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장생(金長生)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7A5C0DDB1548X0
자(字)희원(希元)
호(號)사계(沙溪)
시호(諡號)문원(文元)
생년1548(명종 3)
졸년1631(인조 9)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산(光山)
활동분야학자 > 유생
김계휘(金繼輝)
출신지서울
저술『상례비요(喪禮備要)』
저술『가례집람(家禮輯覽)』
저술『전례문답(典禮問答)』
저술『의례문해(疑禮問解)』
저술『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
저술『경서변의(經書辨疑)』
저술『사계선생전서』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장생(金長生)
1548년(명종 3)∼1631년(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 서울 출신. 부친은 대사헌 김계휘(金繼輝)이며, 김집(金集)은 그의 아들이다.
1. 가계‧관력
1560년송익필(宋翼弼)로부터 사서(四書)와 『근사록(近思錄)』 등을 배웠고, 20세 무렵에 이이(李珥)의 문하에 들어갔다.

1578년(선조 11)에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昌陵參奉)이 되고, 1581년 종계변무(宗系辨誣)의 일로 아버지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와서 돈녕부참봉이 되었다.

그뒤 순릉참봉(順陵參奉)평시서봉사(平市署奉事)를 거쳐 활인서(活人署)사포서(司圃署)사옹원(司饔院) 등의 별제(別提)봉사가 내렸으나 모두 병으로 나가지 않았다.

그뒤에 동몽교관(童蒙敎官)인의(引儀)의 직을 거쳐 정산현감(定山縣監)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호조정랑이 된 뒤, 명나라 군사의 군량조달에 공이 커 종친부전부(宗親府典簿)로 승진하고, 1596년에 한때 연산으로 낙향했는데, 단양양근 등지의 군수첨정(僉正)익위(翊衛)의 직이 거듭 내려졌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듬해 봄에 호남 지방에서 군량을 모으라는 명을 받고 이를 행함으로써 군자감첨정이 되었다가 곧 안성군수가 되었다.

1601년에 조정에서 『주역구결(周易口訣)』의 교정에 참가하도록 불렀으나 병으로 나가지 못하였다.

이듬해에 청백리로 올려졌으나, 북인이 득세하는 것을 보고 1605년 관직을 버리고 연산으로 다시 내려갔다.

그뒤에 익산군수를 지내고, 1610년(광해군 2)에 회양철원부사를 역임하였다.

1613년 계축옥사 때 동생이 그에 관련됨으로써 연좌되었으나 무혐의로 풀려나자, 관직을 버리고 연산에 은둔하여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그뒤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75세의 나이에 장령으로 조정에 나갔으나, 곧이어 사업(司業)으로 옮겨 원자보도(元子輔導)의 임무를 겸하다가 병으로 다시 낙향했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으로 왕이 공주로 파천해오자 길에 나와 어가를 맞이하였다. 난이 평정된 뒤 왕을 따라 서울로 와서 원자보도의 임무를 다시 맡고 상의원정으로 사업을 겸하고, 집의의 직을 거친 뒤 낙향하려고 사직하면서 중요한 정사(政事) 13가지를 논하는 소를 올렸다.

그뒤 좌의정 윤방(尹昉), 이조판서 이정귀(李廷龜) 등의 발의로 공조참의가 제수되어 원자의 강학을 겸하는 한편, 왕의 시강과 경연에 초치되기도 하였다.

1625년에 동지중추부사를 임명받았으나 이듬해 다시 사직하여 행호군(行護軍)산직(散職)으로 낙향하여, 이이성혼(成渾)을 제향하는 황산서원(黃山書院)을 세웠다.

같은해 용양위부사직으로 옮기고, 1627년 정묘호란 때 양호호소사(兩湖號召使)로서 의병을 모아 공주로 온 세자를 호위하고, 곧 화의가 이루어지자 모은 군사를 해산하고 강화도의 행궁(行宮)으로 가서 왕을 배알하고, 그해 다시 형조참판이 되었다.

그러나 한달 만에 다시 사직하여 용양위부호군으로 낙향한 뒤 1630년에 가의대부로 올랐으나, 조정에 나아가지 않고 줄곧 향리에 머물면서 학문과 교육에 전념하였다.
2. 학문‧교육
늦은 나이에 벼슬을 시작하였을 뿐더러 과거를 거치지 않아 요직이 많지는 않았지만, 인조반정 이후로는 서인의 영수격으로 영향력이 매우 컸다. 인조 즉위 뒤에도 향리에서 보낸 날이 더 많았지만, 그의 영향력은 같은 이이의 문인으로 줄곧 조정에서 활약한 이귀(李貴)와 함께 인조 초반의 정국을 서인 중심으로 안착시키는 데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

학문과 교육으로 보낸 향리생활에서는 줄곧 곁을 떠나지 않은 아들 김집의 보필을 크게 받았다. 그의 문인은 많은데,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이유태(李惟泰)강석기(姜碩期)장유(張維)정홍명(鄭弘溟)최명룡(崔命龍)김경여(金慶餘)이후원(李厚源)조익(趙翼)이시직(李時稷)윤순거(尹舜擧)이목(李楘)윤원거(尹元擧)최명길(崔鳴吉)이상형(李尙馨)송시영(宋時榮)송국택(宋國澤)이덕수(李德洙)이경직(李景稷)임의백(任義伯) 등 당대의 비중 높은 명사가 즐비하게 배출되었다.

아들 집도 문하이지만, 문인들 사이에는 그를 ‘노선생’, 그리고 아들을 ‘선생’으로 불렀다고 한다. 학문적으로 송익필이이성혼 등의 영향을 함께 받고 있었지만, 예학(禮學)분야는 송익필로부터의 영향이 컸으며, 예학을 깊이 연구하여 아들 집에게 계승시켜 조선예학의 태두로 예학파의 한 주류를 형성하였다.
3. 저술
인조 즉위 뒤 서얼출신이었던 송익필이 그의 아버지 송사련(宋祀連)의 일로 환천(還賤)된 억울함을 풀어주기 위해 같은 문하의 서성(徐渻)정엽(鄭曄) 등과 신변사원소(伸辨師寃疏)를 올렸다.

또한, 이이성혼을 위하여 서원을 세웠을 뿐더러 1만8천여자에 달하는 이이의 행장을 짓기도 했다. 스승 이이가 시작한 『소학집주』를 1601년에 완성시켜 발문을 붙였는데, 『소학』에 대한 관심은 예학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1583년 첫 저술인 『상례비요(喪禮備要)』 4권을 비롯, 『가례집람(家禮輯覽)』『전례문답(典禮問答)』『의례문해(疑禮問解)』 등 예에 관한 것이 있고,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경서변의(經書辨疑)』와 시문집을 모은 『사계선생전서』가 전한다.

1688년 문묘에 배향되었으며, 연산돈암서원(遯巖書院)을 비롯하여 안성도기서원(道基書院) 등 10개 서원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원(文元)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仁祖實錄
燃藜室記述
沙溪先生全書
儒敎淵源(張志淵)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49)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명 : "장생(長生)"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2介淸果得谷城淳聞之曰介淸本微賊若不乘時附勢難以立身何足恠乎○金沙溪長生常以介淸師淳常欲一見及介淸叛淳長生猶疑未定後同差享官長生欲探眞僞問曰尊久從思菴淳別號所學幾何介淸曰聞其家多書籍故往來借看矣長生始知其無
東國歷代總目v02辛未前刑曹參判金長生卒○長生字希元號沙溪李珥門人也宣廟朝以薦授職上卽位之初徵召累超遷至是卒年八十四
東國歷代總目v02判中樞府事金集卒○集字士剛號愼獨齋長生之子累徵至吏曹判書至是卒年八十四諡文敬戊戌行大同法於全羅道○徵宋時烈爲吏曹判書宋浚吉爲大司憲○上復任
國朝人物志v2珥曰欲求眞宰相重晦其人也按列邑軍簿一覽了吏失其牘使吏持筆口授之不錯一名其強記如此一男長生博學績文負一時重望孫公軾別無聲稱而驟陞嘉善繼輝語人曰孫軾亦嘉善吾亦嘉善聞者
國朝人物志v2肯嘗以書問禮於寒岡鄭逑考据精博逑歎曰世有斯人耶沙溪金長生講道於家往從之質疑請業長生稱以老友上同
國朝人物志v2所敢容議乎凡人臣事君之道納吾君於無過之地是乃第一義金沙溪長生因庶弟之禍勢垂連累有源極陳長生高行宿德萬無與知之理況死者之至冤乎乃得脫禍士論益加敬焉有源常與人言曰伏節死義雖非易事然生而
國朝人物志v3字士剛號愼獨齋長生子年十八進士年三十七薦授齋郞見光海政亂奉親歸鄕里庶弟杲被人誣告事將不測集與弟槃待命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