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익(趙翼)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70C775FFFFB1579X0
자(字)비경(飛卿)
호(號)포저(浦渚)
호(號)존재(存齋)
시호(諡號)문효(文孝)
생년1579(선조 12)
졸년1655(효종 6)
시대조선중기
본관풍양(豊壤)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영중(趙瑩中)
조부조간(趙侃)
증조부조안국(趙安國)
외조부윤춘수(尹春壽)

[상세내용]

조익(趙翼)
1579년(선조 12)∼1655년(효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비경(飛卿), 호는 포저(浦渚)존재(存齋).

오위도총부부총관 조안국(趙安國)의 증손으로, 현령 조간(趙侃)의 손자이고, 중추부첨지사 조영중(趙瑩中)의 아들이며, 모친은 찬성 윤춘수(尹春壽)의 딸이며, 외종조부는 윤두수(尹斗壽)윤근수(尹根壽)이다.

장현광(張顯光)윤근수의 문인이다.

임진왜란 중 음보로 정포만호(井浦萬戶)가 되어 1598년(선조 31) 군량미 23만석을 운반하는 공을 세웠다. 왜란이 끝난 뒤 다시 수학하여 1602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어 본격적인 벼슬살이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삼사의 관직을 두루 지내던 중, 1611년(광해군 3) 김굉필(金宏弼)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정여창(鄭汝昌) 등을 문묘에 배향할 것을 주장하다가 고산도찰방으로 좌천되고, 이어 웅천현감을 역임하였다.

뒤이어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유폐되는 사태가 빚어지자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인 광주(廣州)로 은거하였다가 충청도 신창으로 옮겨 살았다.

1623년 인조가 즉위하자 이조좌랑에 임용되어 신창 도고산(道高山) 아래 모옥(茅屋)을 떠나 다시 조정에 들어갔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을 겪은 뒤 의정부 검상사인(舍人)에 임명되고, 이어 응교직제학 등을 거쳐 동부승지에 올랐다.

1631년 어머니가 죽자 잠시 벼슬을 떠났으나, 3년상을 마친 뒤 곧 관직에 복귀하였다. 한성부우윤개성부유수대사간이조참판대사성예조판서대사헌공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두루 역임하면서 이원익(李元翼)을 도와 대동법(大同法)을 확대하고 관리하는 일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1636년 예조판서로 있을 때 병자호란을 당하자 종묘를 강화도로 옮기고 뒤이어 인조를 호종하려다가, 아들 조진양(趙進陽)으로 하여금 강화로 모시게 하였던 80세의 아버지가 도중에 실종되어 며칠 동안 아버지를 찾느라고 남한산성으로 인조를 호종할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그리하여 호란이 끝난 뒤 그 죄가 거론되어 관직을 삭탈당하고 유배되었지만, 그 까닭이 효성을 다하고자 한 데 있었고, 또 아버지를 무사히 강화로 도피시킨 뒤에는 윤계(尹棨)심지원(沈之源) 등과 함께 경기지역의 패잔병들을 모아 남한산성을 포위하고 있는 적을 공격하며 입성하고자 노력한 사실이 참작되어 그해 12월에 석방되었다.

그리고 3년 뒤에는 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으로 조정에 들라는 하명을 받았으나, 늙은 아버지를 봉양하여야 한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뒤이어 예조판서이조판서대사헌의 직이 내려졌지만, 모두 사양하다가 아버지가 죽고 그 상복을 벗게 되자 1648년 좌참찬이 되어 다시 조정에 나아갔다.

이후 1655년 3월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로 죽기까지 우의정좌의정중추부 판사영사의 자리를 거듭 역임하였다.

그러면서 윤방(尹昉)의 시장(諡狀)사건에 관련되어 몇 개월 동안 삭직되고 문외출송(門外黜送)되는 고초를 겪기도 하였으나, 대체로 무난하게 벼슬생활을 하면서 김육(金堉)과 함께 대동법을 확장, 시행하는 데 기여하였고, 각종 폐막(弊瘼)을 개혁하는 데에도 전념하였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학문에도 정진하여 『곤지록(困知錄)』『중용주해(中庸註解)』『대학주해(大學註解)』『서경천설(書經淺說)』 등을 지어 효종에게 바쳤다. 이 저술들은 주자(朱子)의 장구(章句)를 크게 고친 것이었지만, 사람들은 감히 이를 헐뜯지 못하였다고 한다.

고향 광주에서 77세로 죽으니 효종은 시호를 내리고, 6월에 대흥(大興) 동화산(東華山)아래에 장례하기까지 관원을 보내어 치조(致弔)하였다. 뒷날 광주(廣州)명고서원(明皐書院), 개성숭양서원(崧陽書院), 신창도산서원(道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위의 논술 외에 문집으로 『포저집』 35권 18책이 전하고, 『역상개략(易象槪略)』은 이름만이 전한다.

성리학의 대가로서 예학에 밝았으며, 경학‧병법‧복술에도 뛰어났다. 사람들은 어려서부터 변함없이 우정을 지켜온 그와 장유(張維)최명길(崔鳴吉)이시백(李時白)을 가리켜 ‘사우정(四友情)’이라 불렀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孝宗實錄
國朝人物考
淸選考
增補文獻備考

[집필자]

한영국(韓榮國)

성명 : "조익(趙翼)"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2趙翼別號
國朝編年v20震楹柱至於二三處忠勳府人多震死川渠水溢人家多漂沒蛙相戰死死蛙成丘翌朝上召諸臣問厥失且求言於中外副提學趙翼上箚言今玆譴告必人主所爲有大拂天心者姑以近日之失言之大君第宅宏侈過制兩年而猶未畢國朝以來未有此比此豈
紀年便攷v20選李敏求趙翼任叔英吳䎘李明漢鄭百昌金世濂張維李植鄭弘溟等十人賜暇讀書于湖堂
紀年便攷v20先是追尊大院 君時李廷龜鄭經世張維趙翼謂當称考别廟綾原君主祀吳允謙金長生謂當称泊叔父别廟綾原君主祀而李貴兪伯曾朴知誡等皆以称考享宗廟為正及
紀年便攷v20平時嶺南四十五萬結今為十萬結湖南四十萬結今為十二萬結大司憲趙翼上疏請詳定貢賦應入之數
紀年便攷v20命金瑬申景禛具宏李時白及扈従百官各加一階宰臣及侍従落後者削職趙翼及百官自江都逃還者并命拿囚臺臣請沈諿失言之罪竄極邉以斤和事尹煌俞榥付䖏李一相遠竄俞棨曾在南漢請斬金瑬
紀年便攷v21趙翼豐壤別派僉樞瑩中子儆從孫宣祖己卯生字飛卿號浦渚又存齋尹根壽門人三歲戲排棊子有易卦象八歲草疏論辨邪正宣
紀年便攷v25趙翼見仁祖朝湖堂
羹墻錄v1大提學蔡裕後等續成之國朝寶鑑十年壬申追尊定遠大院君爲王廟號曰元宗改興慶園爲章陵時李廷龜鄭經世張維趙翼謂當稱考別廟吳允謙金長生謂當稱伯叔父別廟李貴兪伯曾朴知誡以稱考享宗廟爲正及連珠府夫人薨崔鳴吉上
記聞v1洞癸亥以世室告廟孝肅敬烈明獻仁宣王后張氏右相新豐府院君維之女乙丑冊封癸丑薨卽位十年昇遐壽四十一○相趙翼金堉李時白蔭勳韓興一具仁垕武勳沈之源李厚源元斗杓蔭勳○配享左相文正公金尙憲禮判文簡公金集○主文趙錫胤
記聞v1李敏求李植張維趙翼金世濂鄭弘溟任叔英鄭百昌蔡裕後呂爾徵李明漢仁祖丙寅大提學金瑬谿谷契屛序云十人而此加一人
國朝捷錄v01趙 翼
國朝捷錄v01逆死李偉卿全義人主廢母論癸亥誅金蓍國淸風人號東村洛子參判柳瀹興陽人㒱寅侄癸亥拷凶活從弟右李爾瞻選丙辰趙翼見相李植見相李敏求字子時東洲芝峯子三壯元江都以副元帥失守自廢李漢明見文張維見相鄭百昌晉陽人字德餘號玄
文獻攷略v1備○孝宗卽位初右相趙翼箚曰喪三年不祭禮也今此親祭社稷乃出於畏天憂民之至喪雖人情之所自致者然一國之私也神祗之祭天地之所同尊也
己丑 國恤謄錄n1-1책旨 臣林次知啓依允曹啓目粘連啓下是白有亦議于左議政趙翼 則以爲健元陵孝陵陵上石面所刻十二支畵形禽獸形於
己丑 國恤謄錄n1-1책員左相無故令 該曹依例啓下何如傳曰依啓吏曹以左議政趙翼啓下
己丑 國恤謄錄n1-1책 庚寅五月初七日 一曹啓目右議政趙翼箚子練祭衰服令禮官講定事據 曹啓目粘連啓下是白有亦
仁宣王后國恤謄錄: 甲寅(1674) - (1676)禮曹 郞官往議于臣之祖父領敦寧府事臣金尙憲及大司憲趙翼 大司諫李行遇則臣之祖父以爲今日小斂於禮未安而事有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兩標然後可以裁定似不可少綏也 大司憲箚子 一大司憲趙翼伏以大行大王聖德臨御二十有七年 其恭儉之德仁愛之誠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申翊全次知啓依允 山陵仍用 一左相啓辭臣伏見大司憲趙翼箚子大槪其意以大行 大王衣冠之藏不可不愼術士之相不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述官大提學趙絅預差弘 文館提學吳竣諡冊製述官大司憲趙翼預差副提 學呂爾徵哀冊製述官藝文提學金光煜預差開城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定亦當旦以 前例言之則奉審之後召當裁穴而伏聞大司憲趙翼 陳箚請廣聚術士更審陵所未知趙翼得聞何許人 何所據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諸其口手自書之載在謄錄者凡可憑之實迹 乎其言如此而趙翼之言如彼今者百鍊已死矣無乃他術 士以訛傳訛以誤人之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當裁穴而伏聞大司憲趙翼 陳箚請廣聚術士更審陵所未知趙翼得聞何許人 何所據之言有此異論而在外術士又力招聚則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流可裁定賓廳會坐之日 相與參商稟定似合事宜且大司憲趙翼讀書講禮之有素 使之同參何如傳曰依啓 哀冊 一政院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以左相意入啓喪禮定奪事賓廳會坐之日參 商稟定大司憲趙翼使之同參事依允而今日賓廳日次金領 敦府事病不來右議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知道曹回啓云云事傳敎矣問于 大臣則大臣及原任大司憲趙翼無故日令政院命招議定云敢啓 傳曰依啓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旨臣林次知啓依允曹啓目粘連 啓下是白有亦議于左議政趙翼則以爲健元陵孝 陵陵上石面所刻十二支畵形禽獸形於人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 左相無故令該曹依例啓下何如傳曰依啓吏曹以 左議政趙翼啓下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 庚寅五月初七日 練祭變襄議 一曹啓目右議政趙翼箚子練祭襄服令禮官講定事據 曹啓目粘連啓下是白有亦
孝宗大王國恤謄錄n1-1책註中磨鍊以入而 特命議于大臣其時領議政李敬輿右議政趙翼議大槪以爲 鐘鼓羽菕之說專爲降格神明無所十於不聞之
仁祖大王實錄纂修廳儀軌政府領議政李敬輿受點 領中樞府事金堉 議政府右議政趙翼
仁祖大王實錄纂修廳儀軌 辛卯二月初二日 吏曹 摠裁官望 判中樞府事趙翼 議政府領議政金堉 受點 議政府左議政李時白 議
靑邱風雲v1蒼谷李敬輿號白江白振南號松湖兪泓號松堂李明漢號白洲李明漢號玄洲李晬光號芝峯李好閔號五峯趙翼號浦渚吳億齡號晚翠李元翼號梧里任叔英號疏菴金弘敏號沙澤黃愼號秋浦吳允謙號秋灘金號夢村
靑邱風雲v1趙翼浦渚李植澤堂李敏求字子時號東洲李明漢白洲張維谿谷鄭百昌字得餘號玄谷畿伯任叔英字茂叔號疏菴
東國續修文獻錄v1趙翼字飛卿號浦渚豐壤人文右相治禮學文孝金堉字伯厚號潛谷淸風人文領相文貞行大同法李時白字敦詩號
東國續修文獻錄v1趙翼飛卿浦渚僉知瑩中子豐壤人左相文孝李植汝固澤堂察訪安性子德水人吏判文靖李敏求子時東洲吏判晬光子全州人吏
東國續修文獻錄v1十三知中李溟汝淵全州人七十九判書趙緯韓持世漢陽人八十二知中韓明勖勖哉淸州人八十六知敦南以雄見相七十四趙翼見相七十六李景嚴子後延安人七十四判尹尹履之仲素海平人九十判書金堉見相七十九金光煜晦而安東人七十七知中
國朝人物志v2三年毀幾滅性築精舍于松京府西十川橋南以爲藏修之所經傳群書左右充滿晩喜易而尤用功浦渚趙翼潛谷金堉見其文每見多士輒稱其經術行宜祭之於鄕人物考
國朝人物志v3知吾王之處曄驚謂不意君忠義如是也其後薦翰林選南床實鄭公所推轂也丁丑虜亂之源與趙翼諸人合南陽守尹棨謀聚兵勤王事未集而棨死軍潰無可爲者入江都江都陷之源自墜城塹有救
國朝人物志v3字有諸號冶谷漢陽人受業于潛冶朴知誡浦渚趙翼門下年十二遭母憂每雨雪輒至母墓掃除塋域夏雨亦冒潦周省事父竭誠宦遊京師思慕如嬰兒遇正朝晨興炷
國朝人物志v3孝宗允之遂爲定制群臣上大行諡號棨上疏旣有仁宗今同用一字未安上不悅許解諫職金集趙翼言之上怒曰昔宋仁宗廢后非是而諡議無異今兪棨以爲不可至有仁者存天理無人欲等語而再有疏
國朝人物志v3已卽入小白山下寓居庚辰始拜承旨出爲沔川郡守孝宗卽位招延者碩儒士朝著淸明浦渚趙翼薦之拜大司成敏一慨然以敎訓成就爲己任卒于官年七十五有八男東溟鄭斗卿以詩挽曰才子
國朝人物志v3而大同一事不吓於儒臣爻象不佳欲行者公心也持難者亦公心也國家事非一家事則豈可有私喜怒哉前議政趙翼前判書金集經學德望冠冕儒林殫誠盡禮豈無可致之道又言宮禁不嚴近習弄奸宮莊廣占宮奴恣擅之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