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천일(金千鎰){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C9CC77CB1537X0
자(字)사중(士重)
호(號)건재(健齋)
시호(諡號)문열(文烈)
생년1537(중종 32)
졸년1593(선조 26)
시대조선전기
본관언양(彦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언침(金彦琛)
출신지나주
저서『건재집』

[상세내용]

김천일(金千鎰)
1537년(중종 32)∼1593년(선조 26). 조선 전기의 문신‧의병장. 본관은 언양(彦陽). 자는 사중(士重), 호는 건재(健齋). 나주 출신.

부친은 진사 김언침(金彦琛)이다. 이항(李恒)의 문인이다.

1573년(선조 6) 학행(學行)으로 발탁되어 처음으로 군기시주부(軍器寺主簿)가 된 뒤 용안현감(龍安縣監)강원도경상도의 도사를 역임하였다. 지평(持平)때에 상소를 올려 시폐를 극론하다가 좌천되어 임실현감이 되었다.

그뒤 담양부사한성부서윤수원부사를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적의 대군이 북상하여 서울이 함락되고 국왕이 서행(西幸)하였다는 소식에 접하자 고경명(高敬命)박광옥(朴光玉)최경회(崔慶會) 등에게 글을 보내어 창의기병(倡義起兵)할 것을 제의하는 한편, 담양에서 고경명 등과도 협의하였다.

그뒤 나주에서 송제민(宋濟民)양산숙(梁山璹)박환(朴懽) 등과 함께 의병의 기치를 들고 의병 3백명을 모아 북으로 출병하였다.

한편, 공주에서 조헌(趙憲)과 호서지방 의병에 관하여 협의하고는 곧 수원에 도착하였다. 북상할 때 수원의 연도에서 스스로 의병에 참가한 자와 또 호서방면에서 모집한 숫자가 크게 늘어나자 군세는 사기를 떨쳤다. 수원의 독성산성(禿城山城)을 거점으로 본격적인 군사활동을 전개, 유격전으로 개가를 올렸다.

특히, 금령전투(金嶺戰鬪)에서는 일시에 적 15명을 참살하고 많은 전리품을 노획하는 대전과를 올렸다.

8월 전라병사 최원(崔遠)의 관군과 함께 강화도로 진을 옮겼다.

이 무렵 조정으로부터 장례원판결사(掌禮院判決事)에 제수되고 창의사(倡義使)라는 군호(軍號)를 받았다. 강화도에 진을 옮긴 뒤 강화부사전라병사와 협력하여 연안에 방책(防栅)을 쌓고 병선을 수리하여 전투태세를 재정비하였다. 강화도는 당시 조정의 명령을 호남‧호서에 전달할 수 있는 전략상의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9월에는 통천(通川)양천(陽川)지구의 의병까지 지휘하게 되고 매일같이 강화연안의 적군을 공격하였으며, 양천김포 등지의 왜군을 패주시켰다.

한편, 전라병사경기수사충청병사, 추의병장(秋義兵將) 우성전(禹性傳) 등의 관군 및 의병과 합세하여 양화도전투(楊花渡戰鬪)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또한, 적군의 원릉(圓陵) 도굴행위도 막아 이를 봉위하기도 하였다. 다음해인 1593년 정월 명나라 군대가 평양을 수복, 개성으로 진격할 때 이들의 작전을 도왔으며, 명‧일간에 강화가 제기되자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서울이 수복되어 굶주리는 자가 속출하자 선편으로 쌀 1천석을 공급하여 구휼하였다.

전투에 있어서도 경기수사충청수사와 함께 선유봉(仙遊峰) 및 사현전투(沙峴戰鬪)에서 다수의 적을 참살, 생포하고 2월에는 권율(權慄)의 행주산성전투에 강화도로부터 출진하여 참가하였다. 이들 의병은 강화도를 중심으로 장기간의 전투에서 4백여명의 적을 참살하는 전공을 세웠다.

4월 왜군이 서울에서 철수하자 이를 추격, 상주를 거쳐 함안에 이르렀다.

이때 명‧일강화가 추진중인데도 불구하고 남하한 적군의 주력은 경상도 밀양 부근에 집결, 동래김해 등지의 군사와 합세하여 1차진주싸움의 패배를 설욕하기 위한 진주성 공격을 서두르고 있었다. 이에 6월 14일 3백명의 의병을 이끌고 입성하자 여기에 다시 관군과 의병이 모여들었다. 이들 합세한 관군‧의병의 주장인 도절제(都節制)가 되어 항전태세를 갖추었다.

10만에 가까운 적의 대군이 6월 21일부터 29일까지 대공세를 감행하자 아군은 중과부적임에도 분전하였으나 끝내 성은 함락되고 말았다. 이에 아들 김상건(金象乾)과 함께 촉석루에서 남강(南江)에 몸을 던져 순사하였다.

1603년(선조 36) 좌찬성에 추증되고 1618년(광해군 10)에 영의정이 가증(加贈)되었다. 나주정렬사(旌烈祠), 진주창렬사(彰烈祠), 순창화산서원(花山書院), 태인남고서원(南皐書院), 임실학정서원(鶴亭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건재집』이 있다.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亂中雜錄
燃藜室記述
湖南節義錄
海東名臣錄
懲毖錄
壬辰戰亂史 中(李炯錫, 壬辰戰亂史刊行會, 新現實社, 1974)
壬亂義兵將 金千鎰硏究(趙恒來, 學文社, 1982)
壬辰倭亂과 湖南義兵(宋正炫, 歷史學硏究 Ⅳ, 全南大學校史學科, 1972)
金千鎰의 義兵活動과 그 性格(趙恒來, 史學硏究 31, 1980)
全羅道義兵について(貫井正之, 朝鮮歷史論集 上, 1979)

[집필자]

김석희(金錫禧)

명 : "천일(千鎰)"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3仁甲先擊屯賊敗之燒其屯粮而還○全羅右道義兵將金千鎰領兵北上之時倭奴長驅入寇諸城望風奔潰上西幸京城遂陷千鎰屛居羅州聞報號慟旣而奮曰吾徒哭何爲國有難君父播越吾世臣不可鳥竄求活乃以書告于高敬命朴光玉崔慶會諸人以
國朝編年v14金千鎰陣中有李蓋忠者自請入京探候賊情得見二王子及長溪君黃廷彧等還言賊有講和意旣已賊投書於龍山舟師乞和千鎰送其書於柳成龍成龍以其書示査大受大受卽使家丁李慶馳報平壤於是提督又使惟敬來金命元見惟敬曰賊憤平壤見欺
紀年便攷v15倭議和初金千鎰軍中有李盡忠者自請入京探賊情遂見二王子及黃廷或䓁還言賊有講和意既而賊投書於龍山舟師乞和千鎰送其書於柳成龍成龍示查大受於是如松使惟敬来与胡澤沈思賢䓁會遺正行長於龍山船上各議和行長䓁猶欲圍住惟敬
東國歷代總目v02谷必思吾言至是其言果驗遂倡義討賊與僧靈圭等七百人同時死之○高敬命金千鎰等亦起義兵戰死之敬命子從厚因厚千鎰之子象乾皆同死
宣廟中興誌v4城射坮又崩賊驍將政宗先登倡義中軍吳永念別將池得龍皆鬪死徐礼元先走諸軍遂大亂咸聚矗石樓賊闌入城中左右挽千鎰請逃千鎰堅坐不起曰此吾死所也顧謂梁山璹曰汝素善泅游江水在是可以免矣努力全生更圖滅賊未爲曉也山璹獨曰棄
國朝捷錄v01士重光州人壬辰守晉州城陷而文岺伯梁山璹千鎰參佐之人從死於晉州
國朝人物志v2馳告于高敬命朴光玉崔慶會鄭諶等得精銳數百人歃血誓衆會三軍勤王之師潰于龍仁軍中氣囁千鎰諭衆曰我師義擧也有進無退欲去者任其去衆皆感奮無一人潛逃者遂領兵北上上命授判決事兼號倡義使
國朝人物志v2創中興基業除司圃別提及還中途捨馬徒步潛入賊中搜得廟主寇退首人入京城先倡建學之議遂與千鎰踵賊而南明將吳宗道一見嗟異請與偕行至尙州病不能執鐲舁歸于家聞千鎰獨入晉州城陷而
國朝人物志v2倭憚之扼其腹心悉其衆圍數重慶會抗戰九晝夜死者相繼慶會益勵外援絶而矢石盡賊來益衆慶會千鎰北向再拜同死明將吳宗道曰其精忠大節可以貫日月而爭光慶會在珍島題詩曰浪撫腰間匣劍鳴時
國朝人物志v2羅州之三鄕里壬辰倡義兵推金千鎰爲盟主入江華山璹晝伏夜行奔問行在特命除工曹佐郞癸巳千鎰守晉州使山璹請救於明將及還倭已逼同行數人皆還走山璹曰臨危苟免使主將獨陷死地可乎山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7-13저서중 『송천집(松川集)』을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