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고경명(高敬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E0ACBDBA85B1533X0
자(字)이순(而順)
호(號)태헌(苔軒)
시호(諡號)충렬(忠烈)
생년1533(중종 28)
졸년1592(선조 25)
시대조선전기
본관장흥(長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고맹영(高孟英)
출생지광주 압보촌(鴨保村)
묘소흑토평(黑土坪)
묘소오동촌(梧桐村)
저술『유서석록(遊瑞石錄)』

[상세내용]

고경명(高敬命)
1533년(중종 28)∼1592년(선조 25). 조선 전기의 문신‧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태헌(苔軒). 광주 압보촌(鴨保村) 출생. 부친은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이다.
1. 관직생활
1552년(명종 7) 사마시에 제1위로 합격, 진사가 되고, 1558년 왕이 직접 성균관에 나와 실시한 시험에서 수석하여, 곧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수 있는 특전을 받았다. 같은해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에 임명되고, 이어서 공조좌랑이 되었다.

그뒤 형조좌랑사간원정언 등을 거쳐 호당(湖堂)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561년 사간원헌납이 된 뒤 사헌부지평, 홍문관부수찬부교리를 거쳐 1563년 교리가 되었다. 이때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외숙인 이조판서 이량(李樑)의 전횡을 논하는 데 참여하고 그 경위를 이량에게 몰래 알려준 사실이 드러나 울산군수로 좌천된 뒤 곧 파직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에 돌아와 고전을 탐독하거나 자연과 벗삼아 산수를 유람하면서 『유서석록(遊瑞石錄)』을 저술하였다.

1581년(선조 14) 영암군수로 다시 기용되었으며, 이어서 종계변무주청사(宗系辨誣奏請使) 김계휘(金繼輝)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서산군수로 전임되었는데, 명사원접사(明使遠接使) 이이(李珥)의 천거로 그 종사관(從事官)이 되었으며, 이어서 종부시첨정에 임명되었다.

1583년 한성부서윤한산군수를 거쳐 예조정랑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듬해 사복시첨정이 된 뒤 성균관사예를 거쳐 순창군수로 재직 중 1588년 파직되었다.

1590년 승문원판교로 다시 등용되었으며, 이듬해 동래부사가 되었으나 곧 서인이 실각하자 파직되어 고향에 돌아왔다.
2. 임진왜란 당시의 활동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서울이 함락되고 왕이 의주로 파천하였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그는 각처에서 도망쳐온 관군을 모았다. 두 아들 고종후(高從厚)고인후(高仁厚)로 하여금 이들을 인솔, 수원에서 왜적과 항전하고 있던 광주목사 정윤우(丁允佑)에게 인계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전나주부사 김천일(金千鎰), 전 정언 박광옥(朴光玉)과 의논하여 함께 의병을 일으킬 것을 약속하고, 여러 고을에 격문을 돌려 6,000여명의 의병을 담양에 모아 진용을 편성하였다.

여기에서 전라좌도 의병대장에 추대된 그는 종사관에 유팽로(柳彭老)안영(安瑛)양대박(楊大樸), 모량유사(募糧有司)에 최상중(崔尙重)양사형(楊士衡)양희적(楊希迪)을 각각 임명하는 한편, 전라도 의병군의 결성과 왜적을 격퇴하겠다는 출사표를 양산숙(梁山璹)곽현(郭玄)으로 하여금 서해를 경유하여 조정에 전달하도록 하고, 6월 1일 담양을 출발하여 북상을 개시하였다.

의병군이 태인에 이르렀을 때, 정윤우에게 관군을 인계하고 돌아온 고종후를 만나 그에게 다시 격문을 휴대하고 김구(金溝)임피(臨陂) 등지에서 병기와 군량을 수집하도록 하였고, 또 제주목사 양대수(楊大樹)에게 전마(戰馬)를 보내주도록 요청하였다.

6월 13일 전주에 도착하여 고인후에게 수백명을 인솔하고 무주진안 등의 요로에 복병을 배치하여, 영남에서 호남으로 침입하는 왜적을 막도록 하였다.

22일 전주에서 여산으로 진을 옮겨 이곳에서 고종후고인후와 합류하고, 다시 호서경기해서 지방에 창의구국(倡義救國)의 격문을 발송하였다.

27일 은진에 도달하여 왜적의 동태를 살피고 있던 중, 황간영동 등지에 있는 왜적이 금산을 점령하고 장차 전주를 경유, 호남을 침범할 계획이라는 정보를 입수하였다. 이에 곡창인 호남을 왜적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하여 당초의 북상계획을 변경, 7월 1일 연산(連山)으로 회군하였다.

이곳에서 충청도 의병장 조헌(趙憲)에게 서신을 보내어 10일 형강(荊江)을 건너 합세하여 금산의 왜적을 공격할 것을 제의한 뒤, 9일 진산을 경유하여 금산에 도착, 방어사 곽영(郭嶸)의 관군과 좌‧우익으로 진을 편성하였다. 이날 의병 중에서 정예 수백명을 거느리고 적의 본진을 공격하였으나, 적의 굳센 저항과 관군의 소극적 태도로 퇴각하고 말았다.

10일 곽영과 합세하여 왜적과 대회전을 시도하기로 하고 800여명의 정예로 선제공격을 하였는데, 왜적은 먼저 약한 관군을 일제히 공격하자, 겁을 낸 관군은 싸울 것을 포기하고 앞을 다투어 패주하였으며, 이에 사기가 떨어진 의병군마저 붕괴되고 말았다.

그는 후퇴하여 다시 전세를 가다듬어 후일을 기약하자는 주위의 종용을 뿌리치고 “패전장으로 죽음이 있을 뿐이다.”고 하며 물밀듯이 밀려오는 왜적과 대항하여 싸우다가 아들 고인후유팽로안영 등과 더불어 순절하였다. 왜적이 퇴각하기를 기다렸다가 유체를 수렴하여 금산 산중에 매장하였으며, 10월 화순흑토평(黑土坪)에 장사지냈고, 그뒤 장성오동촌(梧桐村)에 이장하였다.
3. 인품과 저작
어려서부터 행동이 남달리 어른스러워, 백인걸(白仁傑)남평현감(南平縣監)으로 있을 때 그를 보고 장차 비범한 인물이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고 한다. 뒤에 의정부좌찬성에 추증, 광주포충사(褒忠祠), 금산성곡서원(星谷書院)종용사(從容祠), 순창화산서원(花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시‧글씨‧그림에 능하였으며, 저서로는 시문집인 『제봉집』, 속집(續集)‧유집(遺集), 무등산기행문인 『서석록(瑞石錄)』, 각처에 보낸 격문을 모은 『정기록(正氣錄)』이 있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海東名臣傳
國朝榜目
湖南節義錄
霽峰集
壬辰戰亂史(李炯錫, 壬辰戰亂史刊行委員會, 1967)

[집필자]

송정현(宋正炫)

명 : "경명(敬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3光州田舍聞乘輿西幸京城不守日夜慟哭及李洸之師至錦江罷歸貽書切責與玉果人學諭柳彭老共圖起兵討賊彭老等推敬命爲盟主敬命非素閒軍旅慨然登坍不以老病辭文諭道內士庶曰玆者本道勤王之師一潰於錦江反斾之日再潰於列郡紀律
國朝編年v14一介書生奮袂決死糾合義徒志存王室忠義可賞至於錦山之役諸軍因暗潰散賊挺劒突出地勢險狹自有蹂躪憲死於亂兵敬命適乘醉不能控馬而死於軍其見敗不奔卒死於王事則果可褒奬而若曰節義則未也其從容就死不失所操惟金千鎰梁山璹
東國歷代總目v02曰明年此時竄山谷必思吾言至是其言果驗遂倡義討賊與僧靈圭等七百人同時死之○高敬命金千鎰等亦起義兵戰死之敬命子從厚因厚千鎰之子象乾皆同死
國朝捷錄v01善行號淸汝敬命子判決事
郯述v01乙巳進 父敬命丙午第長興府使
郯述v02敬命
郯述v03與父敬命同死
國朝人物志v2文科少穎異參贊白仁傑一見稱重知其爲遠器未冠遊學京師時鉅儒皆慕與交聲名藹蔚壬辰倭賊來犯敬命與子從厚因厚謀擧義旅聞大駕西幸失聲慟哭遂與羅州人金千鎰共圖興復會潭陽府學諭
國朝人物志v2字士重號健齋彥陽人一齋李恒門人以遺逸被薦拜持平壬辰倡義以書馳告于高敬命朴光玉崔慶會鄭諶等得精銳數百人歃血誓衆會三軍勤王之師潰于龍仁軍中氣囁千鎰諭衆曰我師
國朝人物志v2字道沖號隼峯長興人忠烈公敬命子庚午進士丁丑文科官至縣令壬辰夏從其父及弟學諭洒血糾義西赴行在路阻不得進癸巳以復
國朝人物志v2入江華元瑞遂入其軍欲因以尋母元瑞時未知名諸生藐視之及軍敗諸生一時散走元瑞獨不去請敬命且退以圖後擧敬命曰我當止死君可速出瑛不肯敬命馬逸以其所乘馬授敬命而步從及賊逼與
國朝人物志v2字善健號鶴峯長興人敬命子從厚弟丁丑進士己丑文科官至學諭壬辰敬命使從厚因厚收拾散卒西赴行在路梗
國朝人物志v3字善行號晴沙長興人參議敬命季子宣祖乙巳進士壯元丙午文科選入湖堂性疏曠數被疵摘因詩語遭無妄幾罹大辟仁祖追念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