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채제공(蔡濟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C44C81CACF5B1720X0
자(字)백규(伯規)
호(號)번암(樊巖)
호(號)번옹(樊翁)
시호(諡號)문숙(文肅)
생년1720(숙종 46)
졸년1799(정조 23)
시대조선후기
본관평강(平康)
활동분야문신 > 문신
채응일(蔡膺一)
출생지홍주
묘소경기도 용인
저서『번암집』

[상세내용]

채제공(蔡濟恭)
1720년(숙종 46)∼1799년(정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번옹(樊翁).

효종이조판서대제학을 지낸 채유후(蔡裕後)의 방계 5대손으로, 지중추부사 채응일(蔡膺一)의 아들이다. 홍주 출생.
1. 가계와 관력
1735년(영조 11) 15세로 향시에 급제한 뒤 1743년 문과정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에 임명되면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1748년 한림회권(翰林會圈)때에 영조의 탕평을 표방한 특명으로 선발되어 청요직인 예문관사관직을 거쳤다.

1751년에는 중인(中人)의 분산(墳山)을 탈취하였다 하여 1년 이상 삼척에 유배되었다.

1753년에 충청도암행어사로 균역법의 실시과정상의 폐단과 변방대비 문제를 진언하였다.

1755년 나주괘서사건이 일어나자 문사랑(問事郞)으로 활약하였고, 그 공로로 승정원동부승지가 제수되었다. 이후 이천도호부사대사간을 거쳤고, 『열성지장(列聖誌狀)』 편찬에 참여한 공로로 1758년에 도승지로 임명되었다.
2. 정치편력
이해에 사도세자영조의 사이가 악화되어 세자폐위의 비망기가 내려지자 죽음을 무릅쓰고 막아 이를 철회시켰는데, 이 사건으로 하여 후일 영조채제공을 지적하여 “진실로 나의 사심없는 신하이고 너의 충신이다.”라고 정조에게 말하였다 한다.

이후 대사간대사헌경기감사를 역임하던 중 1762년 모친상으로 관직을 물러나자, 이해 윤5월에 사도세자의 죽음이 있었다.

복상 후 1764년부터 개성유수예문관제학비변사당상을 거쳐 안악군수로 재임중 부친상을 당하여 다시 관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1767년부터 홍문관제학함경도관찰사한성판윤을, 1770년부터는 병조예조호조판서를 역임하고, 1772년 이후 세손우빈객공시당상(貢市堂上)이 되었다.

1775년 평안도관찰사로 재임시에 서류통청(庶類通淸)은 국법의 문제가 아니므로 풍속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한 상소로 인하여 서얼출신자에게 구타당하는 사건이 생기기도 하였다.

이후 영조의 깊은 신임으로 약방제조로 병간호를 담당하기도 하였고, 정조가 왕세손으로 대리청정한 뒤에는 호조판서좌참찬으로 활약하였다.

1776년 3월에 영조가 죽자 국장도감제조에 임명되어 행장‧시장‧어제‧어필의 편찬작업에 참여하였다.

이어 사도세자 죽음에 대한 책임자들을 처단할 때 형조판서 겸 판의금부사로서 옥사를 처결하였고, 정조특명으로 사노비(寺奴婢)의 폐를 교정하는 절목을 마련함으로써 정1품에 이르렀다.

이 사노비절목은 점차로 그들의 수효를 감소시킴으로써 1801년(순조 1)의 사노비 혁파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후 규장각제학예문관제학한성판윤강화유수를 역임하였다.

1780년(정조 4) 홍국영(洪國榮)의 세도가 무너지고 소론계 공신인 서명선(徐命善)영의정으로 하는 정권이 들어서자, 홍국영과의 친분, 사도세자에 대한 신원의 과격한 주장으로 정조 원년에 역적으로 처단된 인물들과의 연관, 그들과 동일한 흉언을 하였다는 죄목으로 집중공격을 받아 이후 8년간 서울근교 명덕산에서 은거생활을 하였다.

1788년 국왕의 친필로 우의정에 특채되었고, 이때 황극(皇極)을 세울 것, 당론을 없앨 것, 의리를 밝힐 것, 탐관오리를 징벌할 것, 백성의 어려움을 근심할 것, 권력기강을 바로잡을 것 등의 6조를 진언하였다.

이후 1790년 좌의정으로서 행정수반이 되었고, 3년간에 걸치는 독상(獨相)으로서 정사를 오로지 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이조전랑의 자대제(自代制) 및 당하관 통청권의 혁파, 신해통공정책 등을 실시하였으며, 반대파의 역공으로 진산사건(珍山事件)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1793년에 잠깐 영의정에 임명되었을 때는, 전일의 영남만인소에서와 같이 사도세자를 위한 단호한 토역(討逆)을 주장하였으므로, 이후 노론계의 집요한 공격이 야기되기도 하였다.

그뒤는 주로 수원성역을 담당하다가 1798년 사직하였다.
3. 학문적 견해와 경제 사회관
문장은 소(疏)와 차(箚)에 능하였고, 시풍은 위로는 이민구(李敏求)허목(許穆), 아래로는 정약용(丁若鏞)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또한, 학문의 적통(嫡統)은 동방의 주자인 이황(李滉)에게 시작하여 정구(鄭逑)허목을 거쳐 이익(李瀷)으로 이어진다고 하면서 정통 성리학의 견해를 유지하였다. 그래서 양명학‧불교‧도교‧민간신앙 등을 이단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이들 사상도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측면에서 선용할 수 있다면 포용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천주교〔西學〕에 대해서도 패륜과 신이적 요소를 지닌 불교의 별파로서, 이적(夷狄)인 청나라 문화의 말단적인 영향이라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서학을 믿는 자에 대하여 역적으로 다스리라는 요구를 당론이라 배척하고, 정조의 뜻을 받들어 척사(斥邪)를 내세우면서도 교화우선원칙을 적용하려 하였다.

자신의 시대를 경장이 필요한 시기로 생각하였으나, 제도개혁보다는 운영의 개선을 강조하여, 중간수탈제거, 부가세 폐단의 제거들을 추진하고 간리(奸吏)의 작폐를 없앰으로써 국가재정 부족을 타개하는 것을 급선무로 생각하였다.

상업활동이 국가재정에 필요함을 인식하였으나 전통적인 농업우선정책을 지켰다.

또한, 사회의 안정을 위해서는 사족(士族)우위의 신분질서와 적서(嫡庶)의 구별을 엄격한 의리로서 지켜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영조년간 청남(南人淸流)의 지도자인 오광운(吳光運)강박(姜樸)에게서 학문을 배웠고, 채팽윤(蔡彭胤)이덕주(李德胄)에게서 시를 배웠다.

친우로는 정범조(丁範祖)이헌경(李獻慶)신광수(申光洙)정재원(丁載遠)안정복(安鼎福) 등이 있고, 최헌중(崔獻中)이승훈(李承薰)이가환(李家煥)정약용 등이 그의 정치적 계자가 된다.
4. 사후 상황
순조 때 유태좌(柳台佐)청양(靑陽)에 그의 영각(影閣)을 세웠고, 1965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홍가신(洪可臣)허목채제공을 모시는 도강영당(道江影堂)이 세워졌다.

저서로는 『번암집』 59권이 전하는데, 권두에는 정조의 친필어찰 및 교지를 수록하였다. 그는 『경종내수실록』『영조실록』, 『국조보감』 편찬작업에도 참여하였다.

1799년 1월 18일에 사망, 3월 26일에 사림장(士林葬)으로 장례가 거행되었고, 묘는 경기도 용인에 있다.

1801년 황사영백서사건(黃嗣永帛書事件)으로 추탈관작되었다가 1823년 영남만인소로 관작이 회복되었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純祖實錄
樊巖集
與猶堂全書
大東尙賢錄(李鍾河, 景仁文化社, 1974)
樊巖蔡濟恭의 西學觀硏究(趙珖, 史叢 17‧18合輯, 1973)
蔡濟恭의 經濟政策에 관한 考察(金東哲, 釜大史學 4, 1980)
朝鮮後期漢文學思潮史硏究(鄭玉子, 韓國史學 5, 1983)
蕩平論과 政局의 變化(朴光用, 韓國史論 10, 1984)

[집필자]

박광용(朴光用)

성명 : "채제공(蔡濟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3蔡濟恭以宰臣前銜差享役上有下詢濟恭仰奏之際泣不成聲上亦涕泣良久曰卿之心予知之久矣予所不知者卿有獨知者則卿於
待闡錄v3蔡濟恭之入對世孫也密奏諸金之反形已具洪尤不可殺臣非愛洪而若殺洪則邸下無所依臣之所以攻洪者義理也扶洪者爲□邸
待闡錄v3令予何敢復行爲先追奪官職尙魯子致讓旌義致顯濟州侄致勳南海致恭臣濟致良楸子島幷安置顯黑山島命招兵曹判書蔡濟恭都承旨徐浩修入侍時上曰卿聞丁丑十二月二十五日恭默閤入侍筵敎乎濟恭對曰臣於丁丑待罪伊川雖未得聞知而戊寅
待闡錄v4逆有間今於一律次律之間欲與卿等商量決定其各陳意見判府事徐命善李福源金熤左議政李性源皆曰減律宜矣右議政蔡濟恭曰兪彦鎬事國綱臣分壞了無餘雖施一律有何足惜而聖敎之提及宋朝故事堯舜之心也堯舜之言也減其一律施以島棘未
事變日記v13上曰蔡濟恭進前白之可也濟恭曰七月二十八日罷漏時臣寢睡矇曨之中大門外有呼別監之聲臣奴來言倉洞洪承旨宅傳喝來矣其人
事變日記v13上御內司僕親鞫入侍時行都承旨南泰會左承旨蔡濟恭右承旨兪彦哉民左副承旨尹東暹刑房承旨鄭彦儒記事官柳戇事變假注書李一曾記事官權穎李世演判府事李宗城領議
事變日記v13鄭稑面質令是白乎矣稑向邵曰此權邵也邵向稑曰此鄭稑也稑曰其時吾出他還來則吾父言于吾曰權邵來見言今番獄事蔡濟恭嫉吾家而爲之云矣邵曰吾家三世皆以謹愼爲主豈與汝父有此等酬酌之事乎汝父雖年老與之面質則可知矣稑曰與蔡濟
事變日記v13濟恭嫉吾家而爲之云矣邵曰吾家三世皆以謹愼爲主豈與汝父有此等酬酌之事乎汝父雖年老與之面質則可知矣稑曰與蔡濟恭情分之好否吾豈不問於汝乎邵曰然矣邵曰汝與妻母酬酌之時汝不曰世儉妻何爲無端治罪云乎稑曰然矣邵曰吾若以與
事變日記v13邵之疑不是異事矣權邵昨年學製後嗾色掌施罰於被抄儒生而罰目多碍於蔡濟恭蔡濟恭以此欲上書而不果云矣矣身與蔡濟恭情分齟齬不知淺深豈可臆度乎然濟恭則心以爲殊常矣以李蔡濟恭二人輕重而言則如是而其實則不知誰某矣權抗之爲
事變日記v13似不爲之矣身於心不疑而蔡濟恭則權邵之疑不是異事矣權邵昨年學製後嗾色掌施罰於被抄儒生而罰目多碍於蔡濟恭蔡濟恭以此欲上書而不果云矣矣身與蔡濟恭情分齟齬不知淺深豈可臆度乎然濟恭則心以爲殊常矣以李蔡濟恭二人輕重而言
事變日記v13去乎其勿挾詐一一從實直告亦刑舊問現推敎是臥乎在亦罪人權邵更招白等矣身於蔡濟恭庠製時見屈而私集以見辱於蔡濟恭書之似以此事當此下問而豈以一屈庠製含憾於人乎謂之見辱願死矣嗾齋任施罰事果有解說矣俄以文書中見捉下問故
事變日記v13父妻娚同入典獄以此致慰而此外別無他說矣邵雖能文而爲人極不佳故常時亦不相好矣邵來言渠之妻父被逮之事似是蔡濟恭之造化云故矣身責以爲吾所不可爲之事豈可疑於人乎仍以此言言于矣子矣仍與權邵面令是白乎矣邵向熙普曰此鄭熙
事變日記v13稑年四十四白等酬酌未知與誰爲之而茫然未思矣其言果是酬酢於矣身妹之事矣世上不亦多有以此致疑者矣聞所聞則蔡濟恭嫉權抗爲此而蔡權互相嫉之云矣往見矣妹日子則不記而其婿來言此事而以爲蔡濟恭嫉吾家爲此事云矣其前一日權邵
事變日記v13不亦多有以此致疑者矣聞所聞則蔡濟恭嫉權抗爲此而蔡權互相嫉之云矣往見矣妹日子則不記而其婿來言此事而以爲蔡濟恭嫉吾家爲此事云矣其前一日權邵來見矣父言蔡濟恭嫉吾家成出此獄云矣矣身適往他處而及還則矣父以此言于矣身矣
事變日記v13道三而言矣權邵來見矣父之言曰蔡濟恭嫉吾家而爲此事云幸勿出口云云矣妹家與權邵相逢時矣身問于權邵曰君家與蔡濟恭近來情分何如邵曰吊問爲之而別無與前有異之事矣雖與權邵面質別無勝負之可言而旣有所聞則面質豈不勝乎相考處
事變日記v13多碍於蔡濟恭蔡濟恭以此欲上書而不果云矣矣身與蔡濟恭情分齟齬不知淺深豈可臆度乎然濟恭則心以爲殊常矣以李蔡濟恭二人輕重而言則如是而其實則不知誰某矣權抗之爲此與否矣身未能臆度而豈有疑心乎矣身常與鄭道三多有閑漫說話
事變日記v13人非刑訊難以所取報故嚴刑取招爲去乎其勿挾詐一一從實直告亦刑舊問現推敎是臥乎在亦罪人權邵更招白等矣身於蔡濟恭庠製時見屈而私集以見辱於蔡濟恭書之似以此事當此下問而豈以一屈庠製含憾於人乎謂之見辱願死矣嗾齋任施罰事
事變日記v13常矣尙魯曰經先言此果殊常矣上曰善興一梅竝就捕可也濟恭進曰臣之奴子亦不可不一番下問矣上曰誠然矣大臣進來蔡濟恭自請下問其奴誠然矣尙魯曰欲知其肯綮而自請其捉奴下問誠是矣聖應曰善興一梅拿來矣上曰先上其奴可矣罪人善興
事變日記v13上御內司僕親鞫入侍時行都承旨南泰會左承旨蔡濟恭右承旨兪彦哉民左副承旨尹東暹刑房承旨鄭彦儒記事官柳戇事變假注書李一曾記事官權潁判府事李宗城領議政李天
事變日記v13之則李似不爲之矣身於心不疑而蔡濟恭則權邵之疑不是異事矣權邵昨年學製後嗾色掌施罰於被抄儒生而罰目多碍於蔡濟恭蔡濟恭以此欲上書而不果云矣矣身與蔡濟恭情分齟齬不知淺深豈可臆度乎然濟恭則心以爲殊常矣以李蔡濟恭二人輕
事變日記v13乎仍以此言言于矣子矣仍與權邵面令是白乎矣邵向熙普曰此鄭熙普也熙普向邵曰此權邵也熙普曰汝來見吾曰此似是蔡濟恭之造化云故吾曰吾所不可爲之事豈可疑之於人乎汝其時以爲來時歷見親舊而亦爲此說云矣汝之多言豈敢能盡記只思
事變日記v13熙普曰似因奴輩聞之矣邵曰吾問若脫空則吾之妻父將何以爲之則汝答曰此亦當無事云矣熙普曰然矣邵曰汝汝豈不問蔡濟恭與汝父情分何如乎熙普曰䋸例酬酌豈盡記憶乎只記汝之似是蔡濟恭造化之說矣邵曰汝何爲如此之說乎汝欲使吾家與
事變日記v13答曰此亦當無事云矣熙普曰然矣邵曰汝汝豈不問蔡濟恭與汝父情分何如乎熙普曰䋸例酬酌豈盡記憶乎只記汝之似是蔡濟恭造化之說矣邵曰汝何爲如此之說乎汝欲使吾家與蔡家離間乎熙普曰蔡濟恭昨年庠製後以被罰事與汝不相好云矣邵曰
事變日記v13鄭稑爲人似如何故矣父雖無相較之事亦不相好矣身豈有酬酌之事乎往見妻母之前送婢探問於矣妻家亦先問於熙普矣蔡濟恭旣無媢嫉矣父之事矣身豈與熙普父子有此酬酌乎仍與鄭稑面質令是白乎矣稑向邵曰此權邵也邵向稑曰此鄭稑也稑曰
事變日記v13熙普曰䋸例酬酌豈盡記憶乎只記汝之似是蔡濟恭造化之說矣邵曰汝何爲如此之說乎汝欲使吾家與蔡家離間乎熙普曰蔡濟恭昨年庠製後以被罰事與汝不相好云矣邵曰罰濟恭者誰也吾爲之乎熙普曰吾亦詳知誰所所爲矣其日酬酌時汝豈不使我
事變日記v13繆頗殊常云矣且言世儉之妻打之云故矣身問其由則矣妹以爲與其子之被捉皆由世儉援引故打其妻云矣矣身謂權邵曰蔡濟恭與汝家情誼何如邵曰情誼如常而亦爲吊喪矣矣身維死匿名書則不爲之矣有人若謂匿名書二人爲之則李似不爲之矣身
事變日記v13何如邵曰情誼如常而亦爲吊喪矣矣身維死匿名書則不爲之矣有人若謂匿名書二人爲之則李似不爲之矣身於心不疑而蔡濟恭則權邵之疑不是異事矣權邵昨年學製後嗾色掌施罰於被抄儒生而罰目多碍於蔡濟恭蔡濟恭以此欲上書而不果云矣矣
事變日記v13事矣今聞此敎直欲死矣其云蔡濟恭之造作化云者未知往何處爲之乎矣身若對鄭熙普而爲其言則當死矣冊子中見辱於蔡濟恭之說果爲之矣矣身之父元無沈滯春坊兩司皆爲之至於銀臺之除尤出夢想之外闔門頌祝天恩矣造作化之說昨出於鄭熙
事變日記v13敎事罪人李元夏更招白等權邵卽矣身之妹夫而邵爲人輕妄常侮矣身故常善待而亦無生隙之事矣昨冬學製後邵有謀陷蔡濟恭之說云矣身亦以此事見慘辱矣濟恭爲學製時矣身與邵同見而見學製翌日見黃柑見陞補計畫出來後邵請矣身故往見則
事變日記v13人權邵白等傳敎中綢繆謀議者果未知何事而矣身豈與元夏爲凶言乎雖好文字元無同做之事矣今聞此敎直欲死矣其云蔡濟恭之造作化云者未知往何處爲之乎矣身若對鄭熙普而爲其言則當死矣冊子中見辱於蔡濟恭之說果爲之矣矣身之父元無
事變日記v40學朴祐源原任直閣徐鼎修鄭東浚徐龍輔尹行恁檢校直閣李晩秀徐榮輔待敎徐有榘領敦寧洪樂性領府事李福源左議政蔡濟恭右議政朴宗岳判義禁洪檍知義禁金尙集具庠同義禁趙心泰大司憲李洪載大司諫尹行元執義李普天獻納朴奎淳持平洪
政堂故事v1持平安致宅達曰慶尙監司尹得載爲人懦柔物望素輕不可鎭服雄藩請改差又曰蔡濟恭以法從之臣爲中路方姓人所敺打流血裏瘡執義李埍乃請蔡勘罪不請方哥之罪請埍罷職方哥令刑曹嚴治春初
玄駒說v2刑曹判書蔡濟恭都承旨徐浩修 入侍時上曰卿聞丁丑十二月二十五日恭默閣入時筵話乎濟恭 對曰臣於丁丑待罪伊川故未得聞之而
國朝捷錄v01蔡濟恭
國朝捷錄v01學一直提學二待敎一黃景源字大卿號江漢璣子文景公戊子生庚申科判書李徽之見相洪國榮德老樂春子戊辰生壬辰科蔡濟恭見相李福源見相
景孝殿郎廳先生案 判書 蔡濟恭
郯述v01正使判中樞蔡濟恭副使吏判鄭一祥書掌令沈念祖
郯述v04左相李性源右相蔡濟恭主文吳載純吏判李吏參具庠○行畐副學金載鑽應敎李敬五○本館錄外吳鼎源徐有鍊崔獻章李祉永柳文养金載翼申鎭
社稷署都提調先生案蔡濟恭 乙未十二月初二日 除拜
疏箚錄v5坰嘯聚黨與晝宵經營必欲壞破義理誑惑人心惟事戕害善類其所附麗慫惥慫慂者寔繁其徒一轉而爲有鄰履翼再轉而爲蔡濟恭朴宗岳闖呈壬子之凶疏而聲氣相連營護德麟之悖疏而情跡潛通背馳大義包藏禍心非一朝一夕之故而苟究其本則樂任
疏箚錄v6擧一世昧昧然不知有謀危宗社之賊潛伏幽隠於至近之地噫嘻國勢日孤賊謀日急一轉再轉遂至張大煽動聲勢醖釀禍機蔡濟恭徐有鄰扶㙖夏而迭倡凶論鄭民始鄭景淳依妖俊而暗作謀主脅持君父同出應顯之套誑惑人心甚於麟亮之撽民始則自湖
疏箚錄v36士生斯世若不知此等秉執則其去禽獸無幾矣然其兩者條件則各異故亦可竝行而不悖雖百般攻邪何損於義理而今之爲蔡濟恭右袒者其飛書發文必以攻邪捃致爲攻蔡又以攻蔡勒驅爲背馳義理必三轉其說然後始得構成罪案斥邪者何干於攻蔡攻
上謚封園都監儀軌n1-1책六月二十六日除授七月初五日許副 提調 三 行副司直蔡濟恭 丙申三月二十一日啓下八月十七日至 行工曹判書金鍾
上謚封園都監儀軌n1-1책例單子啓下吏曹都提調議政府領議政金陽澤提調行副司直蔡濟恭行工曹判書金鍾正兵曹判書李徽之郞廳副司果徐有防副司
親鞠日記v12昌內人月惠秀愛等俄已自內盤問缺▣......▣亦皆一一吐實此其供辭也卿等其見之缺▣......▣▣......▣目缺▣......▣蔡濟恭缺▣▣......▣姜樂繼昌年十缺▣......▣不吐終是隱諱之狀萬萬妖惡兺不喩矣身缺▣......▣▣......▣四寸妺指示之狀
親鞠日記v12上具布褁翼善冠白袍布帶乘輿出延陽門詣肅章門殿座領議政金尙喆左議政鄭存謙右議政徐命善判義禁蔡濟恭同義禁任希曾李命植徐浩修大司憲鄭昌順大司諫趙英鎭司諫安聖彬獻納沈豊之正言李夔兪岳柱問事郞廳應敎李在學
伊川邑誌(江原道)蔡濟恭 文 丙子六月十五日赴任戊寅二月 二十五日移拜右承
重訂南漢志v6陵亦在是年也始上駕次西氷庫津頭上游水暴漲下汎濫船艙至曰晏不得渡諸臣或請回鑾或請移蹕江榭上皆不答顧右相蔡濟恭曰卿何無一言濟恭厲聲曰大小臣工無一人挺身出謀徒事紛聒日將至晡野次停蹕此何國體請督有司之臣及道臣將臣修
韓史綮v2昔先王執予手詔之曰能周全予與前父子者惟蔡濟恭一人誠予之純臣爾之恩人也予豈敢忘卿遂授以官至是而大用之陞蔡濟恭爲左議政以金鍾秀爲右議政鍾秀以文學名
韓史綮v2纉朋□之□蓬□川閥門至高陽郡□聞之又□其悖王以文源所□□於忠□而大臣不可不禮遂流文源于肅川尋赦之○以蔡濟恭爲右議政初英祖不納濟恭哭諫而殺世子然心知其忠義以兵曹判書召之濟恭不應王旣追誅金尙魯召濟恭語之曰昔先王
韓史綮v2子然心知其忠義以兵曹判書召之濟恭不應王旣追誅金尙魯召濟恭語之曰昔先王執予手詔之曰能周全予與前父子者惟蔡濟恭一人誠予之純臣爾之恩人也予豈敢忘卿遂授以官至是而大用之陞蔡濟恭爲左議政以金鍾秀爲右議政鍾秀以文學名
東國續修文獻錄v1忠定李在協字汝皐龍仁人文領相兪彥鎬字士京號則止軒杞溪人文左相文忠李性源字善之廷龜后文左相文肅蔡濟恭字伯觀號樊菴平康人文領相追奪後伸文肅金鍾秀字定夫號夢梧構曾孫文左相追奪後伸文忠金憙字善
東國續修文獻錄v1黃景源大卿江漢璣子長水人判書文景李徽之美卿左相觀命子全州人右相洪國榮德老敦寧樂春子豐山人參判蔡濟恭伯規樊菴同樞膺一子平康人領相文肅李福源綏之吏判喆輔子延安人左相徐命膺君受澹翁吏判宗玉子大邱人二相文衡
東國續修文獻錄v1樂性見相八十一尹坊仲禮七十八禮判宋載經子仲恩津人七十六吏判鄭述祚孝先海州人七十八知樞李福源見相七十四蔡濟恭見相八十趙瑍尹瑞豐壤人七十六禮判李命植楗仲延安人八十五輔國具允鈺聖集綾城人七十三輔國鄭一祥汝成東萊人
國朝人物志v3盂豆醬一杯黃卷菹一椀與族人終歲驩然名曰三豆會天文星算律磨無不精通著禮說四七新編及藿憂錄蔡濟恭誌墓曰抱道莫能致澤一世之不幸著書而亦足嘉惠百世之幸年八十三卒娶正言高靈申必淸女生一男孟休
國朝人物志v3道隱求表準士林取族弟紀東子命烈爲嗣乙卯文科累除校理皆不拜先是己酉魁三日製上命直赴殿試相臣蔡濟恭以不嫺製述持太急請削科上曰尹某之父讀書端潔之士其子無文之譏可異也至是命復科辛巳
國朝人物志v3病隱又號虞夷子又曰橡軒廣州人翼憲公潤德後廣溪君極子壬辰以遺逸薦授監役蔡濟恭薦除翊贊甲午復除衛率丙申爲木川縣監己亥棄歸丙午卒年七十五贈左參贊追封廣成君
國朝人物志v3字翰之號臥隱義城人癸未進士丙午監察丁未魁文科己酉典籍上問嶺南人材誰當爲最蔡濟恭以對上使嶺伯起送十月陞同副承旨上疏伸大義遂竄明川癸亥因邦慶特命放還右相徐龍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