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병시(金炳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BCD1C2DCB1832X0
자(字)성초(聖初)
호(號)용암(蓉庵)
생년1832(순조 32)
졸년1898(광무 2)
시대조선후기
본관안동(安東[新])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응근(金應根)
저서『용암집』

[상세내용]

김병시(金炳始)
1832년(순조 32)∼1898년.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新]). 자는 성초(聖初), 호는 용암(蓉庵).

부친은 판서 김응근(金應根)이다.
1. 관력
1855년(철종 6) 북원(北苑) 망배례(望拜禮) 때 참반유무시사(參班儒武試射)에서 뽑히어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때부터 훈국금위종사관(訓局禁衛從事官)선전관(宣傳官)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정언(正言)병조정랑(兵曹正郞)을 거쳐 1860년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에 오르고 1863년에는 이조참의가 되었다.

1865년(고종 2)에는 병조참의, 1869년 예조참판의금부사(義禁府事), 1870년 공충도관찰사(公忠道觀察使), 1874년 도승지(都承旨), 1875년 형조판서예조판서우참찬(右參贊), 1876년 도총관병조판서, 1877년 우포도대장(右捕盜大將)선혜청당상(宣惠廳堂上)도통사(都統使), 1878년 총융사(摠戎使)어영대장(御營大將)지삼군부사(知三軍府事)이조판서, 1879년 규장각제학호조판서, 1881년 공조판서관상감제조(觀象監提調), 1882년에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변리통리내무아문사(辨理統理內務衙門事)독판군국사무(督辦軍國事務) 등의 문무현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2. 임오군란시의 활약상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잠시 호조판서를 물러났다가 흥선대원군톈진으로 납치된 후 다시 호조판서에 복귀하였고, 일본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가 군대를 이끌고 인천에 상륙, 주둔하여 군란의 사후처리문제로 조선정부를 괴롭히고 있을 때 지삼군부사대관(大官)에 차하되어 종사관 서상우(徐相雨)와 함께 이들과 담판협상하였다.

또, 청나라의 장군 오장경(吳長慶)이 조선정부의 요청에 따라 군란의 주도세력이었던 군대의 집단거주촌락이 있는 왕십리이태원을 기습 공격하여 수많은 군인과 그 가족들을 학살하는 만행을 벌였는데, 이때 청군을 찾아가 무고한 양민은 살육하지 말 것을 청원하였다 한다.

임오군란중에 흥선대원군에 의해 폐지되었던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이 난후에 다시 부활되었고, 그해 12월에 정부기구가 변경되어 통리내무아문(統理內務衙門)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통리아문(統理衙門)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바뀌면서 독판군국사무(督辦軍國事務)에 임명되었다.
3. 갑신정변 이후의 활동과 관력
1883년 1월에는 진주사(陳奏使)로 연행(燕行)했고, 양향당상(糧餉堂上)선혜청제조예조판서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1884년 갑신정변 때는 개화파와 수구파의 대립 속에서 사대당에 가담하여 김옥균(金玉均)일파의 정변을 깨뜨리고 심순택(沈舜澤)내각의 독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事務)로 전권대신이 되어 이탈리아영국러시아 등과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였으며, 통리군국아문우의정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가 되었고 잇달아 의정부좌의정총리내무부사(總理內務府事)에 제수되었다.

1886년 「논시폐수차(論時弊袖箚)」에서 정부의 개화정책에 따라 증대한 국가경상비의 지출을 억제하여야 한다고 전제하고, 근검절약하는 긴축재정으로 당시 정부에서 조운(漕運)의 편리를 위하여 추진하였던 윤선(輪船)의 구입을 강력하게 반대하였고, 1888년에는 「논전폐계(論錢弊啓)」에서 정부의 화폐정책을 비판하고, 특히 당오전(當五錢)을 비롯한 악화의 남조를 금지할 것을 주장하였다.

1894년 전라도를 중심으로 농민전쟁이 터졌는데, 이를 구실로 일본과 청국이 각기 그들의 군대를 아산인천에 상륙시켜 청일양국간에 전쟁이 촉발하기 직전인 6월 20일에 영의정이 되었다.

그러나 그 다음날 일본군이 조선정부의 폐정을 개혁한다는 이유로 흥선대원군을 앞장세워 왕궁을 점령하고 24일에 새로이 김홍집(金弘集)내각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4일간의 영의정으로 끝났다. 이리하여 이른바 갑오경장이 진행되고 새로 조직된 군국기무처에서 시강원사(侍講院師)중추원의장(中樞院議長)의 자리를 맡았다.

1895년 민비시해사건 후 김홍집내각이 단발령(斷髮令)을 내려 이를 강제로 실시하자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났는데, 이때 궁내부특진관으로서 단발령에 반대하는 상소를 하였다. 이런 혼란 속에 고종이 아관(俄館)으로 파천하였고 따라서 김홍집이 실각하고 새로이 친로내각이 수립되었는데 이때에 내각총리대신이 되었다.

1897년 대한제국이라는 국호 아래 새 관제를 정비한 광무정부가 발족하자 의정부의정(議政府議政)에 임명되었고, 대원군이 죽은 뒤 산릉석의중수도감도제조(山陵石儀重修都監都提調)에 제수되었다.

정치‧경제사상은 철저하게 유교적 왕도사상에 근거하고 있었으나 이용후생과 경세치용에 대한 관심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철종조에서 문호개방‧임오군란‧갑신정변‧갑오농민전쟁‧청일전쟁‧갑오경장‧을미사변 등 한국근세의 역사 속에서 정부의 중요관직을 두루 역임하면서 언제나 온건 보수의 길을 선택하여 개량주의를 지향하는 정치가로 일관하였다.

특히, 김옥균박영효(朴泳孝) 등 갑신정변을 주도한 혁명세력과는 말할 것도 없고 김홍집어윤중(魚允中) 등을 비롯한 온건 개혁세력과도 언제나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보수주의자였다.

일생을 조선 봉건왕조체제를 수호하기 위해, 5백년 선왕의 제도는 변혁할 수도 없고 변혁해서도 아니된다는 정치원리를 신봉하며, 이를 주장한 수구파 관료였다.

최근 일부 학자들에 의하여 그가 민본주의에 입각한 중도적 개혁가로서 개화파와 수구파의 대립이 계속된 조선근세정치사에서 언제나 민족주의적 입장을 지킨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정치가였다고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의 죽음에 국왕이 제문을 친찬(親撰)하고 충문(忠文)이라 증시(贈諡)하였다.

저서로는 『용암집』이 있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日省錄
承政院日記
蓉庵集
韓國 近代의 民族意識硏究(金昌洙, 同和出版公社, 1987)

[집필자]

성대경(成大慶)
대표명김병시(金炳始)
병시(炳始)
성명김병시(金炳始)

성명 : "김병시(金炳始)"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東宮日錄v9右賓客金炳始兼弼善李輔榮司書趙秉翊右翊衛任穉宰
東宮日錄v9○上敎曰師領議政洪淳穆傅左議政金炳國各內下大豹皮一令賜給貳師閔台鎬內下豹皮一令賜給左賓客趙寧夏右賓客金炳始左副賓客閔泳穆右副賓客鄭範朝贊善宋秉璿各熟馬一匹賜給輔德鄭元夏兼輔德尹相萬弼善金天洙兼弼善李輔榮各兒
東宮日錄v13判府事金弘集金炳始師領議 政沈舜澤左賓客尹滋承右賓客金永壽左副賓客李載完右副賓客閔應植行輔德鄭夏源行兼輔德徐正淳弼善鄭
東宮日錄v16原任傅金弘集金炳始右議政趙秉世左賓客鄭範朝右賓客閔泳煥原任賓客金永壽右副賓客韓章錫檢校輔德金聲根閔泳韶金文鉉閔丙奭趙東
東宮日錄v16者過示撝謙只許元朝稱賀之節此是邦禮之應行者而崇飾之典未蒙準許伏想睿衷悶迫而臣等下情尤無以仰達矣原任傅金炳始曰伏見疏批聖不自居而以睿學將就勸勉備至下情顒祝之中尤切欽仰伏望邸下思所以仰體之道焉余曰以予愚鹵何以對
東宮日錄v17領敦寧金炳德領議政沈舜澤判府事金弘集金炳始右議政趙秉世左賓客鄭範朝右賓客閔泳商左副賓客沈履澤右副賓客閔泳煥檢校輔德金聲根閔泳韶閔泳駿金文鉉趙東
東宮日錄v18師領 議政沈舜澤原任傅判府事金弘集領敦寧金炳始判府事趙秉世左賓客沈履澤右賓客閔應植左副賓客鄭基會右副賓客閔泳駿檢校輔德金聲根趙東冕金春熙閔宗植行兼
東宮日錄v21師領議政沈舜澤原任傅金弘集金炳始傅左議政趙秉世原任大臣鄭範朝原任賓客金永壽左賓客閔泳駿原任賓客閔應植右賓客李承五左副賓客鄭基會右副賓
春坊日記v18文學金春煕尹閔啓鎬文學李容泰兼文學李垠鎔司書金敎獻兼司書趙東潤檢校說書閔泳喆兼說書閔厚植原任傅金宏集金炳始右議政趙秉世左賓客鄭範朝右賓客閔泳煥原任賓客金永壽左副賓客閔泳商右副賓客韓章錫桂坊亦爲全數進參達曰原
春坊日記v18四旬稱慶之典援邦禮仰請矣今承睿敎闡號稱觥諸凡儀文行將疏請臣等愚淺之見所不能及而惟有懽忭顒望而已判府事金炳始曰今伏承睿敎不勝萬萬頌祝惟我兩聖殿下功侔堯舜德媲妊姒至仁盛化雖日進鴻號猶有不足況當坤聖寶齡四旬之慶宜
春坊日記v18終有所于不安于中也讀訖手批旋傳于挾侍挾侍奉進于王世子前王世子奉覽一遍訖令曰手批示于諸大臣判府事金宏集金炳始右議政趙秉世進前邸下曰今承允兪之批慶抃無比仍出批答輪示大臣宏集曰睿孝仰格夫承兪音懽欣慶忭無以形達矣炳
春坊日記v18爲靳持委實無當不允讀訖手批旋轉于挾侍挾侍奉進于王世子前王世子敬覽一遍訖令曰手批示于諸大臣判府事金宏集金炳始右議政趙秉世進前宏集曰今日甚不寒矣大殿聖體若何邸下曰萬安矣又奏曰睿體若何邸下曰一樣矣又奏曰已承批旨乎
春坊日記v20任大臣賓客春桂坊依下令來待矣答曰入對○入對座目入達春桂坊入直○師領議政沈舜澤原任傅判府事金宏集判府事金炳始時任大臣右議政趙秉世左賓客鄭範朝右賓客閔泳商右副賓客閔泳煥檢校輔德金聲根閔泳韶駿閔泳駿韶金文鉉徐正淳
春坊日記v20煕弼善朴勝吉承牌肅拜○師原任傅原任大臣賓客春桂坊依下令來待矣答曰入對邸下座長安堂師沈舜澤原任傅金弘集金炳始原任大臣趙秉世左賓客鄭範朝右賓客閔泳商左副賓客沈履澤右副賓客閔泳煥檢校輔德金聲根閔泳韶徐正淳趙東冕閔
春坊日記v22大臣賓客春桂坊依下令來待矣答曰入對○入對座目入達春桂坊入直○師領議政沈舜澤原任傅判府事金弘集傅領敦寧金炳始原任大臣判府事趙秉世左賓客閔泳商右賓客金永壽左副賓客沈履澤右副賓客閔泳煥原任賓客閔應植檢校輔德金聲根
春坊日記v22依下令來待矣答曰入對○入對座目入達春桂坊上下番入直書入○師領議政沈舜澤原任傅判府事金弘集原任傅領敦寧金炳始原任大臣判府事趙秉世判府事鄭範朝左賓客沈履澤左副賓客鄭基會右副賓客閔泳駿檢校輔德金聲根趙東冕輔德金永
春坊日記v22原任大臣賓客春桂坊依下令來待矣答曰入對○座目單子入達春桂坊入直師領議政沈舜澤原任傅判府事金弘集領敦寧金炳始原任大臣判府事趙秉世左賓客沈履澤右賓客閔應植左副賓客鄭基會右副賓客閔泳駿檢校輔德金聲根趙東冕金春煕閔
春坊日記v22傅原任大臣賓客春桂坊依下令來待矣答入曰對○座目入達春桂坊入直○師領議政沈舜澤原任傅判府事金弘集領敦寧金炳始原任大臣判府事趙秉世左賓客沈履澤右賓客閔應植左副賓客鄭基會右副賓客閔泳駿檢校輔德金聲根趙東冕金春煕閔
春坊日記v23對○時原任賓客春坊爲承候來待矣答曰入對○入對座目入達春桂坊入直○奉朝賀金炳德原任傅判府事金弘集領敦寧金炳始原任大臣趙秉世右議政鄭範朝原任賓客李鎬俊閔泳商右賓客閔應植左副賓客鄭基會右副賓客閔泳駿檢校輔德金聲根
勅使日記v15辰時大駕詣慕華舘迎勅擧動入侍時行都承旨沈承澤左承旨朴麟夏右承旨金炳始左副承旨曺錫輿右副承旨沈履澤同副承旨李奎奭假注書柳道昌柳明根事變假注書朴齊敎記事官趙熙《一》洪軒鍾直
勅使日記v15丑時大駕詣慕華舘送勅擧動入侍時行都承旨沈承澤左承旨朴麟夏右承旨金炳始右副承旨沈履澤同副承旨李奎奭假注書柳道昌柳明根事變假注書朴齊敎記事官趙熙一洪軒鍾直閣李承五檢校待敎徐
景孝殿郎廳先生案 判書 金炳始 乙亥九月初七日
景孝殿郎廳先生案 行判書 金炳始 庚辰十月二十九日
景孝殿郎廳先生案 行判書 金炳始 癸未四月十一日
景孝殿郎廳先生案 兼判書 金炳始 癸未六月十一日
景孝殿郎廳先生案 參判 金炳始 己巳八月二十二日
景孝殿郎廳先生案 參判 金炳始 庚午十月十一日
師傅賓客先生案仙 傅 金炳始 丙戌八月二十八日政除拜
師傅賓客先生案仙 左副賓客 金炳始 聖初 壬辰 安東人 丙子六月二十七日前望除拜同日
師傅賓客先生案仙 左副賓客 金炳始 丁丑十月二十九日前望除拜戊寅二月二十四日降右
師傅賓客先生案仙 左副賓客 金炳始 壬午正月十三日前望除拜
師傅賓客先生案仙 右賓客 金炳始 壬午九月初七日政除拜十二月初四日陞左癸未六月
師傅賓客先生案仙 左賓客 金炳始 甲申正月二十日前望除拜
社稷署都提調先生案金炳始 丙戌十一月十六日 除拜
社稷署都提調先生案金炳始 丙子十二月三十日口傳 除拜
外案特資憲 己巳十二年仍 辛正以進豊社還削職分揀摠管 金炳始 庚午閏十拜 壬申十一瓜仍 疏遞
外案李源獜 辛未四河陽來與監司金炳始內外從未赴換松禾 李東稙 辛未四松禾換來 擇奉化
外案匡始 戊辰五宮令拜 谷城 金炳怡 庚午七拜 與監司金炳始親避換陽城
進饌儀軌v2殿時原任大臣禮堂入侍時 行都承旨尹用求假注書權相洛記注官朴斗杓別兼春秋李茂魯領議政沈舜澤判府事金弘集金炳始禮曹判書洪澈周參判金德圭參議金在容以次進伏訖上曰 史官分左右舜澤奏曰 臣等承命 率禮堂登對矣上曰 今
神貞王后國恤謄錄n1-1책庚寅四月二十八日 一領議政沈舜澤判府事金弘集摠護使金炳始右議政趙秉世山陵都 監提調鄭基會觀象監提調徐衡淳禮
神貞王后國恤謄錄n1-1책施行一賓廳啓曰山陵各項吉日推擇以入事啓下矣摠護使臣金炳始 觀象監領事臣沈舜澤山陵都監堂上臣金壽鉉臣鄭基會臣
神貞王后國恤謄錄n1-1책任大臣閣臣承候入侍時原任大臣請對同爲入侍時 判府事金炳始所啓大行大王大妃所上各年冊寶當爲奉安于殯殿 而今在
禁衛營謄錄n1-121책 壬申正月日 啓目粘連啓下是白有亦觀此忠情監司金炳始啓本則枚擧洪州 牧使閔致庠牒呈內以爲全羅道樂安郡庚
禁衛營謄錄n1-121책各內下豹皮一令賜給修政殿上樑文製 述官申錫禧書寫官金炳始各內下虎皮一令賜給紫薇 堂上樑文書寫官李承輔懸板書
禁衛營謄錄n1-121책昌龍宮 英陽眞寶泗川熊川漆原議政府啓曰卽見忠淸監司金炳始災實分等狀啓則保 寧等九邑置之尤甚公州等三十一邑鎭
禁衛營謄錄n1-121책施行之意分付何如 啓目粘連啓下是白有亦觀此忠淸監司金炳始啓本 則枚擧庇仁縣監金商鳳牒呈以爲全羅道咸平縣 辛
禁衛營謄錄n1-121책施行之意分 付何如啓目粘連啓下是白有亦觀此忠淸監司金炳始啓本 則枚擧洪州牧使閔致序牒呈以爲全羅道金堤郡庚
禁衛營謄錄n1-121책體施行之意分付何如啓目粘連啓下爲白有如觀此忠淸監司金炳始啓本則 枚擧庇仁縣監金商鳳牒呈以爲全羅道咸平縣辛未
宣傳官廳日記○傳曰中宮殿奉迎時領議政進去○傳曰中宮殿奉迎時提學金炳始檢校直提學鄭範朝右承旨尹相萬右副承旨金學洙翰注兵摠
春秋日記,藥房v4都提調臣李裕元提調臣朴齊寅副提調臣金炳始
春秋日記,藥房v14入侍時都提調金炳始進前奏曰今夏潦熱忒甚尙亦淋濕此時聖體 若何上曰一樣矣炳始曰寢睡水剌之節何如上曰一樣矣炳始曰 王太后陛
春秋日記,藥房v14都提調臣金炳始卿臣趙鍾弼少卿臣李起鍾
春秋日記,藥房v15都提調臣金炳始卿臣金九鉉少卿臣張承遠
韓史綮v3士官生徒等皆與竹添進一郞走之日本時都民欲殺竹添至其館見其已去遂焚館而退○以京畿監司金弘集爲左議政判書金炳始爲右議政外務督辦金允植爲兵曹判書仍兼本職炳始力辭不拜○王還宮○罪金玉均等三族時洪淳穆巳向闕叩頭而自殺
韓史綮v3不赴流所泳駿逃入中國或謂王密以璽書授泳駿使往見李鴻章與謀禦日本之事云○沈舜澤自知不爲時議所容辭職去以金炳始代爲領議政炳始又堅辭於是授金弘集自弘集出而大院君稍稍不預政焉○設軍國機務處以金弘集爲本處會議總裁官令
韓史綮v3城設電報局達于義州陸電報始此○罷內閣復議政府府置議政一人其下有參政贊政參贊等官於是復舊之事日出矣○以金炳始爲議政不拜○時學部大臣申箕善刊所著書一冊徐載弼素與箕善不合九月以其書中譏斥天主敎之語洩于漢京所在西洋
韓史綮v3臣之罪王積怒允中之强頃故置而不省允中淸儉剛毅遇事風生時人皆推爲救時之才然性少粗戇矜自傲物故及於禍○以金炳始爲總理大臣李完用爲外部大臣李範晉爲法部大臣李允用爲軍部大臣炳始力辭○三月竄金允植于濟州朝臣或言允植亦
韓史綮v3善獨性慕文字凡朝臣有文字者必以異數待之此允植所以得免也○以尹容善爲總理大臣容善斗壽之後也粗識文字嘗爲金炳始代草章箚王聞之以爲能文而擢用之容善旣用惟脂韋自保而已○收斷髮之令以申箕善等爲宣諭使齊詔往各道令義兵散
韓史綮v3主王守仁性狷隘不能容物然好推獎人才有味其言之也與建昌游者有處士朴文鎬成均生員黃玹之徒以文學著○前議政金炳始卒炳始炳德之從弟也生長綺紈而淸儉自守眷眷於王室以帝難與圖治不可空據高位屢辭相職然進對之際時時規上過失
東國續修文獻錄v1后文左相文敬金炳德字聖一興根子文右相沈舜澤字致華連源後文領相靑寧伯金弘集字思穆從孫文右相乙未亂死金炳始字聖初號蓉菴弘根侄文右相金有淵字載瓚孫文右相趙秉世字穉顯泰采后文右相忠正鄭範朝字元容孫文右相君
東國續修文獻錄v1子潘南人右相閔泳穆遠卿吏議泰鏞子驪興人吏判李載兢興仁君最應子宗姓判書尹用求周賓南寧尉宜善子海平人判書金炳始判書應根子安東人領相金永哲文卿吏判輔鉉子光山人判書洪淳馨汝聞判書鍾奭子南陽人判書金興圭起哉禮判炳弼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