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극균(李克均)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DF9ADE0B1437X0
자(字)방형(邦衡)
생년1437(세종 19)
졸년1504(연산군 10)
시대조선전기
본관광주(廣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인손(李仁孫)

[상세내용]

이극균(李克均)
1437년(세종 19)∼1504년(연산군 10).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방형(邦衡).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의 아들이다.

1456년(세조 2)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였다. 무술에도 뛰어남으로써 세조의 총애를 받고 선전관이 되었다.

1459년 성균관주부를 거치고, 이어 회령도사지평, 도체찰사종사관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김구(金龜)최항(崔恒)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교정손자주해(校正孫子註解)』를 찬하였다.

1467년 부호군으로 만포절제사(滿浦節制使)가 되었고, 건주위 정벌의 군공으로 3등 공신이 되어 노비 6구(口)를 하사받았다.

1469년(예종 1) 경상우도병마절도사가 되었으며, 1472년(성종 3) 천추사명나라에 다녀오고, 이어 1474년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동지중추부사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오고, 1477년 영안도관찰사가 되었다.

1479년 강원도관찰사가 되고, 1481년 의금부도사가 되었으며, 이어 평안도절도사한성부판윤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1484년 대사헌을 거쳐 1486년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이어 의금부당상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495년(연산군 1) 다시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498년 좌찬성을 역임하였으며, 이듬해 경변사(警邊使)로 나아가고 1500년에는 우의정이 되었다.

이듬해 좌의정 성준(成俊)과 함께 『서북제번기(西北諸蕃記)』『서북지도(西北地圖)』를 편찬하였다.

1502년 영의정좌의정과 함께 시폐십조(時弊十條)를 왕에게 상소하였으며, 1503년 좌의정이 되었다. 여러 차례 연산군의 황음(荒淫)을 바로잡으려고 애쓴 것이 화근이 되어, 이듬해 갑자사화 때 조카 세좌(世佐)와 함께 연루되어 인동(仁同)으로 귀양가서 사사되었으나 뒤에 신원되었다.

[참고문헌]

世祖實錄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범직(李範稷)

명 : "극균(克均)"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5云成夢井同姜渾極撰諸閣佳名以媚廢主文章雖富安足貴也國朝記事李克均右相仁孫之次子燕山時爲右相謫仁同賜死克均曰吾有何罪憤氣勃勃旣就幽堂還出曰吾年七十身纏百病死亦何恨但有勞於國無罪於身湏以此言回啓否者吾有魂當罰
國朝編年v07午中進士仍擢第初補成均館學諭陞博士兼議政府司錄奉常寺直長不卑小官供職彌勤左議政李克均一見以公輔期之時克均爲成廟實錄捴裁官擢光弼處都廳專委編摩官員於夏考俱見貶居中光弼亦不免局僚皆意其不仕克均曰鄭之弘量必不屑
紀年便攷v11清流之句主大怒遂落職家居為刑叅時館儒見辱於賤隷即首相慎承善之奴左相李克均婢夫也判書韓致亨難之稱病不出克均弟克墩造希顏弟者再稱疾不見両相怒希顏色不動扙殺之中宗朝筞靖國㓛一䓁封昌山府院君己巳入相至領坦率多大節
紀年便攷v15李德馨克均五世孫䕃知事民聖子明宗辛酉生李山海婿字明甫號漢隂又抱瓮㪚人又莎堤㪚人又莎阜生有異賁八歲問小學元亨利貞
國朝捷錄v01字明甫號漢陰廣州人克均五代孫三十一主文三十八入相辭勳救永昌戊戌拜領文翼公山海女民聖子十八科
國朝捷錄v01克均弟贊成
國朝人物志v1丁丑文科戊子重試錄佐理功封廣原君左贊成戊午搆捏史禍諡翼平以罪削奪同上克墩弟克均字邦衡丙子文科與兄克增聯璧成宗朝爲都元帥燕山君庚申爲左議政甲子謫
國朝人物志v1世謙沈澮李坡金升卿李世佐權柱李克均成俊參廢妃尹氏事皆致極刑致亨弼商克均坡世佐竝族其家同上
國朝人物志v2字明甫號漢陰廣州人知事民聖子領議政克均五代孫生有異質沈毅淳謹不妄遊戲十一歲吐辭驚人楊蓬萊過訪屛所從爲酬唱數十篇曰君我師也庚辰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