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채팽윤(蔡彭胤)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C44D33DC724B1669X0
자(字)중기(仲耆)
호(號)은와(恩窩)
생년1669(현종 10)
졸년1731(영조 7)
시대조선중기
본관평강(平康)
활동분야문신 > 문신
채시상(蔡時祥)
저서『희암집』

[상세내용]

채팽윤(蔡彭胤)
1669년(현종 10)∼1731년(영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중기(仲耆), 호는 희암(希菴)은와(恩窩). 현감 채시상(蔡時祥)의 아들이다.

1687년(숙종 13) 진사가 되고, 1689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검열을 지낸 뒤 그해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그때 숙종의 명에 의하여 오칠언(五七言)‧십운율시(十韻律詩)를 지어 후일 나라를 빛낼 인재라는 찬사와 함께 사온(賜醞)의 영예를 입었다.

그뒤에도 호당(湖堂)에 선임된 자들과 은대(銀臺)에 나아가 시부를 지어 포상을 받았으며, 그가 금중(禁中)에 노닐 때면 언제나 숙종이 보낸 내시가 뒤따라다니며 그가 읊은 시를 몰래 베껴 바로 숙종에게 올리게 하리만큼 시명(詩名)을 날렸다.

1691년 세자시강원의 벼슬을 거쳐 1694년 정언(正言)에 있으면서 홍문록(弘文錄)에 올랐으나, 이이(李珥)성혼(成渾)의 문묘출향(文廟黜享)을 주장한 이현령(李玄齡)의 상소에 참여하였다 하여 삭제되었다.

그뒤 벼슬에서 물러나 제자들에게 학문을 강론하며 지내다가 1724년 영조의 즉위로 승지에 제수되고, 이듬해 도승지대사간을 거쳐 예문관제학에 임명되어 감시장시관(柑試掌試官)이 되었으나 성균관 유생들이 전날 양현(兩賢)의 모독과 관계되었다 하여 응거(應擧)를 거부, 교체되는 파란을 겪었으며, 1730년(영조 6) 병조참판동지의금부사부제학을 역임하였다.

어려서부터 신동이라 불렸고, 특히 시문과 글씨에 뛰어났다. 해남의 두륜산(頭輪山) 대화사중창비(大花寺重創碑)와 대흥사사적비(大興寺事蹟碑)의 비문을 찬하고 썼다.

저서로는 『희암집』 29권이 있고, 『소대풍요(昭代風謠)』를 편집하였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志
朝鮮金石總覽
朝鮮寺刹史料

[집필자]

오갑균(吳甲均)
대표명채팽윤(蔡彭胤)
성명채팽윤(蔡彭胤)
중기(仲耆)
은와(恩窩), 희암(希菴)

성명 : "채팽윤(蔡彭胤)"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8蔡彭胤
紀年便攷v28蔡彭胤平康人䕃縣監時祥子裕後従孫韓後相婿顯宗己酉生字仲耆號希菴又恩窩肅宗丁卯十九進士己巳登増廣與兄明胤同榜
記聞v1柳世鳴閔昌道李玄祚金文夏蔡彭胤洪塾權重經今上己巳大提學閔黯閔昌道初不抄入提學柳命天以相避不得與抄之意陳達抄入世宗初以特旨賜暇無定員
小華龜鑑v15相臣錄李玄祚字季商大諫閔昌道字士會參議柳世鳴字爾能校理金文夏字聖起校理權重經字道一參判洪塾字承基應敎蔡彭胤字仲耆參判李海朝字子東號鳴岩靑湖一相子監司李肇字子始參判李縡見英宗文衡錄林象德字潤甫又彝好號老村校理
國朝捷錄v01郊壽蕃子蓍國孫字聖起淸風人權重經道一靜默堂瑋子大運孫吏議又號巽齋洪墪子基宇熙子應敎嘔血暴死梧隱南陽人蔡彭胤仲耆時祥子裕後從孫二十一探花郞是年選己酉生己巳文科右閔黯選己巳柳世鳴當在閔昌道次成龍曾孫校理字爾能元
郯述v02蔡彭胤
郯述v02十二月薦別兼李允明閔彦良○九月奉敎洪重鼎檢閱蔡彭胤薦趙九畹吳尙友有物議終不應講
孝章宮日記端午祭初獻官判尹李森 亞獻官夏原君杞終獻官刑曹參判蔡彭胤大祝兵曹正 郞李時恒膳上仝○小茶禮晝茶禮兼行自內行
孝章宮日記行端午祭初獻官咸陵君極 亞獻官錦南君棟終獻官行司直蔡彭胤大祝兵曹佐郞 李日瑞退膳上同○別茶禮朝上食四後設行
靑邱風雲v1晬光曾孫閔昌道字士會煕之子副學柳世鳴成龍曾孫校理金文夏字聖起吏郞權重繼大連孫吏議洪墩慶臣曾孫應敎蔡彭胤字仲耆裕後孫右大提學姜鋧選
東國續修文獻錄v1山人修撰金文夏聖起進士壽蕃子淸風人吏佐權重經道一巽齋璋子安東人吏判洪塾承基梧隱佐郞宇煕子南陽人應敎蔡彭胤仲耆希庵同知時祥子早康人禮參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