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장현광(張顯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A5D604AD11B1554X0
자(字)덕회(德晦)
호(號)여헌(旅軒)
시호(諡號)문강(文康)
생년1554(명종 9)
졸년1637(인조 15)
시대조선중기
본관인동(仁同)
활동분야학자 > 유생
장열(張烈)
경산이씨(京山李氏)
외조부이팽석(李彭錫)
저서『여헌집』
저서『속집』
저서『성리설(性理說)』
저서『역학도설(易學圖說)』
저서『용사일기(龍蛇日記)』

[관련정보]

[상세내용]

장현광(張顯光)
1554년(명종 9)∼1637년(인조 15).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덕회(德晦), 호는 여헌(旅軒).

부친은 증이조판서 장열(張烈)이며, 모친은 경산이씨(京山李氏)제릉참봉(齊陵參奉) 이팽석(李彭錫)의 딸이다. 경상북도 인동에서 성장하였다.
1. 가계
14세 때인 1567년(명종 22)부터 진사 장순(張峋)에게 배웠고 18세 때 「우주요괄첩(宇宙要括帖)」을 지어 유학자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2. 행적
침식을 잊으며 학문에 정진하여 23세 때인 1576년(선조 9)에 재능과 행실이 드러나 조정에 천거되었다.

1591년 겨울 모부인의 상중에 전옥서참봉(典獄署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 다음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금오산(金烏山)으로 피란하였다.

1594년 예빈시참봉제릉참봉 등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해에 유명한 「평설(平說)」을 지었다.

다음해 가을 보은현감에 임명되어 부임하였으나 12월 관찰사에게 세번씩 사직을 청하였고 이듬해 2월 또 세번 사직을 청한 뒤 허가를 기다리지 않고 향리에 돌아갔다가 직무유기 혐의로 의금부에 잡혀갔다.

1597년 여러 차례 그를 조정에 추천하였던 유성룡(柳成龍)을 만났는데, 그의 학식에 감복한 유성룡은 아들을 그 문하에 보내어 배우게 하였다.

1601년 경서교정청낭청(經書校正廳郞廳)에 임명되었고 여러 번 부름을 받았으나 나가지 않았다.

1602년 거창현감경서언해교정낭청(經書諺解校正郞廳)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다가 그해 11월 공조좌랑으로 부임하여 『주역』 교정에 참가하였고 형조좌랑에 옮겨졌으나 이듬해 2월 돌아왔다.

1603년 용담현령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 곧 의성현령에 임명되어 부임하였으나 몇 달 만에 돌아갔다.

1604년 순천군수, 1605년 합천군수, 1607년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55세 때 「주역도설(周易圖說)」을 지었고, 68세 때 「경위설(經緯說)」을 지어 ‘이체기용(理體氣用)’, 즉 ‘이경기위설(理經氣緯說)’을 제창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후 김장생(金長生)박지계(朴知戒)와 함께 여러 번 왕의 극진한 부름을 받았고, 사헌부지평성균관사업 등에 여러 번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다가 다음해 사헌부장령으로 부임하여 왕을 알현하였고, 곧 사헌부집의공조참의로 승진되어 경연(經筵)과 서연(書筵)에 참석하도록 부탁받았으나 사양하고 돌아갔다.

이어 이조참의승정원동부승지용양위부호군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다.

1626년(인조 4) 형조참판에 특제되어 마지못하여 사은하였고 계속하여 사헌부대사헌부호군에, 1628년 이조참판, 1630년 다시 대사헌 등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그뒤에도 여러 차례 지중추부사의정부우참찬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3. 병자호란 지원
1636년 12월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여러 군현에 통문을 보내어 의병을 일으키게 하고 군량미를 모아 보냈다.

그러나 다음해 2월 삼전도(三田渡)에서의 항복소식을 듣고 세상을 버릴 생각으로 동해가의 입암산(立嵒山)에 들어간 지 반년 후에 죽었다.

1655년(효종 6) 의정부좌찬성, 1657년 영의정이 추증되었다.

그는 일생을 학문과 교육에 종사하였고 정치에 뜻을 두지 않았으나 당대 산림의 한 사람으로 왕과 대신들에게 도덕정치의 구현을 강조하였고, 인조반정 직후에는 공신들의 횡포를 비판하고 함정수사를 시정하게 하는 등의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였다.
4. 학문업적
그는 정구(鄭逑)에게 수학한 적이 있어 퇴계학파로 분류되고 있으나 이기론‧심성론 등에 있어서는 이황(李滉)의 학설과 상이한 점이 많았다.

그는 이(理)와 기(氣)를 이원적으로 보지 않고 합일적 혹은 한 물건의 양면적인 현상으로 파악하였는데, 그의 「경위설」에서는 이를 경(經)으로, 기를 위(緯)로 비유하여 이‧기가 둘이 아니고 체(體)와 용(用)의 관계에 있음을 주장하였다.

심성론에 있어서는 도심(道心)을 ‘미발지성(未發之性)’으로, 인심을 ‘이발지정(已發之情)’으로 파악하였으나 이미 발한 뒤에도 역시 도심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도심이 인심 가운데 있고 인심이 도심 가운데 있어 별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고 본 것이다.

그는 또 사단(四端)이 칠정(七情)밖에 있는 것이 아니고 칠정 가운데에서 본성을 따라 발현하여 거짓되지 않은 것이 사단일 뿐이라 하여 사단의 순수고유한 발현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그의 철학은 명나라나흠순(羅欽順)이이(李珥)의 이기심성론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남인계열의 학자들 중에서는 매우 이색적이고 독창적인 학설이다.

저서로는 『여헌집』 11권, 『속집』 5권, 『성리설(性理說)』 6권, 『역학도설(易學圖說)』 9권, 『용사일기(龍蛇日記)』 2권 등이 있다.

성주천곡서원(川谷書院), 서산여헌영당(旅軒影堂), 인동동락서원(同洛書院), 청송송학서원(松鶴書院), 영천임고서원(臨皐書院), 의성빙계서원(氷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仁祖實錄
旅軒集
眉叟記言
韓國儒學史略(李丙燾, 亞細亞文化社, 1986)
張旅軒思想의 硏究―性理說을 中心으로―(劉明鍾, 慶北大論文集 5, 1962)

[집필자]

송찬식(宋贊植)

성명 : "장현광(張顯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6述汝立仁弘之餘論也以嶺南一道論之初則一道之論同然也其後公論頗行稍稍有開悟者蓋鄭逑寒崗則嘗謂兩臣爲儒賢張顯光旅軒則尊慕無間然鄭經世愚伏初則隨其土俗不免輕侮之其後覺悟常尊稱之臣亦親聞其尊之之語也以此觀之其中有賢
國朝編年v19瑗等往禦之○以都監大將申景禛禎及具宏領京砲手畿內軍兵把守臨津○以沈器遠爲都巡檢使金長生爲全羅道號召使張顯光爲慶尙道號召使使之召募勤王○命諸道勤王○以戶曹判書李聚近邑兵守南漢山城○因臺臣金堉所啓罷戶牌焚其成籍
國朝編年v20其孤陋仰陳聾瞽之見伏願聖明試垂察焉臣謹按禮爲人後者爲之子至若祖子孫相承正統古今天下安有異議張維鄭經世張顯光輩所引說皆爲人後之君私尊崇其所生父母者也與今日殿下之承宣祖之統不爲人後者大相不侔而廷臣感於無據臆說辨
紀年便攷v17張顯光
紀年便攷v17張顯光仁同人烈子晩族侄明宗甲寅生鄭逑姪婿字徳晦號旅軒鄭逑門人與鄭經世郭再祐從逰少孤力學深於性理宣祖丙子年二
紀年便攷v17已有重望述宣祖戊子生貟己丑以叅奉登增廣歴待教壬辰起義兵屢有戰㓛癸巳卒于軍中年三十九子光繼字以志逰鄭逑張顯光之門駕學力行光海時杜門 仁祖丁卯顯光檄光繼將禮安義兵除教官辭歸丙子倡義連有除旨皆不就
紀年便攷v17李介立慶州人字大中號櫟峯又省吾堂宣祖朝與張顯光屢舉遺逸官止山隂守壬辰爲義兵將
紀年便攷v20浩繁宜先裁省量入為出擇堂郞各一人勾管議定從之○罷女樂㷊沉香山軒架雜像於通衢皆廢朝時費民力造成者也○命張顯光金集朴知誡不拘資格并授六品職仍使之駕轎上来又命廢朝時直言被罪儒生趙慶起洪茂績金堉趙絅姜鶴年朴知讓等除
紀年便攷v20班在司藝之下以金長生朴知誠張顯光為之鄭曄為大司成
紀年便攷v20訓錬大將申景禛守臨津以沈器遠為都巡檢使與從事李尚岌羅萬甲南下使李曙守南漢山城○以金長生為全羅道號召使張顯光為慶尚道號召使且命諸道勤王○盡釋竄謪人惟廢朝㓙黨不論○賊陷安州兵使南以興牧使浚等死之賊兵到清川江巡城
紀年便攷v21裵尙龍楔子字子章號藤菴遊鄭逑張顯光之門以力學稱痛父死於非命不事擧業仁祖丁卯張顯光爲號召使尙龍從幕下參決軍事丙子從觀察使沈演共議軍事年八十二卒臨歿戒子弟銘旌只書居士
紀年便攷v21裵尙龍楔子字子章號藤菴遊鄭逑張顯光之門以力學稱痛父死於非命不事擧業仁祖丁卯張顯光爲號召使尙龍從幕下參決軍事丙子從觀察使沈演共議軍事年八
紀年便攷v21全湜沃川人汝霖子明宗癸亥生字淨遠號汾西柳成龍張顯光門人居尙州宣祖己丑司馬壬辰倡義募士殺賊數十餘以大臣薦除連原察訪癸卯以直長登明經科光海政亂棄官歸鄕里與
紀年便攷v22知誡世茂孫郡守應立子李景稷妹夫宣祖癸酉生字仁之號潛冶成渾門人從李珥遊宣祖朝授師傅洗馬仁祖癸亥與金長生張顯光同時應命議定啓運宮喪禮時議不合還歸新昌有學行以持平力主章陵追崇之議又以寧越郡守上疏請追崇大被仁祖眷遇
紀年便攷v22鄭克後延日人主簿三最子宣祖丁丑生宇孝翼號雙峯張顯光門人仁祖甲戊薦除敎官不就丙子以宣陵參奉上疏論事癸未以王子師傳因災異上疏不報孝宗甲午卒年七十八
紀年便攷v23金應祖榮祖弟金誠一孫婿字孝徵號鶴沙居安東鄭逑柳成龍張顯光門人光海癸丑進士仁祖癸亥登謁聖歷三司官止右尹文章學行爲士林所推院享
紀年便攷v23鮮于浹太原人崇仁殿監寔子宣祖戊子生字仲潤號遯菴始就鄕先生金台佐學往拜張顯光又贄于金集蔚然爲西土儒宗父師之後復闡洪範遺緖人稱關西夫子關西有三儒安定定州韓禹臣沸流成川朴大德樂浪平
紀年便攷v23姜大遂翼文子宣祖辛卯生字學顏一勉哉初名大進號秩磵又春磵又寒沙又晩隱居陜川張顯光門人光海庚戌二十生進俱中壬子登增廣歷翰林三司甲寅以正言扶綱常論隻擎救鄭蘊被謫淮陽己未聞深河密旨撤食痛
紀年便攷v23許厚磁曾孫進士亮子宣祖戊子生字重卿號觀雪又逸休又遯溪十五師事南士金暹生又師張顯光光海時隱居原州遊名山水往見鄭逑仁祖反正初因李元翼薦拜內侍教官上宰相書言宣祖廟號非宗貶於祖丁卯原州人勤
紀年便攷v23李惇敍惇五弟宣祖己亥生字子倫號晩沙張顯光門人仁祖丙子亂避兵江華城䧟被虜歎曰吾家世以忠孝聞吾苟不死與覆宗何異自投鎭江之澤而死乃丁丑正月也年三十
紀年便攷v24張鳳翰仁同人字文擧從鄭逑張顯光學宣祖壬辰捕倭將義兵將金沔將上切行在鳳翰固辭乃止仁祖丙子虜圍南漢鳳翰日夜呼泣使其子以兪糾合義勇和成乃
紀年便攷v24朴晉慶密陽人字明述少師張顯光顯光以女妻之崔鳴吉薦其學行涂寢郞丙子從崔睍倡義圍解後涂官肅命卽還濦居金烏山下及卒鄕人祭于社
紀年便攷v24金寧善山人字汝和受業於鄭逑張顯光中司馬旋登文科時鄭造尹訒倡凶論寧憂憤不食棄官歸屢涂皆不起仁祖反正始出仕官止司藝丙子年七十一聞難奮然倡
紀年便攷v24金迬義城人字汝定從張顯光學仁祖丁卯與顯光倡義勤王癸酉進士丙子上幸南漢直往之門閉不得入遂歸起義旅聞和成慟哭而歸戊寅聞淸人徵兵與
紀年便攷v24申達道鵝州人字亨甫少遊張顯光門中進士値昏朝杜門自守仁祖反正後登庭試入臺閣以直諫聞丁卯虜入平山達道曰奮揚威武勿以斥弱及和議作達道爭
紀年便攷v25李惟泰慶州人曙號月峯子宣祖丁未生字泰之號草廬金長生張顯光門人與宋時烈宋浚吉爲道義交仁祖甲戌以學行薦授齋郞歷大君師傅議孝宗戊戌拜持平歷贊善官止大司憲金集嘗曰英
東國歷代總目v02淸兵還助兵陷椵島○世子及鳳林大君質于瀋判書金尙憲參判鄭蘊在南漢自裁不殊退歸嶺南儒臣張顯光入深山不復出後當歲時上猶於禁苑西向哭拜以伸望闕之禮
歷代帝王紀年v01鄭蘊輝遠桐溪安陰人金光遠月峯院在長興張顯光德輝仁同人旅軒
寒岡先生言行錄謬條辨破錄之贈而旅軒先爲贈爵宋同春浚 吉建白經筵曰先正臣鄭逑張顯光之師 也贈未及師而先弟子事甚不當上然 之特爲俱贈謹
靑邱風雲v1愼號秋浦吳允謙號秋灘金號夢村李植號澤堂鄭百昌號玄谷吳竣號竹南晚翠子李志賤號沙浦字彈琴張顯光號旅軒鄭□...□□...□愚□...□柳根號西坰金誠一號鶴峯權韠號石洲鄭斗卿號東溟李志遠號聽蟬洪可
靑邱風雲v1人小北然小北中北不能自立爭附於西南者甚衆上以朝臣西南強弱未嘗不爲之扶抑而臨御二十七年南人無柄用者惟張顯光擢冢宰李聖求乘丙子胡亂得至三事李成渾從祀之論已發南人猶醜斥不已孝宗初元西人亦秉政禮羅賢俊倡大義於天
國朝人物志v2夏雲天幸欲酬恩愛安能繼父賢人物考謪謫驪州時住戶長家織席爲業戶長妻死公指揮治喪旅軒張顯光笑曰領議政治戶長妻喪戶長侈矣旅軒續集
國朝人物志v2字子固號陋菴靑松人旣冠受學于寒岡鄭逑又從旅軒張顯光游婦家稍饒富婚時服食之澤皆屛斥俾不以近身仍着菲衣曰號我百結居士足矣當光海時年雖甚少已能屛
國朝人物志v3字孝翼號雙峯老人延日人高麗直臣襲明之後嘗從旅軒張顯光學顯光一見異之待以朋友又摳衣於寒岡鄭逑逑常目送曰月城復有人官至王子師傅人物考
國朝人物志v3字明之號竹磵信川人與旅軒張顯光膺六條薦擢拜長水縣監爲星州牧時聞李适叛調兵食馳赴扞衛爲一道先仁祖大嘉之賜馬諭之
國朝人物志v3建極之說甲戌拜工曹判書遷左參贊姜弘立誘淸兵來也問今在朝者何人或對曰鄭經世爲吏判張顯光爲參贊弘立曰二人在朝必不以非禮導君遂退兵丁丑聞南漢事歎曰無天無日有往奚適因之立巖不返
國朝人物志v3言雖過非內懷至忠不能也只削職癸亥仁祖反正召以副提學首言請罷內需司因旱上箚言君德薦張顯光柳袗己巳拜吏曹判書兼大提學時文一變尙典雅諡文肅人物考
國朝人物志v3字德勇號澗松咸安人幼瑩秀不凡從旅軒張顯光學四十年潛心洛建之業自治甚嚴所居有江湖樓臺之勝有時從扁舟泝洄吟弄光海時鄭仁弘遙執朝
國朝人物志v3字晉甫號懶齋鵝州人校理達道弟貌如玉沈重異凡兒旅軒張顯光敎之聰明日進十餘歲通經史百家丙午進士甲子文科丁卯扈駕江都戊辰以書狀官航海赴燕京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