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오윤겸(吳允謙)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24C724ACB8B1559X0
자(字)여익(汝益)
호(號)토당(土塘)
시호(諡號)충간(忠簡)
생년1559(명종 14)
졸년1636(인조 14)
시대조선중기
본관해주(海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오희문(吳希文)
저서『추탄문집』
저서『동사일록(東槎日錄)』
저서『해사조천일록(海槎朝天日錄)』

[상세내용]

오윤겸(吳允謙)
1559년(명종 14)∼1636년(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익(汝益), 호는 추탄(楸灘) 또는 토당(土塘).
1. 가계와 출사
선공감역 오희문(吳希文)의 아들이고,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82년(선조 15) 사마시에 합격한 뒤 1589년 전강에서 장원하여 영릉참봉(英陵參奉)봉선전참봉(奉先殿參奉) 등을 역임하였다.
2. 관직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호체찰사(兩湖體察使) 정철(鄭澈)종사관으로 발탁되었으며, 시직(侍直)을 거쳐 평강현감으로 5년간 봉직하면서 159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현감을 그만둔 뒤 한때 결성(結城)에 우거하였다가 홍문관부수찬이조좌랑지제교부교리를 역임하였다.

1602년 모함을 받아 곤경에 처하여 있던 스승 성혼을 변호하다가 시론(時論)의 배척을 받아 경성판관으로 출보(黜補)되었으며, 그뒤 7, 8년간 안주목사동래부사 등의 외직을 전전하였다.

이러한 와중에서도 안주성의 축조를 담당하였으며, 북도순안어사(北道巡按御史)로서 함경도의 민폐를 조사하기도 하였다.

1610년(광해군 2) 비로소 내직으로 들어와 호조참의우부승지좌부승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당시의 권신인 정인홍(鄭仁弘)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의 문묘종사를 반대, 사림과 대립하자 이를 탄핵하다가 왕의 뜻에 거슬린 바 되어 강원도관찰사로 좌천되었다.

1년 남짓 관찰사로 재임하는 동안 기민(饑民)을 구제하고, 한편으로는 영월에 있는 단종의 묘를 수축하여 그 제례절차와 각 고을로부터의 제수마련 법식을 제정하여 이후 이를 준용하게 하였다.

다시 중앙으로 들어와 첨지중추부사가 되었으나, 집권세력인 북인의 발호로 계축옥사가 일어나는 등 정계가 혼란해지자 늙은 어버이의 봉양을 구실로 광주목사(廣州牧使)를 자원하였다.

1617년 다시 첨지중추부사가 되어 회답 겸 쇄환사(回答兼刷還使)의 정사로서 사행400여명을 이끌고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포로 150여명을 쇄환하였는데, 이때부터 일본과의 수교가 다시 정상화되었다.

1618년 폐모론이 북인들에 의하여 제기되자 이를 반대, 정청(庭請)에 불참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탄핵을 받자 벼슬을 그만두고 광주 선영하의 토당(土塘)으로 물러나 화를 피하였다.

1622년 명나라 희종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한 하극사(賀極使)로 선발되어, 육로가 후금에 의하여 폐쇄되었으므로 바다로 명나라를 다녀와 그 공으로 우참찬에 올랐다.

이듬해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대사헌에 임명되고, 이어 이조형조예조판서를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북인 남이공(南以恭)의 등용문제로 서인이 노서(老西)‧소서(少西)로 분열될 때 김류(金瑬)김상용(金尙容) 등과 함께 노서의 영수가 되어 남인‧북인의 고른 등용을 주장, 민심의 수습을 꾀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공주까지 호종하였다. 이어 예조판서지중추부사를 거쳐, 1626년 우의정에 올랐다.

이듬해 정묘호란이 발생하자 왕명을 받고 자전(慈殿)과 중전을 봉행하여 먼저 강화도로 피난하였으며, 환도 뒤 좌의정을 거쳐 1628년 70세로 영의정에 이르렀다.

이때 노서‧소서간의 대립과 갈등이 심해지자 이의 중재에 힘썼으며, 특히 경연에서 정치혁신을 위한 왕의 각성과 성리학에의 전념을 촉구하였다.

이듬해 인조의 생부인 정원군(定遠君)원종(元宗)으로 추숭하고 또 부묘(祔廟)하려는 논의가 일자 이에 반대하여 영돈녕부사로 물러났다가 1633년 좌의정에 재임되고 기로소에 들어갔다.

인열왕후(仁烈王后: 仁祖妃)의 상에 총호사(摠護使)로서 과로한 나머지 병을 얻어 죽었다.
3. 업적과 평가
예론에 일가견을 가져, 특히 인조 생부의 추숭과 부묘론에 있어 선조의 왕통을 이어받은 인조선조가 비록 할아버지이기는 하나 예묘(예禰廟: 아버지의 사당)에 해당되므로 왕이 아닌 대원군(大院君: 仁祖 生父)을 예묘로 삼는 것은 예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함으로써 부묘반대론의 논리적 근거를 세웠다.

외직에 있으면서 평강현경성부의 민폐를 다스려 선치수령(善治守令)으로 명성을 얻었고, 중앙관으로는 온아단수(溫雅端粹)하고 공정한 자세를 견지, 주위의 촉망을 받았다.

만년에 재상의 자리에 10여년간 있을 때 백성의 편의를 위하여 연해공물(沿海貢物)의 작미(作米)와 대동법의 시행을 추진하고 명분론의 반대를 물리치면서까지 서얼의 등용을 주장하였으며, 또한 사림을 아끼고 보호함으로써 어진 재상이라 불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아 경제(經濟)의 재주가 부족하고, 시폐와 왕의 잘못을 직언하는 기개가 모자라 평소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또 덕업의 수양에만 힘쓸 뿐 사장(詞章)에는 뜻을 두지 않았으나 그 문장은 평이하면서도 조리가 있고, 시는 맑으면서도 운율에 어긋남이 없었다고 하며, 성혼 문하의 대표적인 인물로 손꼽히고 있다.

이귀(李貴)정경세(鄭經世)이준(李埈)김류 등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이귀와는 동문수학에 외가로 척의가 있고, 임진왜란중에 친교가 두터웠다. 다만, 뒤에 노서‧소서의 대립에 이귀가 소서의 영수가 되어 추숭을 적극 추진하자 틈이 벌어졌다.

죽기 직전 유언으로 조정에 시호를 청하지 말 것과 신도비를 세우지 못하게 하였으나, 1663년(현종 4) 충간(忠簡)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광주(廣州)구암서원(龜巖書院)에 배향되고, 평강산앙재영당(山仰齋影堂)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시문과 소차를 모은 『추탄문집』을 비롯하여 『동사일록(東槎日錄)』『해사조천일록(海槎朝天日錄)』 등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楸灘文集
瑣尾錄

[집필자]

정만조(鄭萬祚)

성명 : "오윤겸(吳允謙)"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6罪人歟朴廷齋集○兩臣賢否不難知也當時陷李珥者鄭汝立也陷成渾者鄭仁弘也兩臣門人著聞者趙憲重峯金長生沙溪吳允謙楸灘李貴黃愼等秋浦其他行已有度居官廉潔者及屛居田野修身潔行而終焉者亦不少自今觀之汝立仁弘之言爲是耶趙
國朝編年v18奮哉新榜謝恩請停於慶運宮○日本遣使請和關白源家康要請信使曰壬辰犯順之賊爲上國今盡除滅遣回答使兼刷還使吳允謙副使朴榟等兼探情形奏聞○夏六月咸鏡監司狀聞道內北靑甲山等邑白蝶自西北流入如長蛇陣連二日不止○秋九月謁
國朝編年v18李恒福疏陳虞舜誠孝獻議金德諴權士恭金權湜之孫李愼儀金知粹立盡獻議庭請不參判中樞尹昉李廷龜金尙容吳百齡吳允謙李景稷朴自凝疎庵任叔英聞爾瞻廣收廢議以爲箝制之計草數百言眞截忠誠惻怛請與同草樓往手攫盤中餞給童奴曰此
國朝編年v19性命無違至意○司諫鄭蘊引避曰臣於廢東宮按法之啓未免隨參矣及見聖批愚裏自激初未堅執幾誤聖德請遞云大司憲吳允謙大司諫朴東善執義趙希逸竝引避以爲不純將順聖意及見鄭蘊之避不覺瞿然諸遞云大司憲李貴持平沈器遠金自點論啓
國朝編年v20人君獨食稻米乎知經筵事金尙容曰此不通之說也天生金玉豈使人君獨用之乎然定爲品制故下民不敢服用上問領議政吳允謙曰此言何如對曰臣亦自少以玉食爲白飯今聞張維之言甚有理也○六月皇朝經略袁崇煥誅毛文龍于寧遠衛前洋雙島以
紀年便攷v17申應榘用漑玄孫同中樞橃子金悌男婿初吳允謙妹夫后明宗癸丑生字子方號晩進軒成渾門人又遊李珥之門宣祖庚辰薦授內贍參奉不就壬午司馬除靖陵參奉再為王子
紀年便攷v17吳允謙海州人監役希文子明宗己未生字汝益號楸灘又土塘成渾門人與黃慎并稱牛門两生渾曰異某亂邦可居 宣祖壬午司馬
紀年便攷v17吳允謙
紀年便攷v20因禮曺判書李廷龜大司憲吳允謙所奏有是命
紀年便攷v20元翼時年七十七入對首陳廢主全恩脅從罔治之請上將行親政以申欽為吏曺判書李廷龜為禮曺判書徐渻為刑曺判書吳允謙為大司憲鄭經世為副提學金長生為掌令張維李植為吏曺佐郞鄭蘊為獻納金德諴為司諌鄭弘翼為大司成識者以為天下
紀年便攷v20朝議避兵以金尚容為留都大將呂䄄吉為副使守都城二十七日入江都領議政尹昉右議政吳允謙吏曹判書金瑬賛成李貴兵曺判書李聖求禮曹判書李廷龜户曺判書金藎國參判崔鳴吉金自點張維等從之
紀年便攷v20曺判書李廷龜涕泣進曰上在憂服中不可親行之意已極言於胡差此則臣以當之上於本府大㕔焚香使承旨讀誓文廷龜與吳允謙金瑬李貴申景禛會盟於西郊廷龜等往見胡差於燕尾亭論定約條翌日撤兵還称以兄弟之國撤兵後不復踰鴨綠江且天朝
紀年便攷v20先是追尊大院 君時李廷龜鄭經世張維趙翼謂當称考别廟綾原君主祀吳允謙金長生謂當称泊叔父别廟綾原君主祀而李貴兪伯曾朴知誡等皆以称考享宗廟為正及府夫人卒講定服制議者欲從為人
紀年便攷v20時李守白斬重老首邀功於适及适敗走利川守白以斬适歸順貸其死至是重老之子文䧺斬守白頭詣闕請死上議大臣大臣吳允謙金瑬等引梁成安樂之子京雋我朝中㴐之子用漑事以證之曰不斬守白者一時慮後之計也子復父讎者萬古經常之義也上
紀年便攷v21大院君則本無出繼之事乃君之父母也其可謂私親而使綾原君奉祀乎時廷論攻升貴立廟之議不遺餘力貴乃貽書于大臣吳允謙責以失禮請立稱廟又上箚屢萬言又於經筵啓曰小臣若爲吏判則如朴知誡者布列朝廷何難於此禮又曰以臣爲吏判則當
紀年便攷v21吳允謙見宣祖朝列傳
紀年便攷v21具鳳瑞壽福玄孫司諫棨子吳允謙壻學于允謙宣祖丙申生字景輝號洛洲又竹陵又洛浦權韠門人兒時入李恒福宅採荷花恒福招之使賦詩免罪鳳瑞應聲曰
紀年便攷v22曰未必吾登第無令毋倚門與李時稷黃宗海爲道義交又受學於洪正字信民光海時不赴場屋仁祖朝有追崇議抗疏論其非吳允謙擬相禹以童敎上大怒至罷銓郞華使至以白衣與儐幕之選丁卯以儒生上疏斥和議孝宗朝薦拜齊陵參奉都事皆不就丁酉
東國歷代總目v02○上誅鄭仁弘李爾瞻韓纉男鄭造尹訒朴燁鄭遵等以李元翼爲領相召還鄭蘊鄭弘翼金德諴於謫所宣祖朝舊臣尹昉申欽吳允謙李廷龜鄭經世等及其他以言獲罪者皆收用策靖社功臣錄金瑬等五十人○甲子李适以平安兵使叛兵逼京城上幸公州○
羹墻錄v1之國朝寶鑑十年壬申追尊定遠大院君爲王廟號曰元宗改興慶園爲章陵時李廷龜鄭經世張維趙翼謂當稱考別廟吳允謙金長生謂當稱伯叔父別廟李貴兪伯曾朴知誡以稱考享宗廟爲正及連珠府夫人薨崔鳴吉上箚言追崇之不可已敎曰
記聞v1錄竭誠炳幾翊命寧社功臣許䙗等十一人誅沈器遠錄效忠奮武炳幾決策淸難功臣具仁垕等四人○相尹昉申欽吳允謙金瑬李廷龜金尙容○李聖求丁丑以後洪瑞鳳崔鳴吉張維起復不出申景禛武勳沈悅姜碩期沈器遠蔭勳金自點蔭勳李
國朝捷錄v01吳允謙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之中雖或出仕老 病難察摠護之任且仁烈王后之喪左議政吳允謙爲摠護使 病勢深重以右議政洪瑞鳳啓下代行雖非左議政
重訂南漢志v1丑賜額前朝判典校寺事李集號遁村左參議李養中號石灘主享成宗朝承旨鄭誠謹仁祖朝左副賓客鄭曄號守夢配領議政吳允謙號楸灘持平任叔英追配
靑邱風雲v1芝峯李好閔號五峯趙翼號浦渚吳億齡號晚翠李元翼號梧里任叔英號疏菴金弘敏號沙澤黃愼號秋浦吳允謙號秋灘金號夢村李植號澤堂鄭百昌號玄谷吳竣號竹南晚翠子李志賤號沙浦字彈琴張顯光號旅軒鄭
東國續修文獻錄v1尹昉字可晦號稚川斗壽子文領相文翼申欽字敬叔號象村平山人文領相文貞文章名世吳允謙字汝益號秋灘海州人文領相力爭追崇文貞金瑬字冠玉號北渚順天人文領相文忠李廷龜字聖徵號月沙
東國續修文獻錄v1沈詻重卿靑松人八十四參贊金尙憲見相八十三徐景雨見相七十三尹絅美仲坡平人九十八知中李必榮而實廣州人留守吳允謙見相七十八李久澄澄源全州人知中閔馨男潤夫驪興人九十六判中金壽賢廷安豐山人參贊南以恭子安宜寧人七十六判
國朝人物志v3字景輝號洛洲綾城人吏曹正郞忭曾孫右相吳允謙以女妻之學詩于石洲權鞸戊午生員仁祖反正問士於大司成鄭曄曄以鳳瑞對李适
國朝人物志v3适亂賊將李守白斬榮臣頭适平後之屛杖殺守白提其頭請命有司上甚誼之然慮後弊欲施償命大臣吳允謙等引韓愈復讐議張瑝成景嶲故事以爲情有可原上從其議止配義城宥還官至奉事年八十四終人
睡翁先生日記n1-2책晴聞今初三日自上親莅盟與胡 差劉海等焚香誓天而右相吳允謙延平府院君 李貴昇平府院君金瑬兵曹判書李廷龜及武臣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