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철(鄭澈)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15CCA0FFFFB1536X0
자(字)계함(季涵)
호(號)송강(松江)
시호(諡號)문청(文淸)
생년1536(중종 31)
졸년1593(선조 26)
시대조선전기
본관영일(迎日)
활동분야문학 > 문인
정유침(鄭惟沈)
문화유씨(文化柳氏)
처부유강항(柳强項)
출생지서울
저서『송강집』
저서『송강가사』
저서『송강별집추록유사』
저서『문청공유사(文淸公遺詞)』
저서『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

[상세내용]

정철(鄭澈)
1536년(중종 31)∼1593년(선조 26). 조선 전기의 문인‧정치가.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서울 출생.
1. 가계와 유년시절
돈녕부판관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다.

어려서 인종의 귀인인 큰누이와 계림군(桂林君) 유(瑠)의 부인이 된 둘째누이로 인연하여 궁중에 출입, 같은 나이의 경원대군(慶源大君: 명종)과 친숙해졌다.

10세 되던 해인 1545년(명종 즉위)의 을사사화에 계림군이 관련되자 그 일족으로서 화를 입어 맏형은 장류(杖流) 도중에 죽고 부친은 유배당하였는데, 그도 관북(關北)정평(定平)연일 등 유배지를 따라다녔다.

1551년에 아버지가 귀양살이에서 풀려나자 그 할아버지의 산소가 있는 전라도 담양 창평 당지산(唐旨山) 아래로 이주하게 되고, 이곳에서 과거에 급제할 때까지 10년간을 보내게 된다.

여기에서 임억령(林億齡)에게 시를 배우고 김인후(金麟厚)송순(宋純)기대승(奇大升)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이(李珥)성혼(成渾)송익필(宋翼弼)같은 유학자들과 친교를 맺었다.
2. 관력과 작품활동
17세에 문화유씨(文化柳氏) 유강항(柳强項)의 딸과 혼인하여 4남 2녀의 자녀를 두었다.

1561년(명종 16) 26세에 진사시 1등을 하였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첫 벼슬은 사헌부지평, 이어 좌랑현감전적도사를 지내다가 31세에 이르러 정랑직강헌납을 거쳐 지평이 되었다가 함경도암행어사를 지낸 뒤 32세 때 이이(李珥)와 함께 사가독서하였다. 이어 수찬좌랑종사관교리전라도암행어사를 지내다가 40세인 1575년(선조 8)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뒤 몇 차례 벼슬을 제수받았으나 사양하고, 43세 때 장악원정을 배수하고 조정에 나왔다. 이어 사간집의직제학을 거쳐 승지에 올랐으나, 진도군수 이수(李銖)의 뇌물사건으로 반대파인 동인의 탄핵을 받아 다시 고향으로 돌아갔다.

1580년 45세 때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때 「관동별곡」과 「훈민가(訓民歌)」16수를 지어 시조와 가사문학의 대가로서의 재질을 발휘하였다.

그뒤 전라도관찰사도승지예조참판함경도관찰사 등을 지냈으며, 48세 때 예조판서로 승진하였고 이듬해 대사헌이 되었으나 동인의 탄핵을 받아 다음해에 사직, 고향인 창평으로 돌아가 4년간 은거생활을 하였다.

이때 「사미인곡」‧「속미인곡」‧「성산별곡」등의 가사와 시조‧한시 등 많은 작품을 지었다.

54세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이 일어나자 우의정으로 발탁되어 서인의 영수로서 최영경(崔永慶) 등을 다스리고 철저히 동인들을 추방하였으며, 다음해 좌의정에 올랐다.

56세 때 왕세자 책립문제인 건저문제(建儲問題)가 일어나 동인파의 거두인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와 함께 광해군의 책봉을 건의하기로 하였다가 이산해의 계략에 빠져 혼자 광해군의 책봉을 건의하였다.

이에 신성군(信城君)을 책봉하려던 왕의 노여움을 사서 “대신으로서 주색에 빠졌으니 나랏일을 그르칠 수밖에 없다.”는 논척을 받고 파직, 명천에 유배되었다가 진주강계로 이배되었다.

57세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귀양에서 풀려나 평양에서 왕을 맞이하고 의주까지 호종, 왜군이 아직 평양 이남을 점령하고 있을 때 경기도충청도전라도체찰사를 지내고, 다음해 사은사(謝恩使)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러나 동인의 모함으로 사직하고 강화송정촌(松亭村)에 우거하다가 58세로 죽었다.
3. 작품 및 저서
작품으로는 「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성산별곡」 등 4편의 가사와 시조 107수가 전한다. 시조는 『송강별집추록유사(松江別集追錄遺詞)』 권2에 「주문답(酒問答)」 3수, 「훈민가」 16수, 「단가잡편(短歌雜篇)」 32수, 「성은가(聖恩歌)」 2수, 「속전지연가(俗傳紙鳶歌)」 1수, 「서하당벽오가(棲霞堂碧梧歌)」 1수, 「장진주사(將進酒辭)」 등이 실려 있다.

상당히 중복되기는 하나 성주본(星州本)과 이선본(李選本)『송강가사(松江歌辭)』에도 많은 창작시조가 실려 있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송강집』과 시가작품집인 『송강가사』가 있다. 전자는 1894년(고종 31)에 간행한 것이 전하고, 후자는 목판본으로 황주본(黃州本)‧의성본(義城本)‧관북본(關北本)‧성주본(星州本)‧관서본(關西本)의 다섯 종류가 알려져 있으나, 그 중 관북본은 전하지 않고 나머지도 책의 일부만 전한다.

또, 필사본으로는 『송강별집추록유사』『문청공유사(文淸公遺詞)』가 있으며, 한시를 주로 실은 『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 2권 1책도 판각본으로 전한다. 창평송강서원, 연일오천서원(烏川書院) 별사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참고문헌]

李朝時代의 歌謠硏究(金思燁, 大洋出版社, 1956)
訓民時調硏究(尹星根, 한뫼金永騎先生古稀紀念論叢, 1971)
松江歌辭의 硏究 1∼3(李秉岐, 震檀學報 4‧6‧7, 1975)
松江의 前後美人曲의 硏究(徐首生, 慶北大學校論文集 6)
松江‧蘆溪‧孤山의 詩歌文學(朴晟義, 玄巖社, 1966)
장르論的 關心과 歌辭의 文學性(金炳國, 현상과 인식, 1977. 겨울호)

[집필자]

김학성(金學成)

명 : "철(澈)"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0乎近者論劾人物者例必波及朋儕故論一人擧朝騷擾殊乏忠厚安靖氣象此非聖代之所宜有也臣等所劾止於義謙而已其論心事雖或不同無甚大關少有角立之理而議論紛絃未息此由臣等平日言行不能見信於人請遆時輩深嫉鄭澈若遆承勳則
紀年便攷v13嘗有宴會滿朝畢赴獨李山海有故不至作詩送之欵以鵝翁澈曰大監今日直發自家殾山海聞之大憾宣祖癸未金宇顒䓁以救李珥論劾 上曰鄭某其心正其行方惟其舌直故見憎於人若其忠清節義草木亦知真所謂鵷班之鶚殿上之猛虎也若罪
紀年便攷v13是朱雲可斬乙酉以後退䖏南中李珥被劾澈山爲東伯上疏修 魯山君墓己丑入相至左汝立獄多傳生意崔永慶之入鞫獄實營救而反被鍜鍊之誚及其再入澈已不在委官欲上䟽救之未果而東人猶以爲澈之所誣殺以此流竄不容於朝至於身後
紀年便攷v13驄馬御史之稱善歌辭作關束别曲思美人曲一世傳誦莅關東爲訓民曲趙憲爲全都未㡬澈爲監司憲與李潑金宇顒遊信毀之說即請去澈請見曰公與我素昧何以知其凶險耶留與共事見其爲眞小人然後去未晩也憲不聽澈介李珥成渾願與共事
紀年便攷v13善歌辭作關束别曲思美人曲一世傳誦莅關東爲訓民曲趙憲爲全都未㡬澈爲監司憲與李潑金宇顒遊信毀澈之說即請去請見曰公與我素昧何以知其凶險耶留與共事見其爲眞小人然後去未晩也憲不聽澈介李珥成渾願與共事旣而交義日蜜
紀年便攷v13澈介李珥成渾願與共事旣而交義日蜜憲曰始吾不明㡬失公矣嘗有宴會滿朝畢赴獨李山海有故不至作詩送之欵以鵝翁曰大監今日直發自家殾山海聞之大憾宣祖癸未金宇顒䓁以澈救李珥論劾 上曰鄭某其心正其行方惟其舌直故見憎於
紀年便攷v13與李潑金宇顒遊信毀澈之說即請去澈請見曰公與我素昧何以知其凶險耶留與共事見其爲眞小人然後去未晩也憲不聽介李珥成渾願與共事旣而交義日蜜憲曰始吾不明㡬失公矣嘗有宴會滿朝畢赴獨李山海有故不至作詩送之欵以鵝翁澈
紀年便攷v13被劾澈山爲東伯上疏修 魯山君墓己丑入相至左汝立獄多傳生意崔永慶之入鞫獄澈實營救而反被鍜鍊之誚及其再入已不在委官欲上䟽救之未果而東人猶以爲澈之所誣殺以此流竄不容於朝至於身後猶被追奪之典李珥每稱其耿介之操
紀年便攷v13至左汝立獄多傳生意崔永慶之入鞫獄澈實營救而反被鍜鍊之誚及其再入澈已不在委官欲上䟽救之未果而東人猶以爲之所誣殺以此流竄不容於朝至於身後猶被追奪之典李珥每稱其耿介之操而猶以獨狹病之觧職在南平時有詩曰掖垣南
紀年便攷v13直故見憎於人若其忠清節義草木亦知真所謂鵷班之鶚殿上之猛虎也若罪鄭澈是朱雲可斬乙酉以後退䖏南中李珥被劾山爲東伯上疏修 魯山君墓己丑入相至左汝立獄多傳生意崔永慶之入鞫獄澈實營救而反被鍜鍊之誚及其再入澈已不
紀年便攷v13之中必形諸歌詞少以清直著名有驄馬御史之稱善歌辭作關束别曲思美人曲一世傳誦莅關東爲訓民曲趙憲爲全都未㡬爲監司憲與李潑金宇顒遊信毀澈之說即請去澈請見曰公與我素昧何以知其凶險耶留與共事見其爲眞小人然後去未晩
郯述v02
國朝人物志v2中宗庚子進士文科檢閱乙巳以吏曹正郞被禍以桂林君瑠妻弟杖流道死國朝榜目弟文科右相號松江
國朝人物志v2字季涵號松江延日人判書淵玄孫父判官惟沈娶大司諫竹山安彭壽女生于漢陽十歲父罹乙巳士禍流落南方從金河西麟厚奇高峯大升學稍長與栗谷牛溪相友善
國朝人物志v2幾鄭澈爲本道觀察使憲與崔永慶李潑金宇顒相友善頗信其說以澈爲小人不可共事卽日棄去固請見曰聞公以我爲小人將去信否曰然澈曰留與共事見其爲眞小人然後去未晩也憲不聽成渾李珥
國朝人物志v2鄭介淸旣以儒術致名而實有將帥才介淸素不許左相鄭澈爲人曰其人飾情僞行非正人聞之深怒之未久有汝立事獄旣成丁巖壽洪千璟等發言介淸與汝立通及按問皆無實上意
國朝人物志v2字士潮延日人文淸公子庚寅進士辛卯文科壯元歷官司諫簡重寬弘儕流期以公輔辛卯鄭汝立誅松江膺大拜公以賢子
國朝人物志v2字汝章號石洲安東人習齋擘子爲人疏亢不羈少慕鄭澈風誼及謫江界時韠與李安訥往謁之澈大喜曰此行得見天上二謫仙客問其爲誰曰權韠李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