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윤두수(尹斗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4B450C218B1533X0
자(字)자앙(子仰)
호(號)오음(梧陰)
시호(諡號)문정(文靖)
생년1533(중종 28)
졸년1601(선조 34)
시대조선전기
본관해평(海平)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윤변(尹忭)
저서『오음유고』
저서『기자지(箕子誌)』
공신호광국공신(光國功臣)
공신호호성공신(扈聖功臣)

[상세내용]

윤두수(尹斗壽)
1533년(중종 28)∼1601년(선조 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자앙(子仰), 호는 오음(梧陰).

군자감정 윤변(尹忭)의 아들이며, 윤근수(尹根壽)의 형이다. 이중호(李仲虎)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55년(명종 10) 생원시에 1등으로 합격하고, 1558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간 다음, 예문관검열홍문관정자저작을 역임하였다.

1563년 이조정랑에 재임중 권신(權臣) 이량(李樑)이 그의 아들 이정빈(李廷賓)이조좌랑에 천거한 것을 박소립(朴素立)기대승(奇大升) 등과 함께 반대하였다. 이로 인하여 대사헌 이감(李戡)의 탄핵을 받아 삭직되었으나, 그해 영의정 윤원형(尹元衡), 우의정 심통원(沈通源)의 상계(上啓)로 무죄임이 밝혀진 뒤 수찬에 다시 서용(敍用)되었다.

그뒤 이조정랑의정부검상사인사헌부장령성균관사성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내고, 1565년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천거로 부응교에 임용된 뒤 동부승지우승지를 거쳐, 1576년(선조 9) 대사간에 이르렀다.

이듬해 사은사(謝恩使)명나라에 다녀온 뒤 도승지가 되었으나, 이종동생 이수(李銖)의 옥사에 연좌, 아우 윤근수와 함께 파직되었으며, 대사간 김계휘(金繼輝)의 주청으로 복직되어 연안부사로 나갔다.

1581년 황해감사의 서장(書狀)에 의하여 재령군수 최립(崔岦) 등과 함께 구황(救荒)을 잘하였다 하여 옷 한벌을 하사받았다.

이후 한성좌윤오위부총관형조참판을 역임하고, 1587년 왜구가 전라도 지방을 침범하여 지역 인심이 흉흉해지자,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하여 수사‧수령의 기강쇄신, 범죄자 처벌에 노력하였으며, 1589년 평안감사를 지내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 2등이 되어 해원군(海原君)에 봉하여졌다.

그뒤 대사헌호조판서를 역임하고, 1591년 5월 석강(夕講)에서 도요토미(豊臣秀吉)의 답서를 명나라에 구주(具奏)하여 그 진상을 보고할 것인가의 여부에 대하여, 병조판서 황정욱(黃廷彧)과 함께 보고할 것을 주장하다가 양사의 합계(合啓)로 정철(鄭澈)에게 당부(黨附)하였다 하여 파면되고, 이미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정철이 화를 당할 때 같은 서인으로 연루되어 회령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그뒤 그의 견해가 올바른 것임을 안 선조는 그의 공을 인정하는 뜻에서 고향으로 돌려보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재기용되어, 어영대장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 이해 평양 행재소(行在所)에 임진강의 패보(敗報)가 전해지자, 명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자는 주장이 있자 그는 이를 반대하고 우리의 힘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해 이조판서 이원익(李元翼),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등과 함께 평양성을 지켰다. 그 이듬해 삼도체찰사(三道體察使)를 겸하였다.

1595년 판중추부사가 되었고, 해원부원군(海原府院君)에 봉하여졌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는 영의정 유성룡(柳成龍)과 함께 난국을 수습하였다.

이듬해 좌의정이 되고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대간의 계속되는 탄핵으로 사직하고 남파(南坡)에 물러났다.

1605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봉하여졌다. 그는 평소 온화하고 화평하였으나, 큰일을 당하였을 때에는 직언을 아끼지 않았으며, 임진왜란‧정유재란의 국가적 위기 극복에 노력하였다.

저서로는 『오음유고』『기자지(箕子誌)』 등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大東野乘
典故大方
壬辰戰亂史(李炯錫, 壬辰戰亂史刊行委員會, 1974)

[집필자]

장동익(張東翼)

명 : "두수(斗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8不從其言廷賓銜之又如李文馨許曄不肯附樑奇大升尹根壽以後進士類推許樑黨忌之於是李戡爲大司憲劾文馨曄素立斗壽根壽大升等浮薄相煽削職黜外沈義謙乃樑之甥姪也初出仕路交遊士類欲反樑所爲副學奇大恒亦樑之黨也及樑黨斥逐
國朝編年v10己卯十二年敍復尹斗壽拜延安府使引見敎曰予之待卿不以內外爲間卿亦勿以內外爲貳蹔煩出守後當復召斗壽與沈家最親又於乙亥排斥金黨過當論者指爲濁亂又以貪賕至於被劾而上獨待以舊臣終始扶植卒爲大用寶鑑○尹斗壽
國朝編年v12憲尹斗壽曰欲與大臣及備局諸宰臣密議倭情都憲有計慮雖非備堂可無退遂以倭情奏聞天朝當否議之大臣以下皆難之斗壽曰事係上國機關甚重殿下至誠事大天日在上豈可隱諱臣意當直上聞仍陳我國通信本末爲是領相李山海曰正恐奏聞後
國朝編年v13大臣李山海柳成龍曰李某柳某事乃至此予將何往諸臣皆泣不敢仰對又問尹斗壽安在素有計慮欲見李恒福出召尹斗壽斗壽卽進前上慰諭再三曰卿兄弟第月汀勿離余死生勿負解御佩翠囊一說佩刀以賜曰所以表予意也卿有才智可救國家之急
紀年便攷v13尹根壽斗壽弟中宗丁酉生字士固號月汀又畏菴金德秀門人甫十歲通四子等書編紀歴代事宲問輒應誦如神明宗戊午登别試與兄斗
紀年便攷v13與兄斗壽同年而差先
紀年便攷v14時晛與金誠一同為銓郞議論予盾遂成嫌隙晛之叔斗壽根壽皆在要津每作扶西抑東之論東人甚嫉之而斗壽居家不清謹頗有受賂聲東人决意欲去三尹於是誠一啓曰斗壽姨弟珍島郡守李銖載未百石行賂於三尹遂下銖獄罷三尹
紀年便攷v14時晛與金誠一同為銓郞議論予盾遂成嫌隙晛之叔斗壽根壽皆在要津每作扶西抑東之論東人甚嫉之而斗壽居家不清謹頗有受賂聲東人决意欲去三尹於是誠一啓曰斗壽姨弟
紀年便攷v14之叔斗壽根壽皆在要津每作扶西抑東之論東人甚嫉之而斗壽居家不清謹頗有受賂聲東人决意欲去三尹於是誠一啓曰斗壽姨弟珍島郡守李銖載未百石行賂於三尹遂下銖獄罷三尹職金継輝乃啓曰三尹皆以良士被擢别无大過悉今其受賂虛宲
紀年便攷v14承旨所見何如諸臣皆泣不敢對恒福曰可且駐駕義州若勢窮力屈便可赴愬天朝 上觧佩刀與斗壽曰卿兄弟可勿離予行斗壽曰北道士馬精強咸興鏡城皆天險足恃可踰嶺北行柳成龍曰不可大駕離東土一步則朝鮮非我有也 上曰內附本我意也
紀年便攷v14家之急計将安出顧恒福曰承旨所見何如諸臣皆泣不敢對恒福曰可且駐駕義州若勢窮力屈便可赴愬天朝 上觧佩刀與斗壽曰卿兄弟可勿離予行斗壽曰北道士馬精強咸興鏡城皆天險足恃可踰嶺北行柳成龍曰不可大駕離東土一步則朝鮮非我
紀年便攷v14倭兵遂渡大同江斗壽知不可守先出城內老弱婦女賊迫城乃沈兵器于江中引兵潛出或乘舟下江西倭将遂據平壤
紀年便攷v16斗壽根壽晛三叔侄
紀年便攷v16尹晛忭孫聃壽子斗壽従子字伯升號松岳又松巒成守琛門人明宗朝生進俱中丁卯登明經科歴銓郞官止判校東西分黨之時坐貪汚抵罪以三尹
紀年便攷v22尹旰斗壽庶子字幼孜光海己酉登武科戊午不參廢母庭請辛酉拜鍾城仁祖己巳拜安州兼防禦使
國朝捷錄v01字可晦號稚川海平人斗壽子廷請時稱疾退丁丑陪廟社主入江都失王后主一位癸亥拜領文翼公癸亥生壽七十七戊子文科
郯述v01乙未生斗壽七代孫父   泳海平 參奉
郯述v01乙巳進斗壽五代孫父同年第世綏海平判書
郯述v02戊子斗壽子庚寅拜領相
國朝人物志v1雲受業雲亟稱之復從靜菴門下受學己卯生員壬午文科軍資監正有知足菴集東儒師友錄子斗壽根壽皆貴
國朝人物志v2子仰號梧陰海平人忭子乙卯生員壯元明宗戊午文科拜銓郞時李樑以其子干薦斗壽堅不可以是獲罪褫奪職名屛居坡州樑敗敍復修撰戊寅有姊弟李銖獄事與弟根壽坐罷大司
國朝人物志v2字子固號月汀海平人斗壽弟聰明穎悟鍾於天賦父奇愛之謂夫人曰此兒必大成明宗戊午文科壬辰爲刑曹判書半歲之間三赴廣
國朝人物志v2字伯昇海平人斗壽弟聃壽子甲子生員進士宣祖元年丁卯文科吏曹正郞公從弟暭字仲昇縣監春壽子丁卯
國朝人物志v2字可晦號稚川海平人斗壽子宣祖壬午進士戊子文科薦爲檢閱少從牛溪成渾受業又及栗谷李珥門硏綜經傳往往操
國朝人物志v3字樂天號涬溟海平人監司暄子領相斗壽孫光海壬子進士庚申文科歷檢閱當仁祖初年以文學博雅出入經幄諸父昆弟幷列公卿門戶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