강원필선홍문관교리홍문관응교의정부사인홍문관전한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1599년 선조의 총애를 받아 장남 신익성(申翊聖)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부마로 간택됨과 함께 동부승지에 발탁되었고, 같은해 형조참의 겸 승문원부제조를 거쳐 병조참지우부승지이조참의예조참의대사간병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601년 『춘추제씨전(春秋諸氏傳)』을 합찬한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승자되고 곧 예문관제학이 되었다.

1602년 충무위부호군(忠武衛副護軍)으로 좌천되었다가 곧 오위도총부부총관을 거쳐 예조참판에 발탁되었고, 이어서 병조참판홍문관부제학성균관대사성도승지예문관제학병조참판도승지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1604년에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오르면서 한성부판윤이 되었고, 그뒤 병조판서예조판서상호군경기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3. 계축옥사로 유배
1608년(광해군 즉위) 선조애책문(宣祖哀冊文)을 짓고 한성부판윤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세자의 책봉을 청하는 주청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그 공로로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승자되었고, 1610년에는 동지경연사동지성균관사예문관대제학을 겸대하였다.

그러나 1613년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선조로부터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보필을 부탁받은 유교칠신(遺敎七臣)으로서 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

1616년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 및 이와 관련된 김제남(金悌男)에의 가죄(加罪)와 함께 다시 논죄된 뒤 춘천에 유배되었다가 1621년에 사면되었다.

1623년(인조 1) 3월 인조의 즉위와 함께 이조판서예문관홍문관대제학에 중용되었고, 같은해 7월에 우의정에 발탁되었으며,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좌의정으로서 세자를 수행하고 전주에 피난하였으며, 같은해 9월 영의정에 올랐다가 죽었다.
4. 평가와 저술
그는 일찍이 부모를 여의었으나 학문에 전념하여 벼슬하기 전부터 이미 문명을 떨쳤고, 벼슬에 나가서는 서인인 이이정철을 옹호한 것으로 인하여 동인의 배척을 받았으나, 장중하고 간결한 성품과 뛰어난 문장으로 인하여 선조의 신망을 받으면서 항상 문한직(文翰職)을 겸대하고 대명외교문서의 제작, 시문의 정리, 각종 의례문서의 제작에 참여하는 등 문운의 진흥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사림의 신망을 받음은 물론, 이정귀(李廷龜)장유(張維)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 또는 ‘월상계택(月象谿澤)’으로 칭송되었다. 묘는 경기도 광주군에 있다.

1651년(효종 2) 인조묘정에 배향되었고, 강원도 춘천도포서원(道浦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편서로는 『상촌집』『야언(野言)』 등과 「현헌선생화도시(玄軒先生和陶詩)」‧「낙민루기(樂民樓記)」‧「고려태사장절신공충렬비문(高麗太師壯節申公忠烈碑文)」‧「황화집령(皇華集令)」 등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한충희(韓忠熙)

호 : "상촌(象村)"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人物志v1朴東亮澤堂小說李植月汀謾筆尹根壽谿谷漫筆張維白沙雜記李恒福象村隨筆申欽於于野談柳夢寅竹窓雜話李德泂象村彙言申欽靑郊墨談安應昌
國朝人物志v1象村軟談
國朝人物志v2世是皆廊廟大材濟世高手鴻飛脫弋枯落巖穴自餘名流不遷則戮血流生靈禍纏宗社至於元衡芑而極矣象村稿曰乙巳之禍至明廟末年始解穆陵卽位之十一年丁丑削僞勳亦可以慰仁廟在天之靈矣乙巳
國朝人物志v2君君但作相於危亂之際揮涕而當之嘗過路遇童子群戲招一童子撫頂曰童子動中有靜他日必貴童子厥後拜相卽象村申欽也金弘敏趙仁厚有名於時客問曰趙何如人緖箕踞曰吾奴也金何如人緖跪曰吾師也人皆笑
國朝人物志v2字百源高靈人漸從侄庚寅進士甲午文科官郡守丙申疏陳時弊不避觸忤言甚切至象村申公以爲中興後第一封事守端川土出白金公秋毫不取以政最聞朝廷褒賞之病中聞廢大妃議起
國朝人物志v2辰辭連柳孝立獄被逮而未尋其處久而後就拿獄官問曰往何處夢寅曰往西山是時梧里李元翼象村申欽淸陰金尙憲按獄曰周武王伐紂若立微子則伯夷亦當往西山乎夢寅不答爰
國朝人物志v2晉州人壬子進士丙辰配春川癸亥除禁府都事官至南原府使少從石洲權韠學後出入象村申欽淸陰金尙憲之門特見推許尙憲拘幽瀋獄時定有黃冠不拜大單于之句一時傳誦甲子李适
國朝人物志v2字敬叔號象村又號玄翁平山人夷簡公瑛孫父都事承緖娶參贊恩津宋麒壽女生欽聰慧絶人
國朝人物志v3字曼倩號舟村平山人九歲伯祖象村公命次帝京篇言下卽就及長受學于尤菴宋時烈丁丑江都陷歿母夫人韓氏及妻洪氏立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