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윤방(尹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24BC29FFFFB1563X0
자(字)가회(可晦)
호(號)치천(稚川)
시호(諡號)문익(文翼)
생년1563(명종 18)
졸년1640(인조 18)
시대조선중기
본관해평(海平)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윤두수(尹斗壽)
저서『치천집』

[상세내용]

윤방(尹昉)
1563년(명종 18)∼1640년(인조 1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가회(可晦), 호는 치천(稚川).

영의정 윤두수(尹斗壽)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이다.

1582년(선조 15) 진사가 되고 158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정자에 보임되고 이어 예문관검열춘추관기사관을 거쳐 봉교예조좌랑이 되었다. 곧 사헌부정언으로 전직되어 병조판서 이양원(李陽元)의 인사부정을 탄핵하다가 성균관전적으로 체직되었다.

1591년 당쟁으로 아버지가 유배당하자 병을 칭하고 사직하였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 아버지가 재상으로 재기용되자, 예조정랑으로 발탁되어 선조를 호종하였다. 이어 병조정랑을 거쳐 홍문관수찬으로 특명에 의하여 곧 기복(起復)되어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다.

그뒤 이조좌랑을 거쳐 홍문관응교에 올랐으며, 당시 왜적의 만행이 극심한 가운데서도 몰래 숨어서 어머니 빈소에 다녀오는 효성을 보이기도 하였다. 곧 직강사예가 되고 다시 당론이 일어나 아버지가 파직당하자 스스로 파직을 요청하여 대각(臺閣)에서 물러났지만 곧 군기시첨정에 제수되었다. 이어 경상도순안어사(慶尙道巡按御史)로 나가 치적을 올리고, 군기감정(軍器監正)을 거쳐 평산부사를 지내고, 이몽학(李夢鶴)의 난이 끝나자 추관(推官)으로 활약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순안독찰(巡按督察)이 되어 군량운반을 담당하였으며, 곧 철원부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동부승지로 승진되어 돌아오자 그곳 백성들이 송덕비를 세워 그의 덕을 기렸다.

1601년 부친상을 마친 뒤 동지사(冬至使)명나라에 다녀와서, 곧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습봉(襲封)되었다. 이어 병조참판동지춘추관사에 보임되었다가, 도승지로 전직되었고, 다시 한성판윤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에 올랐다.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형조판서가 되고 이듬해 사은사(謝恩使)명나라에 다녀온 뒤 경기도경상도감사를 역임하였고, 이어 겸지춘추관사『선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615년(광해군 7) 다시 사은사명나라에 다녀왔다.

1618년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출하려는 폐모론이 일어나자 병을 칭하고 정청(政廳)에 불참하여 탄핵을 받고 사직, 은퇴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예조판서로 등용되고, 이어 우참판으로 판의금부사를 겸하였으며, 곧 우의정에 올랐다. 다시 좌의정으로 있을 때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하고 민심을 수습하는 데 공헌하였으며, 1627년(인조 5) 영의정이 되었다. 그해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인조의 피난을 주장하여 강화에 호종하였고, 영의정에서 물러나 판중추부사를 역임하고 1631년 다시 영의정이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묘사제조(廟社提調)로서 40여 신주(神主)를 모시고 빈궁(嬪宮)‧봉림대군(鳳林大君)과 함께 강화로 피난하였다.

그러나 신주봉안에 잘못이 있었다 하여 탄핵을 받고 1639년 연안에 유배되었다.

2개월 후 전리방귀(田里放歸)되었다가 다시 영중추부사에 기용되었다.

인품이 중후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였다.

저서로는 『치천집』이 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문기(李文基)

성명 : "윤방(尹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7根獄事日峻○左議政鄭仁弘箚請先除七臣以折永昌羽翼判尹韓俊謙工判黃愼判義禁朴東亮圻伯申欽判書徐渻韓應寅尹昉在先朝有托永昌之故幷拿鞫初宣廟遺敎宰臣七人若曰死生有命聖人之所不免但大君幼穉未及見長▣願諸公愛護扶持
國朝編年v18愛君之心與李恒福鄭弘翼一也獻議○淸風金權湜之孫司果權士恭司勇李義愼正字金知粹立異獻議而庭請不參判中樞尹昉前判書李廷龜判尹金尙容參判吳百齡同知吳允謙僉知李景稷正郞朴自凝○從廢論者許筠金闓李偉卿李爾瞻韓孝純漢
國朝編年v18之惡夫對人子言父母之過雖於閭巷小民有所不敢爲而乃肆然吾金權鄭弘翼李愼儀金德諴權士恭執正議鄭昌衍李廷龜尹昉閉門不出申翊聖病不能獻議
國朝編年v19二十六傳曰衣衾棺槨備給事令該曹擧行○大臣二品以上及三司收議領議政李元翼原任奇自獻鄭昌衍病不獻議右議政尹昉使之自盡○兩司合啓請斷之以義勉從廟堂之議上答曰省啓不勝驚怪斷之以義之說是何言耶祬之穿穴不堪其苦之所致
紀年便攷v19臣李恒福竄北青竒自獻竄吉州百官鄭弘翼金德誠李愼儀金地粹䓁并以立異安寘極邉以庭請不参人鄭昌衍柳根李廷龜尹昉金尙容李時彦吳允謙宗䒟耉為八奸李時發金瑬李景稷朴瀰洪友敬柳頔申翊聖鄭孝成朴東善尹衡俊為十邪趙國賓尹衡
紀年便攷v20朝議避兵以金尚容為留都大將呂䄄吉為副使守都城二十七日入江都領議政尹昉右議政吳允謙吏曹判書金瑬賛成李貴兵曺判書李聖求禮曹判書李廷龜户曺判書金藎國參判崔鳴吉金自點張維等從之
紀年便攷v20替番戎器俱在幕後胡将見之疑其蔵兵而出走兒童爭投瓦礫而逐之京城震動於是遣宰臣請留胡将不聼捲向歸路領議政尹昉請以斤和之意通諭八路儌勵忠義従之
東國歷代總目v02李元翼等○上誅鄭仁弘李爾瞻韓纉男鄭造尹訒朴燁鄭遵等以李元翼爲領相召還鄭蘊鄭弘翼金德諴於謫所宣祖朝舊臣尹昉申欽吳允謙李廷龜鄭經世等及其他以言獲罪者皆收用策靖社功臣錄金瑬等五十人○甲子李适以平安兵使叛兵逼京城
羹墻錄v1止隨事規正是爲第一義如所着之冠少有不正亦可警之也御定羹墻錄命承旨讀奏宣廟甲申以前春坊日記讀至李廷龜尹昉所陳文義歎曰美哉美哉欲使世孫見此也命付籤示宮官上同上嘗臨視王世孫會講敎曰太王之去邠與我始祖事相符岐山
記聞v1誅柳孝立錄竭誠炳幾翊命寧社功臣許䙗等十一人誅沈器遠錄效忠奮武炳幾決策淸難功臣具仁垕等四人○相尹昉申欽吳允謙金瑬李廷龜金尙容○李聖求丁丑以後洪瑞鳳崔鳴吉張維起復不出申景禛武勳沈悅姜碩期沈器遠蔭勳金
野乘v1○朴弘耉囬自亰師帝以亟修戰守思患預防卧薪甞胆䓁語降㫖諭之遣尹昉謝恩
國朝捷錄v01尹 昉
文獻攷略v1御容此必歲月已久後褙剝落無從審辨而然也領相尹昉曰姜璿所謂晬容後褙二字雖年久似無磨滅之理而臣前秋奉審宗廟仍得開視則只薄綃一片長廣俱不過一尺全無後褙
靑邱風雲v1入台尹昉字可悔號稚川海平人文翼公稱疾不參廷請反正後復入相丁丑陪廟社入江都失王后主一位付處癸亥拜父斗壽妻
東國續修文獻錄v1尹昉字可晦號稚川斗壽子文領相文翼申欽字敬叔號象村平山人文領相文貞文章名世吳允謙字汝益號秋灘海
東國續修文獻錄v1庭見功七十八南瑾季獻宜寧人八十知中閔仁伯伯春驪興人七十七判書李馨郁德懋八十知敦韓浚謙益之淸州人七十三尹昉見相七十七朴鼎賢重老密陽人七十七判書李慶全見湖堂七十八朴東善子粹潘南人七十一參贊金尙容見相七十七李廷
國朝人物志v2宥錄勳右議政鄭仁弘箚論先除七臣以折永昌羽翼韓俊謙黃愼朴東亮申欽徐渻韓應寅尹昉是謂七臣初宣廟遺敎七臣曰死生有命聖人之所不免但大君幼稚未及見長成願諸公愛護扶持敢以此托進
國朝人物志v3光海時裕男之子斗杓與靖社諸勳密謀義擧以其事白之裕男曰吾家世受國恩敢愛身乎甲子适亂裕男與尹昉承命留都亂定得一冊子有從逆人名姓其徒數千裕男卽投之火以安反逆官至知事封原溪君
國朝人物志v3質于瀋陽與蔡裕後飮酒酣唱庾信賦慷慨相規慟哭瀋中駭焉及歸朝廷罰之丁丑江都陷襘劾相臣尹昉遺失廟主竟竄之又言柳碩論時宰之柄用者而臺官欲以深文中碩爲碩竟直之官至廣州府尹
國朝人物志v3從事官勤王前進於雙嶺丁丑二月聞大駕出城入京奔問拜直講除持平與正言梁曼容共劾尹昉詣臺則梁不至宗一啓曰自點受西門重任以敵遺君父罪不容誅而後乃置身淨地前領府事尹昉受
國朝人物志v3陞然若不得兪音臣欲升榻牽裾期於得請上笑而許之丙子以副摠管扈駕入南漢差協守使抗疏請誅大臣尹昉金瑬上以爲悖妄命罷職出城日特敍扈還上書陳自強之策十餘條甲申以副提學論金瑬貪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