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국영(洪國榮)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AD6DC601B1748X0
자(字)덕로(德老)
생년1748(영조 24)
졸년1781(정조 5)
시대조선후기
본관풍산(豊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낙춘(洪樂春)
증조부홍창한(洪昌漢)

[상세내용]

홍국영(洪國榮)
1748년(영조 24)∼1781년(정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덕로(德老).

관찰사 홍창한(洪昌漢)의 손자이며, 판돈녕부사 홍낙춘(洪樂春)의 아들이다. 백부는 홍낙순(洪樂純)이며, 정조의 외조부인 우의정 홍봉한(洪鳳漢)이조판서 홍인한(洪麟漢)은 가까운 집안이었으나 그의 부친은 벼슬을 하지 못하였다.

1771년(영조 4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설서가 되었다. 이때 마침 영조사도세자(思悼世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이고 그 소생인 손자(뒤의 정조)를 후계로 정하였다. 영조 말년 벽파의 횡포 속에서 세손을 보호한 공로로 세손의 두터운 총애와 신임을 얻게 되었다.

이어 사서에 승진하였고, 이때 세손의 승명대리(承命代理)를 반대하던 벽파 정후겸(鄭厚謙)홍인한김구주(金龜柱) 등을 탄핵하여 실각시키고, 1776년 홍상간(洪相簡)홍인한윤양로(尹養老) 등이 세손을 반대, 모해하려는 모역을 적발하여 처형시켰다.

그해 정조가 즉위하자 곧 동부승지로 특진 임명되었고, 날랜 군사를 뽑아 숙위소(宿衛所)를 창설하여 숙위대장을 겸직하여 왕궁호위를 전담하고 도승지에 올랐다. 실권을 잡게 되자 삼사(三司)의 소계(疏啓), 팔로(八路)의 장첩(狀牒), 묘염(廟剡), 전랑(銓郞)의 차제(差除) 등을 모두 총람(總覽)하였고, 또 당시의 삼공육경(三公六卿)까지도 그에게 맹종하게 되었다.

정조의 두터운 신임에 힘입어 자연히 조정의 백관은 물론 8도감사나 수령들도 그의 말이라면 감히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였다. 모든 관리들은 그의 명령을 얻어야 행동하게 되므로 ‘세도(勢道)’라는 말이 생기게 되었다.

1778년(정조 2) 누이동생을 후궁으로 바쳐 원빈(元嬪)으로 삼았으나 20세도 못 되어 1년 만에 병들어 죽자, 정조의 동생인 은언군(恩彦君) 인(䄄)의 아들 담(湛)원빈의 양자로 삼아 완풍군(完豊君)에 봉하고, 다시 상계군(常溪君)으로 개봉하여 왕의 후계자로 삼도록 함으로써 세도정권 유지에 급급하였다.

왕비 효의왕후(孝懿王后)원빈을 살해한 것으로 믿고 왕비를 독살하기 위하여 1780년에 독약을 탄 음식을 왕비전에 넣었다가 발각되어, 집권 4년 만에 가산을 몰수당하고 전리(田里)로 방축되었다. 고향에 내려와 울화를 풀지 못하고 전전긍긍하던 중 병을 얻어 죽었다. 실각할 때까지 도승지이조참의대제학이조참판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일설에는 자진해서 물러가라는 정조의 권고로 일시 은퇴하였다가 삼사의 탄핵으로 형벌을 받았다고도 한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國朝榜目
恩坡遺稿

[집필자]

김양수(金良洙)
대표명홍국영(洪國榮)
국영(國榮)
성명홍국영(洪國榮)
덕로(德老)

명 : "국영(國榮)"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4顧何如而年纔踰立遽許其退國榮之所以自爲計則至矣其於國事何哉殿下何哉臣竊爲國榮慨然而重爲殿下惜之也嗚呼國榮一自保聖躬之安危佩國家之休戚而成命之下喉舌之臣不爲覆逆三司之官不爲爭執大臣呑棗卿宰袖手曾無一人力請收
待闡錄v4陰幸其去而莫之顧歟臣於是誠切慨歎繼以咄咄也從此殿下何所仗焉善類何所恃焉臣謂宋朝故事宜卽援而行之無徒循國榮切已之私云云檢討官朴祐源啓請留國榮擢拜承旨無心故云承旨李秉模疏請留以此疏故後多引入經筵官金鍾厚請留疏
待闡錄v4以咄咄也從此殿下何所仗焉善類何所恃焉臣謂宋朝故事宜卽援而行之無徒循國榮切已之私云云檢討官朴祐源啓請留國榮擢拜承旨無心故云承旨李秉模疏請留以此疏故後多引入經筵官金鍾厚請留疏至曰天下奇男子
待闡錄v4患痘而卒九月淑儀成氏繼卒時有胎候矣成氏卽文孝世子之私親十月王大妃殿下諺敎累千言略曰丙申以後倫綱斁絶如國榮又出敢懷叵測之心主上春秋鼎盛未滿三十而乃敢沮遏儲嗣之大計以常溪君爲完豐稱以假東宮肆發凶論不啻狼藉以聖
待闡錄v4敢沮遏儲嗣之大計以常溪君爲完豐稱以假東宮肆發凶論不啻狼藉以聖上明斷洞燭其罪惡卽爲屛黜禍危之急雖似少緩國榮之凶謀益急夜夜邀致常溪君於渠家廣布貨財締結無識鄙悖之類變在呼吸云云皇天篤祐陟降陰隲歲在壬寅元良誕降千
待闡錄v4礿洪嬪之喪國榮建議封園以湛繼其後爵號完豐義所國籍與洪氏之貫合而名之也且以不可更選嬪御之意累累申白其意欲以完豐定爲國
待闡錄v4吏參兪彦鎬辭弘提疏先請留略曰今日國事是何等時也國榮之擔負殿下之倚毗朝野之恃賴果如何而忽地一疏居然允批實千萬意想之外以國榮休戚與共之身以殿下安危是之眷乃
待闡錄v4而獨未敢知殿下將何以鎭八方之憂疑耶臣於是任也自劃有素而此際此命諒非偶然則假使臣有可以黼黻賁餙之具臣於國榮之辭殿下之許旣知其均爲不可則於其謝事之誥義不當與聞云云
待闡錄v4吏判宋德相疏仍願留國榮略曰臣於治疏將上之際伏聞都承旨臣洪國榮特許休致之請臣聞來愕然失圖誠莫省其所以當此國勢危疑朝象板蕩之日
待闡錄v4上之際伏聞都承旨臣洪國榮特許休致之請臣聞來愕然失圖誠莫省其所以當此國勢危疑朝象板蕩之日爲殿下願死者惟國榮一人在耳殿下之所以依毗國榮國榮之所以事戎殿下顧何如而年纔踰立遽許其退國榮之所以自爲計則至矣其於國事何
待闡錄v4致之請臣聞來愕然失圖誠莫省其所以當此國勢危疑朝象板蕩之日爲殿下願死者惟國榮一人在耳殿下之所以依毗國榮國榮之所以事戎殿下顧何如而年纔踰立遽許其退國榮之所以自爲計則至矣其於國事何哉殿下何哉臣竊爲國榮慨然而重爲
待闡錄v4疑朝象板蕩之日爲殿下願死者惟國榮一人在耳殿下之所以依毗國榮國榮之所以事戎殿下顧何如而年纔踰立遽許其退國榮之所以自爲計則至矣其於國事何哉殿下何哉臣竊爲國榮慨然而重爲殿下惜之也嗚呼國榮一自保聖躬之安危佩國家之
待闡錄v4以依毗國榮國榮之所以事戎殿下顧何如而年纔踰立遽許其退國榮之所以自爲計則至矣其於國事何哉殿下何哉臣竊爲國榮慨然而重爲殿下惜之也嗚呼國榮一自保聖躬之安危佩國家之休戚而成命之下喉舌之臣不爲覆逆三司之官不爲爭執大
待闡錄v4許休致之請臣聞來愕然失圖誠莫省其所以當此國勢危疑朝象板蕩之日爲殿下願死者惟國榮一人在耳殿下之所以依毗國榮國榮之所以事戎殿下顧何如而年纔踰立遽許其退國榮之所以自爲計則至矣其於國事何哉殿下何哉臣竊爲國榮慨然而
政堂故事v10履煥李瀰吏議則因前望李在簡代洪國榮李秉鼎二望吏卽通兪彥鎬李秉模李敬養尹弘烈宋煥億朴宗來彥鎬及弘烈蒙點國榮爲吏議一出行政後復還承旨在簡復爲吏議至都政時遞之傳曰吏議望副提調洪國榮以左承旨兼內局副提調當爲首望而
政堂故事v11濫竿竽禦使朴宗岳改差是日禁府以機張竄宗岳啓傳曰守禦使望正三品中加望以洪國榮爲之末望遂落點而進嘉善是日國榮凡三牌不進傳曰觀今國勢在古亦有此等時乎戚里卽王室之藩屛而今反爲國家之寇賊凶賊輩出國勢孤危凶徒凶黨累倍
玄駒說v2勸上留用主稱千古奇男子焉初洪嬪 之選出於廣儲嗣之計己亥洪嬪 夭後朝議宜更選而國榮 不可所以得罪也或云國榮 以洪嬪 之喪謂出於坤殿敢售逞凶之計進以藥物時坤殿靜處別殿上微察其變卽隨而入問有何物入來坤殿抵言無之
玄駒說v2勉以自愛時坤殿所屬宮女私通其家急具素服而各司亦捉囚笠工將以造白笠城內外遑遑盖已有不諱之報故至於如此方國榮 之進洪嬪 也族朴校理 在源疏論國榮 大意以爲坤殿之春秋鼎盛儲嗣顒望日久苟有疾恙宜進醫藥之方國榮 大
玄駒說v2服而各司亦捉囚笠工將以造白笠城內外遑遑盖已有不諱之報故至於如此方國榮 之進洪嬪 也族朴校理 在源疏論國榮 大意以爲坤殿之春秋鼎盛儲嗣顒望日久苟有疾恙宜進醫藥之方國榮 大怒使某官金持默卽坤殿叔父疏卞其儲嗣之
玄駒說v2此方國榮 之進洪嬪 也族朴校理 在源疏論國榮 大意以爲坤殿之春秋鼎盛儲嗣顒望日久苟有疾恙宜進醫藥之方國榮 大怒使某官金持默卽坤殿叔父疏卞其儲嗣之無望禍將不測仍終身轗軻而卒後贈副學國榮 嘗上疏有曰殿下之內治
玄駒說v2久苟有疾恙宜進醫藥之方國榮 大怒使某官金持默卽坤殿叔父疏卞其儲嗣之無望禍將不測仍終身轗軻而卒後贈副學國榮 嘗上疏有曰殿下之內治罔涯云云國榮 雖退而一邊之人或當疑難之事則必遣人問計國榮 輒大飮以臥以扇覆面小
玄駒說v2某官金持默卽坤殿叔父疏卞其儲嗣之無望禍將不測仍終身轗軻而卒後贈副學國榮 嘗上疏有曰殿下之內治罔涯云云國榮 雖退而一邊之人或當疑難之事則必遣人問計國榮 輒大飮以臥以扇覆面小頃蹶然起而答無不鑿鑿中窾或問某年義
玄駒說v2仍終身轗軻而卒後贈副學國榮 嘗上疏有曰殿下之內治罔涯云云國榮 雖退而一邊之人或當疑難之事則必遣人問計國榮 輒大飮以臥以扇覆面小頃蹶然起而答無不鑿鑿中窾或問某年義理終將如何曰從今十年僅可防塞以後有不可知云云
國朝捷錄v01國榮
親鞠日記v12有從後者勿慮善爲之爲當云矣罪人興文刑問一次因傳敎停刑下幕濟恭曰相範相吉緊出逆招當爲發捕矣上曰發捕可也國榮曰逆招中旣有扈衛軍官同謀之說當此倉卒之際慮無所不到入直扈衛軍官結縛以待相範家文書入來之後以爲憑覈之地
親鞠日記v12卽行刑而今則救療甚急姑下之宜矣上曰寧可失刑而豈可不捧渠手之侤音卽爲行刑乎姑爲下府而使救療官實救療可也國榮曰啓能旣已緊急云必有失刑之慮追施之律終不得用之於啓能則臣子之心益不勝憤惋矣尙喆等曰草結案俄已書出而只
國朝人物志v3欲劾權臣洪麟漢有泄之者遂罷歸搆亭於公州之龜巖丙申英廟昇遐正廟卽阼倖臣洪國榮用事弘稷無復有世念往咸平墓下乙巳以年八十陞崇政拜知中樞府事梅山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07-01-10'왕비 순명왕후가 원빈을 살해한 것으로 믿고..'라는 구절에서 순명왕후를 효의왕후고 고침. 정조의 왕비는 순명왕후가 아닌 효의왕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