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창손(鄭昌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C3DC190B1402X0
자(字)효중(孝仲)
시호(諡號)충정(忠貞)
생년1402(태종 2)
졸년1487(성종 18)
시대조선전기
본관동래(東萊)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흠지(鄭欽之)
공신호좌익공신(佐翼功臣)
공신호좌익공신
공신호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
공신호익대공신(翊戴功臣)

[상세내용]

정창손(鄭昌孫)
1402년(태종 2)∼1487년(성종 18).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효중(孝仲).

중추원사(中樞院使) 정흠지(鄭欽之)의 아들이며, 좌참찬 정갑손(鄭甲孫)의 아우이다.
1. 세종대의 관력과 정치활동
1423년(세종 5) 사마시를 거쳐, 1426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권지승문원부정자가 되고, 이어 집현전저작랑교리를 역임하면서 『통감훈의(通鑑訓義)』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441년 사섬서령(司贍署令)으로 전임하였다.

1443년 집현전응교가 되었는데 재직중인 이듬해 한글의 제정을 반대, 『삼강행실』을 반포한 뒤에 충신‧효자‧열녀의 무리가 나옴을 볼 수 없는 것은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은 사람의 자질에 있는 것이지 언문으로 번역한다고 하여 모두 본받는 것은 아니라고 하다가 파직, 투옥되었다. 같은해 풀려나와 응교로 복직된 뒤 1445년 집의가 되었는데, 이듬해 세종이 불경(佛經)을 간행하려 하자, 왕실에서 흥천사(興天寺)를 다시 고쳐 짓고 또 경찬회(慶讚會)를 설치하였음을 들면서, 불교는 괴탄(怪誕)하고 환망(幻妄)하여 나라를 미혹시키고 조정을 그릇되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 왕실의 불교숭상을 강력히 반대하다가 다시 좌천되었다.

이듬해 용서를 받아 직예문관에 등용되고, 같은해 문과중시에 장원급제하여 집현전직제학을 거쳐 1448년 집현전부제학이 되었다. 그 동안 여러번 왕실의 불교숭상에 대하여 반대하는 소(疏)를 올렸으나 세종은 듣지 않았다.

1449년 부제학으로 춘추관편수관수사관(修史官)을 겸직하면서 『고려사』『세종실록』『치평요람(治平要覽)』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2. 문종세조대의 관력과 정치활동
이듬해 문종이 즉위하자 우부승지를 거쳐 1451년(문종 1) 대사헌이 되었는데, 조정의 관원들로부터 남달리 깨끗하며 절조를 잘 지키면서 자신의 산업(産業)을 일삼지 않는다는 찬사를 받았다.

이어 제학대제학병조판서 등을 지내면서 『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1453년(단종 1) 이조판서가 되었는데 외척 홍원용(洪元用)과의 상피관계(相避關係)로 사헌부에서 피혐하기를 주장하였으나 왕의 명으로 피혐되지 않았다.

1455년(세조 1) 우찬성으로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판이조사를 겸하였으며,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녹훈되고 봉원군(蓬原君)에 봉하여졌다.

이듬해에 사위 김질(金質)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이개(李塏)하위지(河緯地)유성원(柳誠源)유응부(兪應孚), 단종의 외숙인 권자신(權自愼) 등과 함께 단종복위를 모의하였는데, 일이 여의치 않자 질이 이 사실을 자신에게 폭로함에 이를 세조에게 고변하였다.

이 공으로 좌익공신 3등에서 1자급을 올려 2등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佐翼功臣)이 되고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가 더하여졌으며 부원군(府院君)으로 진봉(進封)되었다.

이어 대사성대제학을 겸직하고 우의정에 올랐다. 그의 이러한 처사로 절의를 숭상하는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 등으로부터는 많은 비난도 받았다.

그러나 세조로부터는 대단한 신임을 얻어 1457년 좌의정이 되었으며, 이듬해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사직을 하자 세조는 1일간 조회를 정지하고 부의(賻儀)로 미두(米豆) 50석, 종이 100권과 관곽(棺槨)을 내려주었다.

그리고 여묘(廬墓)살이를 하고 있는 그를 세조는 기복(起復: 나라의 일이 있을 때 상중에 있는 대신을 3년상이 지나기 전에 벼슬에 임명하던 제도)시켜 영의정으로 삼았다. 이에 여러번 소를 올려 이를 사양하였으나 세조는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1462년 세자에게 양위할 것을 말하였다가 삭직되고 여산(礪山)에 부처(付處)되었으나, 곧 용서받고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에 복작(復爵)되었다.
3. 예종성종대의 관력과 정치활동
1468년(예종 즉위)예종이 즉위한 뒤 남이(南怡)강순(康純)의 옥사를 잘 다스려 익대공신(翊戴功臣) 3등에 올랐고, 1469년 성종이 즉위하자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로 승품되고 원상(院相)이 되었다.

1470년 나이가 70이 되어 치사(致仕)하기를 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고 궤장이 하사되었다.

1456년(세조 2)에 죽은 세조의 맏아들 의경세자(懿敬世子)를 이해에 덕종(德宗)으로 추존하는 데 적극 앞장섰다.

한편, 남효온(南孝溫)이 상소하여 세조 즉위초에 폐위된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顯德王后)소릉(昭陵) 복위를 주청하자 소릉의 폐출에 참여한 그는 복위에 반대하였는데, 후일 복위된 뒤 이로 인하여 지탄을 받았다.

1475년 영의정에 재임되었으며, 이듬해 왕비의 비행으로 왕이 왕비를 폐하려고 할 때 영의정으로 있으면서 강력하게 간하지 못하였다.

그뒤 윤비(尹妃)는 빈(嬪)으로 강등되어 자수궁(慈壽宮)에 따로 거처하다가 1479년에 폐위되고 이듬해 사사(賜死)되었다.

이듬해 계비 정현왕후(貞顯王后) 윤씨(尹氏)를 비로 책봉할 때에 진책정사(進冊正使)가 되었다.

1483년 세자사(世子師)를 겸하면서, 세자서연(世子書筵)에 매일 빈객 1인, 낭청 2인, 대간 각 1인으로 하여금 진강하게 하였다. 이후 여러번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다가 1485년 나이 84세에 영의정으로 재임된 지 1년 만에 사직하였다.
4. 사후의 상황
그리고 2년 뒤인 1487년 86세로 죽자 왕은 청빈재상이라 하여 많은 물품 등을 부의로 하사하였다.

그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에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윤씨사건의 논의(論議)에 참여한 죄로 윤필상(尹弼尙)한치형(韓致亨)한명회(韓明澮)어세겸(魚世謙)심회(沈澮)이파(李坡)김승경(金升卿)이세좌(李世佐)권주(權柱)이극균(李克均)성준(成俊) 등과 함께 십이간(十二奸)으로 몰려 부관참시(剖官斬屍)되었다.

그러나 1506년(중종 1)에 신원되고 청백리에 녹선되어 부관참시 때 철거한 석물을 다시 세우고 예로써 개장(改葬)하였다.

박학강기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하였으며, 풍채가 준수하고 수염이 배까지 내려왔다고 한다. 성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睿宗實錄
成宗實錄
新增東國輿地勝覽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人物志
國朝名臣錄

[집필자]

권연웅(權延雄)

명 : "창손(昌孫)"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3實錄三問與朴彭年等謀復魯山君彭年謂礩曰事成則汝之妻父可爲領議政成三問等擧事之期屢違不諧礩乃泄於鄭昌孫昌孫卽同礩詣闕密啓曰礩與成三問等云云罪當萬死光廟出御便殿三問以承旨入侍光廟令武士猝下以礩訢告誥之三問笑而
紀年便攷v8靖難日擢拜吏判 世祖丙子入相至左丁內憂起復為領相不就己卯復拜領相上深加眷注每曰予之敬卿無異叔父必下榻昌孫性不能酒必設醴睿宗朝䇿翼戴㓛三等成宗朝䇿佐理㓛三䓁與其婿金礩告六臣變立朝五十餘年拜相後三十二年居相位
紀年便攷v9鄭蘭宗東萊人直學賜子昌孫十八寸 世宗癸丑生字國馨號虚白堂世祖丙子生進俱中同年文科歴翰林銓郞典翰丙戌以僉正登重試同年拔英試登俊
紀年便攷v10鄭佸昌孫子字景會一君會世祖乙酉以正郞登春塲試燕山乙卯入相至左有氣節識治軆以嶺伯特兼知中樞赴燕卒謚恭肅
國朝捷錄v01字慶會昌孫子東萊人恭肅公赴京華乙卯拜左川岺伯特兼知樞有節氣識治體
郯述v03昌孫從曾孫七十六
國朝人物志v1符子年十三生員進士擢拜持平太宗辛卯文科刑曹判書諡文景國朝榜目子甲孫左贊成昌孫領議政
國朝人物志v1甲孫弟世宗五年癸卯生員丙午文科丁卯重試上設集賢殿置二十員妙選文學之士充之昌孫選爲著作歷直提學備顧問演綸綍高步花礴昵侍帷幄時人擬之登瀛洲承命纂通鑑訓義治平要覽
國朝人物志v1礩曰立上王者正也事成則汝妻父可爲領議政須諭汝婦翁三問等擧事之期屢違不諧礩乃泄於昌孫卽同爲詣闕密啓也上出御便殿三問以承旨入侍上令武士捽下以礩所告詰之三問笑而
國朝人物志v1字景會東萊人昌孫之子世祖乙酉生員文科有氣節識治體成宗朝爲大司憲言于上曰正殿川女樂非古也願勿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