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창손(鄭昌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C3DC190B1402X0
자(字)효중(孝仲)
시호(諡號)충정(忠貞)
생년1402(태종 2)
졸년1487(성종 18)
시대조선전기
본관동래(東萊)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흠지(鄭欽之)
공신호좌익공신(佐翼功臣)
공신호좌익공신
공신호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
공신호익대공신(翊戴功臣)

[상세내용]

정창손(鄭昌孫)
1402년(태종 2)∼1487년(성종 18).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효중(孝仲).

중추원사(中樞院使) 정흠지(鄭欽之)의 아들이며, 좌참찬 정갑손(鄭甲孫)의 아우이다.
1. 세종대의 관력과 정치활동
1423년(세종 5) 사마시를 거쳐, 1426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권지승문원부정자가 되고, 이어 집현전저작랑교리를 역임하면서 『통감훈의(通鑑訓義)』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441년 사섬서령(司贍署令)으로 전임하였다.

1443년 집현전응교가 되었는데 재직중인 이듬해 한글의 제정을 반대, 『삼강행실』을 반포한 뒤에 충신‧효자‧열녀의 무리가 나옴을 볼 수 없는 것은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은 사람의 자질에 있는 것이지 언문으로 번역한다고 하여 모두 본받는 것은 아니라고 하다가 파직, 투옥되었다. 같은해 풀려나와 응교로 복직된 뒤 1445년 집의가 되었는데, 이듬해 세종이 불경(佛經)을 간행하려 하자, 왕실에서 흥천사(興天寺)를 다시 고쳐 짓고 또 경찬회(慶讚會)를 설치하였음을 들면서, 불교는 괴탄(怪誕)하고 환망(幻妄)하여 나라를 미혹시키고 조정을 그릇되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 왕실의 불교숭상을 강력히 반대하다가 다시 좌천되었다.

이듬해 용서를 받아 직예문관에 등용되고, 같은해 문과중시에 장원급제하여 집현전직제학을 거쳐 1448년 집현전부제학이 되었다. 그 동안 여러번 왕실의 불교숭상에 대하여 반대하는 소(疏)를 올렸으나 세종은 듣지 않았다.

1449년 부제학으로 춘추관편수관수사관(修史官)을 겸직하면서 『고려사』『세종실록』『치평요람(治平要覽)』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2. 문종세조대의 관력과 정치활동
이듬해 문종이 즉위하자 우부승지를 거쳐 1451년(문종 1) 대사헌이 되었는데, 조정의 관원들로부터 남달리 깨끗하며 절조를 잘 지키면서 자신의 산업(産業)을 일삼지 않는다는 찬사를 받았다.

이어 제학대제학병조판서 등을 지내면서 『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1453년(단종 1) 이조판서가 되었는데 외척 홍원용(洪元用)과의 상피관계(相避關係)로 사헌부에서 피혐하기를 주장하였으나 왕의 명으로 피혐되지 않았다.

1455년(세조 1) 우찬성으로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판이조사를 겸하였으며,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녹훈되고 봉원군(蓬原君)에 봉하여졌다.

이듬해에 사위 김질(金質)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이개(李塏)하위지(河緯地)유성원(柳誠源)유응부(兪應孚), 단종의 외숙인 권자신(權自愼) 등과 함께 단종복위를 모의하였는데, 일이 여의치 않자 질이 이 사실을 자신에게 폭로함에 이를 세조에게 고변하였다.

이 공으로 좌익공신 3등에서 1자급을 올려 2등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이 되고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가 더하여졌으며 부원군(府院君)으로 진봉(進封)되었다.

이어 대사성대제학을 겸직하고 우의정에 올랐다. 그의 이러한 처사로 절의를 숭상하는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 등으로부터는 많은 비난도 받았다.

그러나 세조로부터는 대단한 신임을 얻어 1457년 좌의정이 되었으며, 이듬해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사직을 하자 세조는 1일간 조회를 정지하고 부의(賻儀)로 미두(米豆) 50석, 종이 100권과 관곽(棺槨)을 내려주었다.

그리고 여묘(廬墓)살이를 하고 있는 그를 세조는 기복(起復: 나라의 일이 있을 때 상중에 있는 대신을 3년상이 지나기 전에 벼슬에 임명하던 제도)시켜 영의정으로 삼았다. 이에 여러번 소를 올려 이를 사양하였으나 세조는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1462년 세자에게 양위할 것을 말하였다가 삭직되고 여산(礪山)에 부처(付處)되었으나, 곧 용서받고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에 복작(復爵)되었다.
3. 예종성종대의 관력과 정치활동
1468년(예종 즉위)예종이 즉위한 뒤 남이(南怡)강순(康純)의 옥사를 잘 다스려 익대공신(翊戴功臣) 3등에 올랐고, 1469년 성종이 즉위하자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로 승품되고 원상(院相)이 되었다.

1470년 나이가 70이 되어 치사(致仕)하기를 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고 궤장이 하사되었다.

1456년(세조 2)에 죽은 세조의 맏아들 의경세자(懿敬世子)를 이해에 덕종(德宗)으로 추존하는 데 적극 앞장섰다.

한편, 남효온(南孝溫)이 상소하여 세조 즉위초에 폐위된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顯德王后)소릉(昭陵) 복위를 주청하자 소릉의 폐출에 참여한 그는 복위에 반대하였는데, 후일 복위된 뒤 이로 인하여 지탄을 받았다.

1475년 영의정에 재임되었으며, 이듬해 왕비의 비행으로 왕이 왕비를 폐하려고 할 때 영의정으로 있으면서 강력하게 간하지 못하였다.

그뒤 윤비(尹妃)는 빈(嬪)으로 강등되어 자수궁(慈壽宮)에 따로 거처하다가 1479년에 폐위되고 이듬해 사사(賜死)되었다.

이듬해 계비 정현왕후(貞顯王后) 윤씨(尹氏)를 비로 책봉할 때에 진책정사(進冊正使)가 되었다.

1483년 세자사(世子師)를 겸하면서, 세자서연(世子書筵)에 매일 빈객 1인, 낭청 2인, 대간 각 1인으로 하여금 진강하게 하였다. 이후 여러번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다가 1485년 나이 84세에 영의정으로 재임된 지 1년 만에 사직하였다.
4. 사후의 상황
그리고 2년 뒤인 1487년 86세로 죽자 왕은 청빈재상이라 하여 많은 물품 등을 부의로 하사하였다.

그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에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윤씨사건의 논의(論議)에 참여한 죄로 윤필상(尹弼尙)한치형(韓致亨)한명회(韓明澮)어세겸(魚世謙)심회(沈澮)이파(李坡)김승경(金升卿)이세좌(李世佐)권주(權柱)이극균(李克均)성준(成俊) 등과 함께 십이간(十二奸)으로 몰려 부관참시(剖官斬屍)되었다.

그러나 1506년(중종 1)에 신원되고 청백리에 녹선되어 부관참시 때 철거한 석물을 다시 세우고 예로써 개장(改葬)하였다.

박학강기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하였으며, 풍채가 준수하고 수염이 배까지 내려왔다고 한다. 성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睿宗實錄
成宗實錄
新增東國輿地勝覽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人物志
國朝名臣錄

[집필자]

권연웅(權延雄)

성명 : "정창손(鄭昌孫)"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配享申叔舟領議政文忠公鄭昌孫領議政忠貞公洪應左議政忠貞公
國朝編年v03齋叢話○世祖旣誅宗瑞等拜領議政府事判吏兵曹兼內外兵馬都統使以鄭麟趾爲左議政韓確爲右議政又以許詡左參贊鄭昌孫吏曹判書李季甸兵曹判書權蹲大司憲朴仲孫兵曹參判崔恒都承旨閔謇忠淸監司奇虔平安監司確卽世祖姻親以此辭免
國朝編年v03上王事覺而死錄輸忠衛社同德佐翼功臣桂陽君璔世宗第二王子等四十一人○左贊成鄭昌孫與其壻成均司藝金礩密告成三問等謀叛上引礩問其狀對曰三問請見臣臣往見三問曰近日上王開昌德宮北墻往來瑜舊
國朝編年v04不得安心矣大妃不從遂還政以明澮啓辭有未安之意下敎責之於是兩司交章請鞫至引世祖以言語不敬誅楊汀流鄭麟趾鄭昌孫等力請不允武靈君柳子光亦上疏請治明澮失言之罪又不允子光再疏措語失實坐罷野言別集○六月領議政高靈府院君
國朝編年v05山及卽位心怨之愼守英者以王妃之弟寵幸用事告匿名書誹謗朝政負罪者快快怨望遂有甲子之禍尹弼啇韓致亨韓明澮鄭昌孫魚世謙沈澮李坡金升卿李世佐權柱李克均成俊坐廢妃事皆致之極刑致亨弼啇克均坡世佐幷族其家洪貴達權達手公子
國朝編年v06爲而政府啓請之事也其後南孝溫上疏而成宗以疏示政院其時任士洪以臣子所不得議啓之士洪本誤國小人故防啓如是鄭昌孫當廢昭陵之時與議故亦以孝溫之疏過越不切泛然啓達今觀實錄權氏不應緣坐明白而文宗獨位享于宗廟於臣子之心甚
國朝彙鑑v1八年秋七月命禁婦女再嫁其再嫁人子孫勿許授官赴擧著爲令上命召時原任大臣二品以上議再嫁之禁鄭昌孫等以爲依大典更歷三夫外勿論便也任元濬許琮等以爲再嫁者一皆禁斷其子孫不許入仕誠爲勵名敎之道也上敎曰傳云
紀年便攷v8世子勿入侍雲釰亦令勿入時三問父勝與俞應孚為雲釰彭年䓁欲因此入侍而事舉上従之金礩以同謀見事不諧因其妻父鄭昌孫上變告之於是上出御便殿令武士捽下三問而鞫之三問引朴彭年李塏河緯地柳誠源俞應孚朴崝䓁上曰若䓁何為叛我三
紀年便攷v8也上曰議政府必再来俄而領議政鄭麟趾左議政鄭昌孫吏曺判書韓明澮䓁来與申叔舟啓曰魯山為反逆所主不可安居也上曰魯山已降封君廢為庶人可也○十月魯山君卒于寧
紀年便攷v8命文臣正二品以下赴試親製筞題名曰登俊試下教有志科舉者雖宗親駙馬者皆令赴試右參䝺金礩收劵命鄭麟趾鄭昌孫申叔舟䓁讀劵取金守温䓁上親製小詩曰求賢如渴一見如舊及應榜百官陳賀賜
紀年便攷v8時上有疾弗䂊召蓬原君鄭昌孫䓁入內諭以世子參决之意自今以後卿䓁分四番詣闕與世子議定庶
紀年便攷v8事於是命鄭麟趾具致寬洪允成金礩為一番鄭昌孫沈澮曺錫文金國光為二番申叔舟朴元亨洪達孫盧思慎為三番韓明澮崔恒康純為四番
紀年便攷v8鄭昌孫東萊人文判書謚文景欽之子甲孫弟矩従孫太宗壬午生字孝仲博聞強記能文章善筆法世宗癸卯進士丙午文科丁卯以藝
紀年便攷v8鄭昌孫
紀年便攷v8金礩士衡曾孫宗淑子字可安號雙谷 世宗庚午以司直登秋塲試始與六臣同謀見事不成與其妻父鄭昌孫告變世祖朝䇿佐翼㓛三等封上洛府院君戊子入相至左成宗戊戌卒年五十九謚文靖五世孫自點見下兄弟文科弟碏刑判
紀年便攷v8李樺全義人典農正䧺子鄭昌孫孫婿文科兵判判中樞選清白吏謚良靖
紀年便攷v9改以禮葬以荅民心以荅天譴以荅 祖宗之意䟽入不報上以其䟽下示政院都承旨任士洪以臣子所不敢議防啓力排領相鄭昌孫當 昭陵廢時與議者故亦以孝溫之䟽過越防啓
紀年便攷v9鄭昌孫見世祖朝相臣
紀年便攷v9鄭昌孫
紀年便攷v10李 冑金宏弼辛永禧秀泉副正洪裕孫曹 偉朴漢柱仼熙載庚伯珍柳廷秀李繼孟姜 渾○甲子籍尹弼商韓致亨韓明澮鄭昌孫魚世謙沈 澮李 坡李克均成 俊金升卿李世佐權 柱朴漢柱李守恭庚伯珍茂豊正崔 溥李 黿金宏弼李 冑姜
震史記略v1三十一年己巳英宗皇帝親征北元陷於虜郕王卽位改元景泰○選集賢殿學士鄭麟趾李思哲鄭昌孫李季甸安止金墩金銚金鉤金末申叔舟權擥朴仲孫崔恒金泮李石亨尹子雲魚孝瞻盧叔同梁誠之成任李克堪李鳴謙金禮
震史記略v1宮謀臣皆從今日盡誅之復上王號令將一隊卒入景福宮則世子安敢逃乎三問不固可金礩恐事不成馳去與其妻父鄭昌孫謀曰今日不成天也不如先告僥倖得生則富貴有餘昌孫卽與礩馳往上變告臣實不知礩獨與焉上特赦昌孫礩時
震史記略v1八年丁酉築先蠶壇于昌德宮後苑○三月王妃率命婦始行親蠶壇○七月上以再嫁人事召二品以上議鄭昌孫謂宜依大典再嫁人子孫勿許授官赴擧許琮任元濬以爲當禁誠爲勵世名敎之道也上曰婦有三從之道無一違之禮世道
羹墻錄v1勝敎訓有所未至爾其歷採經史及本朝實錄之可法可戒者以啓書成賜名曰諭善書命於書筵進讀常訓輯編上召蓬原君鄭昌孫等敎曰予以不次猥受丕基無才無德變古政尙多至於北征西征兵師不絶民心不靜天心何安近欲傳位卿等固請故不獲已
見睫錄v1高靈府院君申叔舟蓬原府院君鄭昌孫益城府院君洪應
記聞v1錄輸忠衛社同德佐翼功臣桂陽君增等四十一人誅李施愛錄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曺錫文等四十一人○相李思哲鄭昌孫姜孟卿申叔舟權擥韓明澮李仁孫具致寬黃守身沈澮朴元亨曺錫文洪達孫崔恒龜城君浚康純金礩洪允成○配享右相西
大東彙纂v1成宗初廢中宮尹氏領相鄭昌孫不能力諫降封嬪別處慈壽宮大司憲蔡壽等以爲尹氏雖坐廢曾配至尊今處閭閻奉養亦窘請置一室官給廩餼上大怒以
東藩大義v1十五年己亥十月聖節使韓致禮馳報云太監汪直與摠兵贇撫寧侯朱俊將討建州衙上召諸臣曰若有請兵之事其從歟否鄭昌孫字孝仲領相功臣蓬原君諡忠貞韓明澮字子濬領相功臣上黨君諡忠成沈澮字淸甫領相功臣靑松君諡恭肅
歷代帝王紀年v01尹准鄭昌孫梁克選
國朝捷錄v01鄭昌孫
國朝捷錄v01朴瑞生文吏議漸子庇安人居善山李石根宗室府院君閔不貪文參判逸大憲騫父敎官嶪六代祖洪桂芳參判朴彭年見節義鄭昌孫補見相李廷俌文監司李知判官鄭陟大學黃孝元文參判世祖朝崔萬理副學奎瑞遠祖海州人柳琰晉州人吏判文簡公惠孫
國朝捷錄v01公坤曾孫世宗駙馬申叔舟見上權擥見上韓明澮見上二等十二人鄭麟趾見上李思哲見上尹炯坡平君恭簡公追錄左贊成鄭昌孫蓬原君金礩妻父同爲告變尹巖坡平君齊度公太宗儀賓知禁李季疄韓山君恭武公牧隱孫種善子蔭贊成李季甸韓城君季
國朝捷錄v01成宗大王室領議政高靈府院君文忠公下四人皆功臣申叔舟領議政蓬原府院君忠貞公鄭昌孫左議政益城府院君貞貞公洪應右議政居平府院君李復宗室
職官考v01乙亥景泰六年閏六月端宗禪位于世祖九月錄佐翼勳桂陽君璔等四十一人明年丙子六月司藝金礩右贊成鄭昌孫上變成三問李塏河緯地朴彭年兪應孚成勝權自愼尹鈴孫宋石同等皆死七月命佐翼三等功臣鄭昌孫陞二等軍器正金躓
孝宗國恤謄錄n1-1책補密城君琛銀川君禶鎭 南君終生樂安君寧玉山君躋議與鄭昌孫議同 從昌孫等議仍傳曰今從吉外人豈知予不得已之 意
孝宗國恤謄錄n1-1책色宮 內從吉朝延因素服以終睿宗之喪何如蓬原府院 君鄭昌孫高靈府院君申叔舟上黨府院君韓 明澮綾城府院君具致寬
靑邱風雲v1入台李思哲字誠之全州人文安公再爲功臣以宗籍屢擢至相乙亥拜父蘭祖天柱曾千興外尹思溫妻父崔璿鄭昌孫字孝仲東萊人忠貞公三爲功臣告六臣禍丙子拜父欽之祖符曾良生外崔丙禮妻父鄭持姜孟卿字子章晉
韓史綮v1問等止之曰公之雲劍之不用天也不如俟後日應孚曰事貴神速時不可失三問等固止之礩恐禍及已使妻父左贊成鄭昌孫上變告是日三問適入侍王令武士捽下殿竝逮彭年緯地塏應孚至王先鞫三問曰若等何爲叛我三問曰欲復故主
韓史綮v1之旣而復行至世宗中又再罷之春正月王用粱誠之言親祀圜丘○始立注書官記注之法○冬十月領議政鄭麟趾左議政鄭昌孫等言魯山君爲叛逆主不可赦讓寧大君禔亦與諸宗室上疏請正魯山君之罪王乃遣人縊魯山君殺之魯山君旣
韓史綮v1八年明憲宗成化十二年春正月王后始親蠶○舊典婦女之寡者令再嫁而不得三嫁王病之秋七月召諸臣議其事相臣鄭昌孫等皆言舊制便判書任元濬許琮駁之以爲宜禁再嫁不如是不足以勵名敎執義李瓊同再駁曰若如二臣言則大有所鍀必
東國續修文獻錄v1李思哲字誠之全州人文左相文安申叔舟字泛翁號保閒齋高靈人文領相文忠鄭昌孫字孝仲東萊人文左相几杖忠貞姜孟卿字子章晉州人文領相文景權擥字正卿號所閒堂安東人文左相翼平韓
東國續修文獻錄v1鄭麟趾河東府院君見相李思哲見相靖難功鄭昌孫蓬原府院君忠靖公見相尹炯坡平府院君左贊恭簡公尹巖坡平府院君駙馬齊度公李季疄韓山府院君蔭贊成恭武公李
東國續修文獻錄v1鄭麟趾見佐靖鄭昌孫見上相曺錫文見相敵愾韓伯倫見上敵愾盧思愼宣城府院君見相康衮見上靖難洪應益城府院君見相愼承善居平府院君
東國續修文獻錄v1李婷月山大君文孝公李琮密城君鄭麟趾見上相鄭昌孫見上相沈澮見上相具致寬見上相尹士昕見上相韓繼美見佐翼功韓繼禧見翊戴功宋文琳礪城君大憲
國朝人物志v1髮娶妻人多勸之仕終不屈志放曠如舊或入訟庭持典作直詭辯必勝案成大笑破棄之或與市童游一日見領議政鄭昌孫過市大呼曰彼漢宜休人多危之絶交宗室秀川副正貞恩南孝溫安應世洪裕孫等終始不渝未幾妻歿復
國朝人物志v1文宗眷遇及文宗禮陟端宗幼沖世祖受禪礩爲成均司藝丙子六月礩與妻父左贊成鄭昌孫密告成三問謀反上引礩問其狀對曰三問請見臣往見三問曰近日上王開昌德宮北門往
國朝人物志v1下威儀甚盛公忽乘輿騰空而去俄而卒諡質景昭代紀年燕山甲子獄以致亨及尹弼商韓明澮鄭昌孫魚世謙沈澮李坡金升卿李世佐權柱李克均成俊參廢妃尹氏事皆致極刑致亨弼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