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손(鄭昌孫)
[문과] 세종(世宗) 29년(1447) 정묘(丁卯) 중시(重試) 을과3등(乙科三等) 7위(17/19)
[인물요약]
UCI | G002+AKS-KHF_13C815CC3DC190B1402X0 | ||
자(字) | 효중(孝仲) | ||
호(號) | 동산(東山)【補】(주1)
|
||
시호(諡號) | 충정(忠貞) | ||
생년 | 임오(壬午) 1402년 (태종 2) | ||
졸년 | 정미(丁未)(주2)
|
||
향년 | 86세 | ||
합격연령 | 46세 | ||
본인본관 | 동래(東萊) | ||
거주지 | 미상(未詳) |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 19명 [乙一等3・乙二等7・乙三等9] |
전력 | 직예문관(直藝文館) |
문과시제 | 전(箋):의집현전진팔준도(擬集賢殿進八駿圖) |
타과 | 1423년(세종 5)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등(○等) ○○위 |
본인문과 | 1426년(세종 8)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 동진사(同進士) 10위 |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정흠지(鄭欽之)[文]
품계 : 자헌대부(資憲大夫)
관직 : 지중추원사(知中樞院使)
관직 : 증시문경공(贈諡文景公)(주3)
【補】
품계 : 자헌대부(資憲大夫)
관직 : 지중추원사(知中樞院使)
관직 : 증시문경공(贈諡文景公)(주3)
부관직 |
「정통12년정묘8월21일문과중시방목(正統十二年丁卯八月二十一日文科重試榜目)」(『문절공김선생일고(文節公金先生逸稿)』(1767) 권2)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
[조부(祖父)]
성명 :
정부(鄭符)
[증조부(曾祖父)]
성명 :
정양생(鄭良生)
[외조부(外祖父)]
성명 :
최병례(崔丙禮)
본관 : 전주(全州)【補】
본관 : 전주(全州)【補】
[처부(妻父)]
성명 :
정지(鄭持)
본관 : 청주(淸州)【補】
본관 : 청주(淸州)【補】
[안항(鴈行)]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소장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2-11-30 | 『국조방목(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등록하였습니다. |
2012-07-13 | 『동래정씨기미세보(東萊鄭氏己未世譜)』(1919)를 참고하여 호를 추가하고, 『성종실록』 199권, 성종 18년(1487) 1월 27일 졸기 기사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6-06-20 | 「정통12년정묘8월21일문과중시방목(正統十二年丁卯八月二十一日文科重試榜目)」(『문절공김선생일고(文節公金先生逸稿)』(1767) 권2)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하였습니다. |
2019-10-30 | 『국조방목(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을 [원문이미지 보기]로 추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