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육(金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40C721FFFFB1580X0
자(字)백후(伯厚)
호(號)잠곡(潛谷)
호(號)회정당(晦靜堂)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580(선조 13)
졸년1658(효종 9)
시대조선중기
본관청풍(淸風)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흥우(金興宇)
묘소경기도 양주 금촌리
저술『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저술『잠곡유고(潛谷遺稿)』
저술『잠곡별고(潛谷別稿)』
저술『잠곡유고보유(潛谷遺稿補遺)』
저술『잠곡속고(潛谷續稿)』
저술『천성일록(天聖日錄)』
저술『청풍세고(淸風世稿)』
저술『조천일기(朝天日記)』
저술『기묘록(己卯錄)』
저술『잠곡필담(潛谷筆談)』
저술『당삼대가시집(唐三大家詩集)』

[상세내용]

김육(金堉)
1580년(선조 13)∼1658년(효종 9).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적 성향을 지니고 제도개혁을 추진한 정치가.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백후(伯厚), 호는 잠곡(潛谷)회정당(晦靜堂).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인 김식(金湜)의 3대손이며, 참봉 김흥우(金興宇)의 아들이다.
1. 성균관에 들어가다
1605년(선조 38)에 사마회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으로 들어갔다.

1609년(광해군 1)에 동료 태학생들과 함께 청종사오현소(請從祀五賢疏: 金宏弼‧鄭汝昌‧趙光祖‧李彦迪‧李滉 등 5인을 문묘에 향사할 것을 건의하는 상소)를 올린 것이 화근이 되어 문과에 응시할 자격을 박탈당하게 되자, 성균관을 떠나 경기도 가평 잠곡 청덕동에 은거하였다.

청덕동에 머물며 회정당을 짓고 홀로 학문을 닦으니, 스스로 호를 잠곡이라 한 것은 이때부터였다.
2. 인조대의 관력과 활동
1623년에 서인의 반정으로 인조가 즉위하자 의금부도사에 임명되었으며, 이듬해 2월에는 음성현감이 되어 목민(牧民)의 직분을 다하는 한편,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해 10월에 정언에 임명되었으며, 1633년 9월에 안변도호부사(安邊都護府使)로 나가 청나라의 침입에 대비하는 중요한 직임을 맡기도 하였다. 이어 동지성절천추진하사(冬至聖節千秋進賀使)명나라에 갔다온 후 예조참의우부승지장례원판결사를 거쳐 1638년 6월에 충청도관찰사에 올랐다.

도정(道政)에 임하여 대동법의 시행을 건의하는 한편, 수차(水車: 무자위‧물레방아)를 만들어 보급하였으며, 『구황촬요(救荒撮要)』『벽온방(辟瘟方)』 등을 편찬, 간행하다가 승정원좌부승지가 되었으며, 이후 형조참의성균관대사성홍문관부제학대사간병조참의한성부우윤도승지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병조참판이조참판비변사유사제조(備邊司有司提調)형조판서선혜청제조우참찬대사헌예조판서도총부도총관개성부유수 등의 현직(顯職)을 지내면서 중국에 두 차례(1643년과 1645년)나 더 다녀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화폐의 주조‧유통, 수레의 제조‧보급 및 시헌력(時憲曆)의 제정‧시행등에 착안하고 노력하는 한편, 『유원총보(類苑叢寶)』『황명기략(皇明紀略)』『종덕신편(種德新編)』『송도지(松都誌)』 등을 저술, 간행하기도 하였다.
3. 효종대의 관력과 활동
1649년 5월효종의 즉위와 더불어 대사헌이 되고 이어서 9월에 우의정이 되자, 대동법의 확장시행에 적극 노력하였다.

그러나 대동법의 실시를 반대하는 김집(金集)과의 불화로 인하여 이듬해 1월에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로 물러앉아 다시 진향사(進香使)중국에 다녀왔다.

71세의 늙은 몸을 무릅쓰고 중국에 다녀온 뒤, 잠시 향리에 머무르다가 이듬해 1월에 영의정에 임명되고, 겸하여 실록청총재관(實錄廳摠裁官)을 맡았다. 대동법의 확장 실시에 또다시 힘을 기울여 충청도에 시행하는 데 성공하였고, 아울러 민간에 주전(鑄錢)을 허용하는 데도 성공하였다.

그리고 12월에는 원임(原任) 정태화(鄭太和)영의정에 복귀함에 따라 좌의정으로 물러앉아 지내면서도 대동법 시행에 따른 몇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는 한편,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을 저술하고 『인조실록』을 완성하기도 하였다.

1654년 6월에 다시 영의정에 오르자 대동법의 실시를 한층 확대하고자 「호남대동사목(湖南大同事目)」을 구상하고, 이를 1657년 7월에 효종에게 바치면서 전라도에도 대동법을 실시할 것을 건의하였다.

그러나 이 건의에 대한 찬반의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그가 죽어 이 사업은 그의 유언에 따라서 서필원(徐必遠)에 의하여 뒷날 성취되었다.
4. 저술‧업적
저술로는 그의 시‧문을 모은 『잠곡유고(潛谷遺稿)』(11권 10책)‧『잠곡별고(潛谷別稿)』『잠곡유고보유(潛谷遺稿補遺)』『잠곡속고(潛谷續稿)』가 전하고, 앞에서 소개한 것 이외에 『천성일록(天聖日錄)』『청풍세고(淸風世稿)』『조천일기(朝天日記)』『기묘록(己卯錄)』『잠곡필담(潛谷筆談)』『당삼대가시집(唐三大家詩集)』 등이 전하며, 「자네집에 술닉거든」이라는 시조 1수도 전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유원총보』는 우리나라의 학문적 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편찬된 최초의 백과사전으로 주목되는 것이며, 『구황촬요』『벽온방』『종덕신편』 등은 목민자(牧民者)의 각성을 촉구하는 안민(安民)의 한 방책으로서, 그의 위민적(爲民的)생애의 편모를 보이는 저술이라고 하겠다.

그는 이와같은 저술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몸소 활자를 제작하고 인쇄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니, 이러한 사업은 그의 자손들대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가업(家業)으로 계승되어 우리나라 주자(鑄字)와 인쇄사업에 크게 기여하는 바 되었다.

무덤은 경기도 양주 금촌리에 있다. 양근(楊根) 미원서원(迷源書院)청풍 봉강서원(鳳岡書院), 강동(江東) 계몽서원(啓蒙書院), 개성 숭양서원(崧陽書院) 등에 배향되고, 1704년(숙종 30)에는 가평의 선비들이 건립한 잠곡서원(潛谷書院)에 독향(獨享)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孝宗實錄
國朝人物考
潛谷先生年譜(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潛谷全集, 1975)
李氏朝鮮의 後期活字의 改鑄와 潛谷金堉先生三代의 貢獻(金斗鍾, 白樂濬博士還甲紀念國學論叢, 1955)

[이미지]

[집필자]

한영국(韓榮國)

성명 : "김육(金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光海君戊申始行宣惠法于畿甸至是相臣金堉建行于湖西其後湖南嶺南關東海西次第設行是謂大同
國朝編年v16問邑之多少唯視結數多寡每結出米十斗山僻縣準米出布咸委輸于京師東州洲李敏求湖西宣惠碑文大同之剏設也相臣金堉爲定式規例米則可食而已綿布則其細五升長二十五尺云而下送見樣於各邑矣後來漸久其舊米則至於玉白布則年增歲
國朝編年v19徵之下而旋又以平安兵使出送西塞以致怏怏蓄忿釀成甲子之變可勝痛哉李延平手錄○別試取金柱等十一人○增廣取金堉等三十八人○三月錄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張晩等三十二人安玏黃瀷李元老安澈等七十餘人竝加資賞職以討平
紀年便攷v20仍使之駕轎上来又命廢朝時直言被罪儒生趙慶起洪茂績金堉趙絅姜鶴年朴知讓等除職
紀年便攷v20時聖節使金堉等在北京兵部尙書楊嗣昌奏曰竊聞朝鮮降虜而音聞寂然未知竟作何狀今貢使將起程正好乗便偵詢請俉加賞賫勅使伴
紀年便攷v21尙憲以世祿之臣棄君父不問潔身遠去果謂得其人倫乎此時論尙憲雖謂鳳鳴朝陽可也旣而命削奪其職○忠淸道觀察使金堉啓陳大同法先是李元翼請行三道大同法只行於京畿ː嶺東其後權盼觀察湖西取元翼之法平傳一道田役劑爲絜法籍而
紀年便攷v21也上曰六卿亦各言其志工曹判書李時白吏曹判書李景奭俱以守經爲對贊成李德泂判尹許徽禮曹判書李植參贊金壽賢金堉戶曹判書鄭太和大司諫呂爾徵等皆曰惟在聖上與大臣議之也瑬曰群下屬望必有所在聖上豈有愛憎於其間哉上曰卿意
紀年便攷v21九月葬長陵在坡州後移葬行錄孝宗御制行狀李景奭撰誌文趙絅撰○命賜額于先正臣趙光祖龍仁書院曰深谷右議政金堉上箚請行大同法詢問大臣命先試湖西後均之八方亦命李時昉參劃其爲法不問邑之大小惟以田結多寡出米京畿十二斗
紀年便攷v21子元履崔興源孫壻初金堉壻后號華谷生進俱中逸進善官止北伯系子文重見下
紀年便攷v21領議政金堉年七十九判府事尹絅年九十二海恩君尹履之年八十判府事趙絅年七一十三判書吳竣年七十二
紀年便攷v25金堉湜玄孫參奉興子宣祖庚子生字伯厚號潛谷受業於曺好益光海時以泮任削仁弘儒籍直聲藉甚被錮隱加平潛谷作老狐羸
東國歷代總目v02辛卯金自點謀逆伏誅○行常平通寶錢○仁祖癸酉命鑄錢尋罷至是相臣金堉奏行之後又寢罷○行大同法於忠淸道○用相臣金堉言也一結收十二斗以供京外之用無他徭役民甚便之
羹墻錄v1一類又取先朝名臣大儒文集有關於典章者一體附傳命議大臣崔鳴吉請委植改纂未畢而植卒孝宗甲午命領敦寧金堉大提學蔡裕後等續成之國朝寶鑑十年壬申追尊定遠大院君爲王廟號曰元宗改興慶園爲章陵時李廷龜鄭經世張維
記聞v1亥以世室告廟孝肅敬烈明獻仁宣王后張氏右相新豐府院君維之女乙丑冊封癸丑薨卽位十年昇遐壽四十一○相趙翼金堉李時白蔭勳韓興一具仁垕武勳沈之源李厚源元斗杓蔭勳○配享左相文正公金尙憲禮判文簡公金集○主文趙錫胤樂靜
歷代帝王紀年v01趙錫胤文樂靜洪聖民拙翁金堉伯厚潛谷領相
國朝捷錄v01金 堉
郯述v01仁祖二十四年正使右議政李景奭副使右參贊金堉書狀直講柳淰
郯述v01孝宗元年正使領中樞金堉副使密山君澯書狀司成李尙逸
文獻攷略v1議辛卯年仁祖祔廟時仁烈王后謚冊幷與草本而失之其時亦有追撰當否未定之論因傳敎議大臣以爲決不可追改者領相金堉也以爲告厥由改撰無妨者領樞李敬輿也各守所見兩不相下適得其草本於傳寫之人而用之兩臣皆以文學博洽爲世所推
尊崇冊禮謄錄n1-1책否議大臣處置何如傳曰依啓事 傳敎矣議于大臣則領議政金堉領府事李敬輿左議政 李時白以爲禮者因人情而節天理者
己丑 國恤謄錄n1-1책定而今者卽遠之日已迫原任及左議政且 有病故右議政臣金堉以爲發引前無暇會議返虞後爲之 爲當云敢啓傳曰諸大臣
己丑 國恤謄錄n1-1책一人詳流事理觀彼所答竟不得淸 則更議處之何如領議政金堉未入來大臣之意如此上裁何如 傳曰知道
己丑 國恤謄錄n1-1책否議大臣處置何 如傳曰依啓事傳敎矣議于大臣則領議政金堉以爲三都 監竝設自是不易之論而只以諸勅纔過之後物力
己丑 國恤謄錄n1-1책外大臣處亦爲收議事依啓一曹啓曰功臣配享議定事領議政金堉收議以爲當取一代勳 德德之人入於廟庭此則非臣等所可
己丑 國恤謄錄n1-1책可已令大臣議處 何如傳曰允事傳敎矣議于大臣則領議政金堉以爲頃 者該曹請陳賀飮補其後搨前禮官申淸此事而聖上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判書金堉參判許啓參議申冕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一摠護使李景奭啓曰巫與山陵都監提調鄭世規禮曹判 書金堉觀象監提調金南重率李術成稱李苾崔楠姜 後尙及新到術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 己丑七月二十日 三堂上上䟽 一曹判書金堉參判崔惠吉參議申冕上䟽內伏以臣等謏聞寡 見無所知識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定而今者卽遠之日已迫原任 及左議政且有病故右議政臣金堉以爲發引前無暇會議 返虞後爲之爲當云敢啓傳曰諸大臣
靑邱風雲v1李景奭號白軒蔡裕後號湖洲金堉號潛谷後時默趙錫胤號樂靜尹宣擧號美村李敏求芝峯子朴知誡號潛冶張維號谿谷鄭太和字囿春趙復陽
東國續修文獻錄v1趙翼字飛卿號浦渚豐壤人文右相治禮學文孝金堉字伯厚號潛谷淸風人文領相文貞行大同法李時白字敦詩號釣巖延安人勳領相淸白吏忠翼韓興一字振甫
東國續修文獻錄v1勖哉淸州人八十六知敦南以雄見相七十四趙翼見相七十六李景嚴子後延安人七十四判尹尹履之仲素海平人九十判書金堉見相七十九金光煜晦而安東人七十七知中睦敍欽舜卿泗川人八十一知中南銑澤之宜寧人七十三判書李敬輿見相鄭廣
國朝人物志v1金堉
國朝人物志v2號閉戶安東人牧使和子其在湖西取列邑土田多寡平等出其賦法旣具未行籍而藏之後二十年金堉擧以爲大同法盼明所燭物莫能遁官至判書襲封吉川君人物考
國朝人物志v2築精舍于松京府西十川橋南以爲藏修之所經傳群書左右充滿晩喜易而尤用功浦渚趙翼潛谷金堉見其文每見多士輒稱其經術行宜祭之於鄕人物考
國朝人物志v2擺列積馱重以補其虛督戰大勝蓋人不滿二十矣從者問之曰此梅花陣也府使李井男上其行儀於朝潛谷金堉又白其學行命加嘉善階芝山配許氏歿于謫所權厝淺土大德殫竭財力改葬如禮人物考
國朝人物志v2郡守囚其子仁祖反正詣闕上疏陳其首末則上令本道覈處初詣監司白江李敬輿次詣監司金堉陳說遂得行關本郡使收公議而奉移重峯位板當時雴等謂之惡者纘男等謂之怪者李相謂之難
國朝人物志v3字汝壽龍仁人癸酉進士官至牧使相國金堉將變通民役欲委以詳定謝不往尋以報恩縣監爲道臣所委商量闊狹皆稱輕重湖西甚賴人物考
國朝人物志v3其義也淸主自居燕京號令天下席捲南京以是來告我國丙戌三月遣正使白軒李景奭副使潛谷金堉入燕屬請慶業還國攝政王多爾衮許令押送慶業雖衣胡服而髮卽不剃矣以壬午亡命縲過西京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