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경석(李景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CBDC11DB1595X0
자(字)상보(尙輔)
호(號)백헌(白軒)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595(선조 28)
졸년1671(현종 12)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유간(李惟侃)
저서『백헌집』

[상세내용]

이경석(李景奭)
1595년(선조 28)∼1671년(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
1. 가계
종실 덕천군(德泉君)의 6대손이며, 동지중추부사 이유간(李惟侃)의 아들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1613년(광해군 5) 진사가 되고 1617년 증광별시에 급제하였으나, 이듬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상소에 가담하지 않아 삭적(削籍)되고 말았다.
2. 관직
그뒤 1623년 인조반정이 있은 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를 시작으로 선비의 청직으로 일컫는 검열봉교로 승진하였고 동시에 춘추관사관(春秋館史官)도 겸임하였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으로 인조공주로 몽진을 하게 되자 승문원주서로 왕을 호종하여 조정의 신임을 두텁게 하였다. 이어 봉교전적예조좌랑정언교리 등을 두루 거친 뒤 1626년(인조 4)에는 호당(湖堂)에 선입(選入)되었다.

또한, 같은해말에는 이조좌랑이조정랑에 올라 인사행정의 실무를 맡게 되었다.

이듬해 정묘호란이 발발하자 체찰사 장면(張晩)종사관(從事官)이 되어 강원도 군사모집과 군량미조달에 힘썼다.

이때에 쓴 「격강원도사부부로서(檄江原道士夫父老書)」는 특히 명문으로 칭송되었다. 정묘호란 후 다시 이조정랑 등을 거쳐 승지에 올라 인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다.

1629년 자청하여 양주목사로 나가 목민관으로서의 실적을 올렸다.

그뒤 승지를 거쳐 1632년에는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대사간에 제수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대사헌부제학에 연배되어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갔다.

이듬해 인조가 항복하고 산성을 나온 뒤에는 도승지에 발탁되고, 예문관제학을 겸임, 「삼전도비문(三田渡碑文)」을 찬진하였다.

이듬해 문관으로서는 최대의 영예인 홍문관예문관 양관의 대제학이 되었고, 얼마 뒤 이조참판을 거쳐 이조판서에 발탁되어 조정인사를 주관하게 되었다.

1641년에는 청나라에 볼모로 가 있던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이사(貳師)가 되어 심양으로 가 현지에서 어려운 대청외교(對淸外交)를 풀어나갔다.

그러나 이듬해 엄금하던 명나라 선박이 선천에 들어온 일이 청나라에 알려지자, 그 사건의 전말을 사문(查問)하라는 청제(淸帝)의 명을 받고 서북지역으로 돌아왔으나 조선의 관련사실을 두둔하느라 청제의 노여움을 사 영부조용(永不調用)의 조건으로 귀국, 3년 동안 벼슬에서 물러났다.

1644년에 복직,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좌의정을 역임한 뒤 이듬해 마침내 영의정에 올라 국정을 총리하였다.
3. 사문사건
그러나 1650년에 효종의 북벌계획이 이언표(李彦標) 등의 밀고로 청나라에 알려짐으로써 사문사건(查問事件)이 일어나게 되었다. 청나라사문사남별궁(南別宮)에서 영의정 이경석정승판서 및 양사의 중신 등을 모두 세워놓고 북벌계획의 전말을 사문, 치죄하고자 하여 조정은 큰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그는 끝까지 국왕을 비호하고 기타 관련자들까지 두둔하면서 모든 것을 자신의 책임으로 돌림으로써 국왕과 조정의 위급을 면하게 하였다. 이에 청나라 사신들로부터 ‘대국을 기만한 죄’로 몰려 극형에 처하게 되었으나 국왕이 구명을 간청하여 겨우 목숨만을 부지, 청제의 명에 의하여 백마산성(白馬山城)에 위리안치되고, 이어 다시 영부조용의 명을 받아 벼슬에서 물러나 1년 남짓 광주(廣州)판교(板橋)석문(石門)에서 은거하였다.

그러다가 1653년(효종 4)에 겨우 풀려나 영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며, 1659년에는 영돈녕부사가 된 뒤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고, 1668년(현종 9) 인신(人臣)으로는 세기적 영예인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4. 학문
평생 『소학』『논어』를 거울삼아 수양하였고, 노년에는 『근사록』과 주자제서(朱子諸書)를 탐독하였다. 문장과 글씨에 특히 뛰어났는데 그의 시문은 경학(經學)에 근본한 것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문장은 “기력(氣力)이 웅혼(雄渾)하여 광화현란(光華絢爛)하며, 시도 활동양염(活動穰豔)하다. ”는 칭송을 받을 만큼 필력이 뛰어나 「삼전도비문」 등을 찬술하기도 하였다.

그의 정치적 생애는 17세기의 초기‧중기에 해당하는 인조효종현종의 3대 50년에 걸쳐 시국의 안팎으로 얽힌 난국을 적절하게 주관한 명상(名相)으로 보냈다. 그 자신이 지양하려던 의도와는 달리 생애 말년에는 차츰 당쟁 속에 깊이 말려들어가, 사후에는 심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백헌집』 등 유집 50여권이 간행되었고, 조경(趙絅)조익(趙翼) 등과 함께 『장릉지장(長陵誌狀)』을 편찬하였다. 글로는 「삼전도비문」이 있으며, 글씨로는 좌상이정귀비문(左相李廷龜碑文)‧이판이명한비(吏判李明漢碑)‧지돈녕정광성비문(知敦寧鄭廣成碑文) 등이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남원방산서원(方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白軒集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李景奭의 政治的 生涯와 三田渡碑文是非(李銀順, 韓國史硏究 60, 1988. 3.)

[집필자]

김성준(金成俊)

성명 : "이경석(李景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在交河舊治後○初葬坡州雲川里行錄孝宗御製行狀李景奭撰誌文趙綱撰○英宗辛亥移葬于此○肅宗癸亥定世室
國朝編年v16白軒年譜仁祖丙戌右議政李景奭請設廳以備水旱
國朝編年v19或致不安則痛迫之情反有大於不得用美棺之時仍以勿改可也於是只加着漆而已因繼錄○庭試取趙絅等四人○重試取李景奭等八人○遣姜弘立妾子璹朴蘭英子雴于虜中奇益獻等斬适明璉等也璉子潤脫身而逃匿于龜城地經年府使趙時俊始得
紀年便攷v19傍救觧上下城後因帰安東鶴駕山不復仕戊寅掌令柳碩持平朴啓榮李烓等啓請遠竄答曰金尙憲論罪太晩置之無妨吏參李景奭伸救上曰不問其君不哭其兄果謂人倫乎此時論尙憲可謂鳳鳴朝陽也竟削職庚辰入瀋陽拘因後疾欲淸人使出住義州癸
紀年便攷v20命大提學金瑬選李敬輿李景義李景奭李昭漢尹墀等
紀年便攷v20以錫之駿馬輕裘都人士女乃歌乃謳金甌依舊翠壇維新枯骨再肉寒荄復春有石嵬嵬大江之頭萬載三韓皇帝之休大提學李景奭製參判吳竣書參判吕爾徵篆清國及蒙古番文并書一碑先是倭有僭年號而不敢書送於我國文書丁丑後倭人以為爾旣背
紀年便攷v20急倒懸父不之救者其他凶悖之言不盡記羅萬甲言於張維曰一向哀乞萬無許和之理當以利害動得維従其言搆草使副學李景奭入陳其由上與金瑬取覧而鳴吉所撰專以哀乞為主故用其文瑬執鳴吉乎曰吾意與公雖同奈士論何鳴吉曰宰爲萬古罪人
紀年便攷v21春宮異域之行職在賓客初無願從請金尙憲遠竄邁邁歸鄕不顧分義請鄭蘊罷職上已不快於尙憲至是頗納其說吏曹參判李景奭曰尙憲等所執堂堂正論何可罪之上曰尙憲以世祿之臣棄君父不問潔身遠去果謂得其人倫乎此時論尙憲雖謂鳳鳴朝陽
紀年便攷v21尙憲病重殆不救貳師李景奭百計善圖淸主乃許令景奭領尙憲及曺漢英蔡以恒申得淵朴潢出義州拘留初尙憲與潢之入來雷卿之死皆由於朴𥶇之
紀年便攷v21春秋三十四諡曰昭顯世子喪禮無文可據初命三日入棺隷書銘旌以世子之柩勿設叢宮守墓官以宋臣都正爲之李景奭李植等上疏請百官白袍烏帽卒哭而除以應齊哀三月之義輔德徐祥履等上疏請百官定爲朞年之制禮曹服制式下敎曰自
紀年便攷v21等以此爲不可則世祖何以不封月山而封睿宗乎今日事不可徒守常道也上曰六卿亦各言其志工曹判書李時白吏曹判書李景奭俱以守經爲對贊成李德泂判尹許徽禮曹判書李植參贊金壽賢金堉戶曹判書鄭太和大司諫呂爾徵等皆曰惟在聖上與大
紀年便攷v21後大赦勅諭略曰今朕定中原登大位欲使恩及九州爾朝鮮沾化已久宜布寬恩將世子遣歸本國罷黜官員內李敬輿李明漢李景奭閔聖徽四員允世子淸許敍用歲貢盡屬民膏量減三節賀使俱於元朝幷賀於是王世子與鳳林大君撤質館而舁東還
紀年便攷v21啓請全恩上下嚴批大司憲洪茂績引避曰姜嬪可廢而決不可殺也殿下必欲殺姜嬪先殺臣然後乃可爲也大臣金瑬崔鳴吉李景奭李敬輿等引唐太宗處承乾事乞加善處上下嚴旨幷胥命闕外獨金自點曰今此一寡婦罪惡昭著只在自上處置乃命姜嬪廢
紀年便攷v21在坡州後移葬行錄孝宗御制行狀李景奭撰誌文趙絅撰
紀年便攷v21李景奭景稷弟柳穡壻宣祖乙未生字尙輔號雙溪又白軒金長生門人光海癸丑十九進士仁祖癸亥登增廣選湖堂歷翰林銓郞丙寅
紀年便攷v21李景奭見相臣
紀年便攷v21李景奭見相臣
紀年便攷v23時吟詩然無非思漢之語與海州鄕人建夷齊廟於首陽山每毅宗諱日焚香痛哭以此忤世遂罹冶長之厄在縲絏十年晏如也李景奭奉使赴燕格以野服騎牛餞于弘濟院袖詩贈之曰天下有山吾已遯城中無主一曰帝子誰朝肅宗庚申卒年八十四朴世采書
紀年便攷v24康汝楫信川人字齊卿居定州登文科仁祖甲子討适參原從功丙子入守凌漢山城擊北歸之虜有功李景奭薦于朝官止遂安郡守甲申從定沈器遠之亂參原從勳贈掌隷院判決事
紀年便攷v24許灌陽川人字學圃世居平壤早登文科倜儻有氣節仁祖丙子以延曙察訪從上入南漢城李景奭從灌言別築礮樓以備賊戊寅虜徵我兵西犯錦州李時英爲上將柳琳爲副灌與田闢充從事官灌曰兵事縱有所講助攻錦州
紀年便攷v25大王元年盡甲寅顯宗大王十五年凡二十五年庚寅孝宗大王元年永曆四年命溢憲疏箚勿爲捧入○淸遣使査事後領議政李景奭前大提學趙絅有罪安寘初金自點遭臺論免相後晤嗾親密首譯李馨長潛告于淸國日本國退黜舊臣引用山林之人將謀北
紀年便攷v25先是尹善道以水原府治爲上格龍天風水千載一遇之地議定新陵于水原上納其言李景奭李時白元斗杓李厚源李澥宋時烈宋浚吉等咸以爲水原卽畿輔關防旣有邑里撤移之弊又有後代五患之慮至若健元陵左
紀年便攷v25製古喪服以臨製布幞頭布公服布革帶以朝下禮曹議儒臣宋時烈宋浚吉等以爲當如朱子說大臣李景奭鄭太和等以爲先正臣李滉之爲此議也故相臣朴淳以禮官持難而不之改故儒臣金集之爲此議也故相臣金尙憲亦有所持
紀年便攷v25蓋欲如大明之萬歲山地旣純吉事又便當也或箚或疏爭之不已上遂用景奭等議卜新陵於健元陵左岡行錄顯宗御製行狀李景奭撰誌文宋時烈撰陵移葬
紀年便攷v26所㩀請令禯官儒臣追正喪服之失今大喪之練在前旣練之後期服已除雖欲悔之不可及也上命大臣儒臣獻議以定領敦寕李景奭議曰當初獻議旣以遵先王之制之意為對今許穆以為非古禮臣不冝更有所議判中樞元斗杓議曰許穆䟽說皆是經傳明文
紀年便攷v26之言也○行量田於忠清黃海二道命罪人出嫁女勿施連坐令中外鏤板掛壁従承旨南九萬之言也○賜几杖于領中樞府事李景奭宣教宣醖賜一等樂景奭時年七十四筵臣引故文忠公李元翼賜凡杖文正公金尙憲賜肩輿之例請施優老之典也○命越城
紀年便攷v26幸温陽之温泉王妃及四公主随行命本道道臣訪民候條列啓聞蠲戊申條田稅己酉條歲幣三月徃四月回鑾○領中樞府事李景奭上劄行朝請速回鑾䟽曰暮春和煦之節繁霜日降病患無䖏無之行中師旅徃徃病臥防之避之不可不宻也平昔朝端納履之
紀年便攷v26立収養遺棄兒法凡人取路傍遺棄兒者呈漢城府受公文任其為子為奴○命設壇于東西郊祭國中之饑疫死者○命故相臣李景奭限三年給䘵俸景奭家貧饋奠難繼鄭太和奏以宜有優恤有是命大臣喪後給祿始此○册封金氏萬基女為世子嬪
紀年便攷v26趙遠期希進孫䕃郡守時馨子李景奭婿仁祖庚午生字勉卿號尤峯孝宗庚寅生員顯宗庚子登増廣與弟昌期同榜歴三司官止通政海伯三兄弟文科昌期司諌弟
紀年便攷v27奭碑文投之水火以嚴斥之上従之并命削職於是進士李益明䓁上䟽辨之曰洪啓廸詆誣臣師前判書朴世堂而所怒只在於李景奭碑文数句欲為逞憾雪恥而恐其辭輩理弱不能動人因世堂有經書論辨之說遂乃掇拾換化駈納於毀經侮聖之科欲以藉重
紀年便攷v27之小枝聚徒教授敢以師道自居其所說徑鮮義者必以務勝前人為能其於朱子四書章句多所改易著為成說又撰出故相臣李景奭碑文誣辱先正臣宋時烈噫世堂此事非其始俑而有所従来䥴賊乃敢凌轢宋子誣辱中庸今世堂不以為戒而尋其前轍自作
紀年便攷v27昔仁祖大喪時文敬公金集亦以此進剳下詢諸臣議多難之事遂寢及己亥館學杭章儒臣宋時烈宋浚吉亦以為可行而大臣李景奭䓁皆以為不便亦莫之行㐲想両祖已然之事豈不以古今異宜空碍難行之故耶大司憲権尙夏曰儀禮斬棄章經曰君傳曰君
東國歷代總目v02庚寅元年明永曆五年○是歲永曆皇帝爲北軍所逼奔南寧明統墜○淸世祖順治七年淸使來竄相臣李景奭等○金自點子鉽及申冕怨宋浚吉等諸賢流言于淸淸主遣七使臨江驗問國內震懼景奭引以自當遣宗室女嫁淸貴臣事稍
見睫錄v1顯宗己酉神德王后將附太廟大臣李景奭鄭太和許積等皆請就陵寢題主參贊宋浚吉獨以爲今考寶錄神德王后葬訖返魂于仁安殿今其舊基未能的知而其在景福
記聞v1金尙容○李聖求丁丑以後洪瑞鳳崔鳴吉張維起復不出申景禛武勳沈悅姜碩期沈器遠蔭勳金自點蔭勳李敬輿徐景雨李景奭金尙憲南以雄李行遠鄭太和○配享領相文忠公李元翼領相文貞公申欽領相昇平君文忠公金瑬贈領相延平君忠貞公李
記聞v1宗年才十二月山稍長而世祖之處置如此未知其意之所在也上曰六卿亦各言志工判李時白贊成李德洞判尹許徽吏判李景奭禮判李植參贊金壽賢金堉戶判鄭太和大諫呂爾徵皆曰惟在聖上與大臣詳議爲之也上曰責在大臣定計可也卿等不爲明
大東彙纂v1氏權勢重矣又以判府事李敬輿先爲退出闕外初命削黜繼又命絶島栫棘又下備忘記直爲廢黜賜死言于兩司大臣金自點李景奭崔鳴吉卽卽爲承命而三司發啓連箚力爭不已景奭鳴吉又更箚請全恩三月十三日引見左相金自點原平君元斗杓等
大東彙纂v1稷生民大計反常行權其在古昔亦有此事此臣不敢抵死苦爭者也上曰此事領相決之領相金瑬曰臣雖首相何敢獨斷吏判李景奭曰國有長君雖曰社稷之福無易樹子是亦古人之訓常道之外豈有他哉禮判李植曰臣參在伩臣之列若問古事則臣固不讓
俟百錄v1以定今雖在外不可不詢問卽遣曹郞廳收議以成何如啓允禮曹啓目粘連掌令許穆上疏云云問子大臣儒臣則領敦寧府事李景奭議臣於當初獻議旣以遵先王之制之意對之矣今者許穆以爲非古禮臣不宜更有所議矣而當昭顯世子之喪臣敢以儀
俟百錄v1惟上裁左議政沈以爲臣之當初獻議旣不外於五禮儀而實錄所載又如此喪制宜從先祖臣豈有異見伏惟上裁領敦寧府事李景奭右議政元斗杓病不收議右參贊宋浚吉方在待罪中不敢獻議大臣之議如此伏惟上裁啓傳依諸臣議施行
小華龜鑑v1命圭正言魚震翼等啓二品以上賓廳啓竝並請議定祔廟之禮領相鄭太和判樞鄭致和等率百官逐日連啓宗室庭請獨領樞李景奭力沮之領相鄭太和左相許積等啓亟擧縟儀仅以慰神人之望答曰愼重之意不可自是卿等之請至此依啓施行禮曹啓神德
政堂故事v1啓以壬辰以前講官於王世子以小人自稱其後稱臣仍成規例今世孫前亦以小人自稱爲宜上從之又領議政金自點左議政李景奭右議政鄭太和以爲世子旣稱邸下世孫定以閤下爲宜從之
歷代帝王紀年v01李景奭尙輔白軒尹善道約而孤山參議尹宣擧吉甫魯西
國朝捷錄v01科崔鳴吉號遲川見相錄洪瑞鳳聖民侄見相錄金尙憲見相錄李植字汝固察訪安性子澤堂吏判四典孝宗入學時典文靖公李景奭見相錄李明漢字天章號白洲廷龜子吏判文靖公倫白沙門人鄭弘溟字子零畸庵澈子大司憲文貞公趙絅字日事號龍洲判
國朝捷錄v01字子容見文疇庵官至都憲澈子典文金世濂東溟克健子孝元孫廢母立異吳䎘天坡士廉子監司右金瑬選癸亥李敬輿見相李景奭見相李景義子方晩汝好閔侄尙閔子李昭漢道章玄洲白洲弟李志完妹夫尹墀洛濱字君玉新之子昉孫右金瑬又選趙絅見
郯述v01仁祖二十四年正使右議政李景奭副使右參贊金堉書狀直講柳淰
郯述v04座目未詳副學李景奭應敎栦濤本館錄李烓未參栦淰李行遠金宗一沈趙重呂柳淰六人加入
社稷署都提調先生案李景奭 戊戌十二月初一日
職官考v01李景奭
文獻攷略v1備○仁祖廟號左相李景奭等議上烈祖議者以爲此南唐徐知誥之號不可用乃改爲仁祖
文獻攷略v1明太子喪百官齋衰十三日而除繼用大臣之議改以朞服及考實錄更爲烏帽烏帶七日除兩司合啓請依前定朞服之制吏判李景奭護軍李植兵參李楘等亦上疏請百官白袍烏帽卒哭而除以應齊衰三月之制於是禮曹請議大臣更以齊衰三月而除輔德徐
文獻攷略v1彙○孝廟朝李景奭箚曰似聞駙馬公主俱入闕內宿留仍滯累日不出此言果或然耶此先朝之所未聞宣祖時所未有之事也宮禁不嚴固不可論
文獻攷略v1○己酉祔神德王后于太廟詳太祖朝貞陵廢復神德王后立主處所收議領中樞李景奭議丁丑亂後廟主新造之位奉安于世子宮別堂仍爲改題之所則臣請倣先正臣李滉所論就廟內而行之
大王大妃殿王大妃殿尊崇都監都廳儀軌尊崇都監都提調左議政沈之源 熟馬一匹 領中樞 府事李景奭半熟馬一匹賜給 提調判書許積‧參 判呂爾載‧左尹趙
尊崇冊禮謄錄n1-1책似未穩當議于大臣以啓事傳敎矣議于大臣 則領中樞府事李景奭以爲莫重莫大之禮爲私 親之喪而退行殊涉未安而期祥之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忍者也發引時仍爲陪往事更議于大臣 議于大臣則左議政李景奭以爲伏覩申敎之辭臣不勝哽咽感 泣不知所達以情禮言之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議公事更議 于大臣事傳敎矣本曹郞廳卽爲追往于左議政李景奭 所在處則以爲方以山陵更審事旣爲肅拜出來莫重收議臨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 己丑六月二十五日 山陵更審 一摠護使李景奭啓曰巫與山陵都監提調鄭世規禮曹判 書金堉觀象監提調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禮異同議大臣獻議 一曹啓曰曹啓辭據議于大臣則左議政李景奭以爲臣素昧 禮學性且昏迷於大小事芒然不知不以爲措況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而言也敢啓傳曰知道 再虞山陵行 一禮曹郞廳以左議政李景奭意亟曰古今喪禮異同 獻議中再虞節次欲爲改書而業已入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五禮儀左議政爲摠護使考諸謄錄皆 以左議政啓下領議政李景奭自初受任今陞本職與五禮儀 所載有異而左議政金尙憲非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出去工 曹判書李時昉出去 開金井 一開金井時摠護使李景奭山陵都監堂上刑曹判書韓興一 觀象監提調兼都承旨金南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 己丑八月初十日 開金井土色狀啓 一摠護使李景奭山陵都監堂上刑曹判書韓興一觀象監提 調行都承旨金南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次知啓依允曹啓 目粘連啓下是白有亦議于大臣則領議政李景奭以爲邊不擧 哀令甲所載該曹亦已依例知委爲邊將者一遵
仁顯王后國恤謄錄n1-1책丑己亥儀軌該曹亡失而參考本 院日記己丑國恤時領議政李景奭執事喪禮己亥國恤 時則領議政鄭太和執事喪禮而前後未
孝宗國恤謄錄n1-1책 一曹啓曰曹啓辭云云事傳敎矣議于大臣則領敦寧 府事李景奭議以爲臣於議未能詳知而竊嘗考見 議禮無用練之文家禮
孝宗國恤謄錄n1-1책回啓據曹啓自粘連啓下是 白有亦議于大臣則領敦寧府事李景奭以爲臣於 當初獻議旣以遵先王之制之意爲對矣今者掌
孝宗國恤謄錄n1-1책 家大禮惶恐不敢承當之意當追後陳疏云矣領敦 寧府事李景奭延陽府院君李時白右議政元斗杓判 中樞府事鄭維城病不
孝宗國恤謄錄n1-1책載又如此喪祭宜從先祖臣豈有異 見伏惟上裁領敦寧府事李景奭延陽府院君李 時白右議政元斗杓判中樞府事鄭維城病不
孝宗國恤謄錄n1-1책 依允曹啓自粘連啓下是白有亦問于大臣則領敦寧府 事李景奭以爲臣素䁬陋未識禮意而曾於更詢之時 已以前所見者略
孝宗大王國恤謄錄n1-1책爲國朝流來定式到今更改實涉重難伏惟上裁領敦寧府 事李景奭議蜼以私家言之殷奠外朝夕用肉本乎家禮儒臣之言 有見
孝宗大王國恤謄錄n1-1책像生時依例封進矣三年內仍此擧行未知如何 領敦寧府事李景奭曰限三年仍行揆之情禮似無所妨矣領議 政鄭太和曰殯殿
孝宗大王國恤謄錄n1-1책 敦寧府進香改擇 一曹單子敦寧府進香以領敦寧府事李景奭腫患退 行事啓下矣今聞所患纔已差復云更令日官推擇吉
孝宗大王國恤謄錄n1-1책像生時依例封進矣三年內 仍此擧行未知如何領敦寧府事李景奭曰限三年仍行 揆之情禮似無所妨矣領議政鄭太和曰殯殿
洗草宴謄錄n1-1책領中樞府事李景奭賜几杖頒敎書事
洗草宴謄錄n1-1책老所啓請耆老宴同日兼行而 特命一等賜樂矣今此領府事李景奭賜几杖時內 外宣醞等事分付発設司敎■亦令藝文館撰出
洗草宴謄錄n1-1책賜之几杖亦有祖宗朝成憲尹鑴之言誠 是矣上曰曾在先朝李景奭有賜几杖之事右 相亦爲賜几杖可也事命下矣取考謄錄則
洗草宴謄錄n1-1책之事右 相亦爲賜几杖可也事命下矣取考謄錄則故相 臣李景奭賜几杖時頒敎書內外宣醞矣今此右議 政許賜几杖時內外
洗草宴謄錄n1-1책擧行事 一曹啓曰云云事命下矣取考本曹文書則故相臣 李景奭賜几杖時領敎書內外宣醞而乙卯年故 右議政許穆賜几杖
宣祖大王實錄修正廳儀軌瑬 堂上 吏曹判書南以雄 禮曹判書李景曾 吏曹判書李景奭 行上護軍李明漢 行大司憲李植 禮曹判書金堉 郞廳
宣祖大王實錄修正廳儀軌郞廳李堥當令 該曹卽爲付職使之來參而前領敦寧 臣 李景奭曾以 吏書判書爲本廳堂上今當來參而大臣與庶官不 同
宣祖大王實錄修正廳儀軌提學蔡裕後製 大匡輔國崇祿大夫前領敦寧府事 臣 李景奭 摠裁官大匡輔國崇祿大夫領敦寧府事兼領春秋館 事
龍城誌n1-7책月波軒記白軒李景奭記 頭流之山磅礴於南紀而爲衆山之宗焉物之最鉅 者也
徽陵誌(冊封時 敎命文)冊封時敎命文臣李景奭撰王若曰天垂四星寔著后妃之象地載萬物可見 陰化之功
徽陵誌(玉冊文)玉冊文臣李景奭撰王若曰詩首關睢正始之義大禮重禕翟建配之典 隆蓋與
臥遊錄n1-13책楓嶽錄李景奭余於世間外物無嗜好之癖焉而自幼少時性愛山水雖謂之烟
靑邱風雲v1李景奭號白軒蔡裕後號湖洲金堉號潛谷後時默趙錫胤號樂靜尹宣擧號美村李敏求芝峯子朴知誡號潛冶張維號
靑邱風雲v1疏菴持平鄭弘溟文衡金世謙字道源孝元孫吳䎘字肅羽號天坡嶺伯李敬輿白江李景羲字子方號晚沙吏參李景奭白軒李明漢字道章尹墀字君玉新之子右大提學金選瑬
東國續修文獻錄v1點字成之礩后勳領相逆誅李敬輿字眞夫號白江全州人文領相文貞徐景雨字施伯號晩沙建城人文右相忠肅李景奭字尙輔號白軒全州人文領相文忠撰三田碑金尙憲字叔度號淸陰尙容弟文左相文正丁丑斥和南以雄字敵萬
東國續修文獻錄v1相湖堂金瑬見相鄭經世見湖堂崔鳴吉見相洪瑞鳳見相湖堂李植見湖堂四典文金尙憲見相湖堂李明漢見湖堂廷龜子李景奭見相湖堂趙絅見湖堂鄭弘溟見湖堂
東國續修文獻錄v1李敬輿直夫白江牧使綏祿子全州人領相文貞李景義子彥晩沙府使尙閔子延安人吏參李景奭尙輔白軒同知惟侃子全州人領相文忠李昭漢道章玄洲吏判明漢弟延安人吏判尹墀君玉海崇尉新之子海平人吏判
東國續修文獻錄v1亨嘉伯驪興人八十四判書尹順之樂天海平人七十六知中趙啓遠子長楊州人七十九判書辛啓榮帶苦靈山人九十三知中李景奭見相七十七沈之源見相七十尹絳子駿坡平人七十一判中李坰東野碧珍人九十一知中李久遠汝遠全州人九十七知敦鄭
國朝人物志v2李景奭撰碑
國朝人物志v3价旁午嘖言噂沓基祚爲都承旨悉以策應率以義裁淸人曰長鬚宰相最難云孝宗朝淸使來言首相李景奭死罪擧朝畏縮基祚獨出班言曰此非特首相吾輩孰不與聞願同受其罪淸使驚歎上聞之曰今日足令
國朝人物志v3數年不死者淸人高其義也淸主自居燕京號令天下席捲南京以是來告我國丙戌三月遣正使白軒李景奭副使潛谷金堉入燕屬請慶業還國攝政王多爾衮許令押送慶業雖衣胡服而髮卽不剃矣以
國朝人物志v3用事政亂絅絶之仁祖丙寅文科丁丑南漢解圍廟堂以斥和者十臣議罪絅亦在議中都承旨李景奭白曰此人善類又罪此人人心不服上曰予亦以爲不可勿罪也癸未差日本通信副使到國都倭人享之呈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4-03효종실록 3권, 1650년 3월 13일조를 참고하여 사문사건이 일어난 해를 1646에서 1650으로 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