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채제공(蔡濟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C44C81CACF5B1720X0
자(字)백규(伯規)
호(號)번암(樊巖)
호(號)번옹(樊翁)
시호(諡號)문숙(文肅)
생년1720(숙종 46)
졸년1799(정조 23)
시대조선후기
본관평강(平康)
활동분야문신 > 문신
채응일(蔡膺一)
출생지홍주
묘소경기도 용인
저서『번암집』

[상세내용]

채제공(蔡濟恭)
1720년(숙종 46)∼1799년(정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번옹(樊翁).

효종이조판서대제학을 지낸 채유후(蔡裕後)의 방계 5대손으로, 지중추부사 채응일(蔡膺一)의 아들이다. 홍주 출생.
1. 가계와 관력
1735년(영조 11) 15세로 향시에 급제한 뒤 1743년 문과정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에 임명되면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1748년 한림회권(翰林會圈)때에 영조의 탕평을 표방한 특명으로 선발되어 청요직인 예문관사관직을 거쳤다.

1751년에는 중인(中人)의 분산(墳山)을 탈취하였다 하여 1년 이상 삼척에 유배되었다.

1753년에 충청도암행어사로 균역법의 실시과정상의 폐단과 변방대비 문제를 진언하였다.

1755년 나주괘서사건이 일어나자 문사랑(問事郞)으로 활약하였고, 그 공로로 승정원동부승지가 제수되었다. 이후 이천도호부사대사간을 거쳤고, 『열성지장(列聖誌狀)』 편찬에 참여한 공로로 1758년에 도승지로 임명되었다.
2. 정치편력
이해에 사도세자영조의 사이가 악화되어 세자폐위의 비망기가 내려지자 죽음을 무릅쓰고 막아 이를 철회시켰는데, 이 사건으로 하여 후일 영조채제공을 지적하여 “진실로 나의 사심없는 신하이고 너의 충신이다.”라고 정조에게 말하였다 한다.

이후 대사간대사헌경기감사를 역임하던 중 1762년 모친상으로 관직을 물러나자, 이해 윤5월에 사도세자의 죽음이 있었다.

복상 후 1764년부터 개성유수예문관제학비변사당상을 거쳐 안악군수로 재임중 부친상을 당하여 다시 관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1767년부터 홍문관제학함경도관찰사한성판윤을, 1770년부터는 병조예조호조판서를 역임하고, 1772년 이후 세손우빈객공시당상(貢市堂上)이 되었다.

1775년 평안도관찰사로 재임시에 서류통청(庶類通淸)은 국법의 문제가 아니므로 풍속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한 상소로 인하여 서얼출신자에게 구타당하는 사건이 생기기도 하였다.

이후 영조의 깊은 신임으로 약방제조로 병간호를 담당하기도 하였고, 정조가 왕세손으로 대리청정한 뒤에는 호조판서좌참찬으로 활약하였다.

1776년 3월에 영조가 죽자 국장도감제조에 임명되어 행장‧시장‧어제‧어필의 편찬작업에 참여하였다.

이어 사도세자 죽음에 대한 책임자들을 처단할 때 형조판서 겸 판의금부사로서 옥사를 처결하였고, 정조특명으로 사노비(寺奴婢)의 폐를 교정하는 절목을 마련함으로써 정1품에 이르렀다.

이 사노비절목은 점차로 그들의 수효를 감소시킴으로써 1801년(순조 1)의 사노비 혁파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후 규장각제학예문관제학한성판윤강화유수를 역임하였다.

1780년(정조 4) 홍국영(洪國榮)의 세도가 무너지고 소론계 공신인 서명선(徐命善)영의정으로 하는 정권이 들어서자, 홍국영과의 친분, 사도세자에 대한 신원의 과격한 주장으로 정조 원년에 역적으로 처단된 인물들과의 연관, 그들과 동일한 흉언을 하였다는 죄목으로 집중공격을 받아 이후 8년간 서울근교 명덕산에서 은거생활을 하였다.

1788년 국왕의 친필로 우의정에 특채되었고, 이때 황극(皇極)을 세울 것, 당론을 없앨 것, 의리를 밝힐 것, 탐관오리를 징벌할 것, 백성의 어려움을 근심할 것, 권력기강을 바로잡을 것 등의 6조를 진언하였다.

이후 1790년 좌의정으로서 행정수반이 되었고, 3년간에 걸치는 독상(獨相)으로서 정사를 오로지 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이조전랑의 자대제(自代制) 및 당하관 통청권의 혁파, 신해통공정책 등을 실시하였으며, 반대파의 역공으로 진산사건(珍山事件)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1793년에 잠깐 영의정에 임명되었을 때는, 전일의 영남만인소에서와 같이 사도세자를 위한 단호한 토역(討逆)을 주장하였으므로, 이후 노론계의 집요한 공격이 야기되기도 하였다.

그뒤는 주로 수원성역을 담당하다가 1798년 사직하였다.
3. 학문적 견해와 경제 사회관
문장은 소(疏)와 차(箚)에 능하였고, 시풍은 위로는 이민구(李敏求)허목(許穆), 아래로는 정약용(丁若鏞)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또한, 학문의 적통(嫡統)은 동방의 주자인 이황(李滉)에게 시작하여 정구(鄭逑)허목을 거쳐 이익(李瀷)으로 이어진다고 하면서 정통 성리학의 견해를 유지하였다. 그래서 양명학‧불교‧도교‧민간신앙 등을 이단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이들 사상도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측면에서 선용할 수 있다면 포용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천주교〔西學〕에 대해서도 패륜과 신이적 요소를 지닌 불교의 별파로서, 이적(夷狄)인 청나라 문화의 말단적인 영향이라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서학을 믿는 자에 대하여 역적으로 다스리라는 요구를 당론이라 배척하고, 정조의 뜻을 받들어 척사(斥邪)를 내세우면서도 교화우선원칙을 적용하려 하였다.

자신의 시대를 경장이 필요한 시기로 생각하였으나, 제도개혁보다는 운영의 개선을 강조하여, 중간수탈제거, 부가세 폐단의 제거들을 추진하고 간리(奸吏)의 작폐를 없앰으로써 국가재정 부족을 타개하는 것을 급선무로 생각하였다.

상업활동이 국가재정에 필요함을 인식하였으나 전통적인 농업우선정책을 지켰다.

또한, 사회의 안정을 위해서는 사족(士族)우위의 신분질서와 적서(嫡庶)의 구별을 엄격한 의리로서 지켜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영조년간 청남(南人淸流)의 지도자인 오광운(吳光運)강박(姜樸)에게서 학문을 배웠고, 채팽윤(蔡彭胤)이덕주(李德胄)에게서 시를 배웠다.

친우로는 정범조(丁範祖)이헌경(李獻慶)신광수(申光洙)정재원(丁載遠)안정복(安鼎福) 등이 있고, 최헌중(崔獻中)이승훈(李承薰)이가환(李家煥)정약용 등이 그의 정치적 계자가 된다.
4. 사후 상황
순조 때 유태좌(柳台佐)청양(靑陽)에 그의 영각(影閣)을 세웠고, 1965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홍가신(洪可臣)허목채제공을 모시는 도강영당(道江影堂)이 세워졌다.

저서로는 『번암집』 59권이 전하는데, 권두에는 정조의 친필어찰 및 교지를 수록하였다. 그는 『경종내수실록』『영조실록』, 『국조보감』 편찬작업에도 참여하였다.

1799년 1월 18일에 사망, 3월 26일에 사림장(士林葬)으로 장례가 거행되었고, 묘는 경기도 용인에 있다.

1801년 황사영백서사건(黃嗣永帛書事件)으로 추탈관작되었다가 1823년 영남만인소로 관작이 회복되었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純祖實錄
樊巖集
與猶堂全書
大東尙賢錄(李鍾河, 景仁文化社, 1974)
樊巖蔡濟恭의 西學觀硏究(趙珖, 史叢 17‧18合輯, 1973)
蔡濟恭의 經濟政策에 관한 考察(金東哲, 釜大史學 4, 1980)
朝鮮後期漢文學思潮史硏究(鄭玉子, 韓國史學 5, 1983)
蕩平論과 政局의 變化(朴光用, 韓國史論 10, 1984)

[집필자]

박광용(朴光用)

명 : "제공(濟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3役上有下詢濟恭仰奏之際泣不成聲上亦涕泣良久曰卿之心予知之久矣予所不知者卿有獨知者則卿於他日爲世孫言之濟恭涕泣承敎而出
待闡錄v3蔡濟恭以宰臣前銜差享役上有下詢濟恭仰奏之際泣不成聲上亦涕泣良久曰卿之心予知之久矣予所不知者卿有獨知者則卿於他日爲世孫言之濟恭涕泣承敎而
待闡錄v3定處矣洪亦不可殺金亦不可殺今日時勢殺洪易斥金難臣之所憂慮不弛者也世孫敎曰卿言是矣卿須往見奉朝賀商議也濟恭曰臣不敢奉承臣亦攻洪而洪不諒臣心矣攻則不得不然而殺則萬萬不可耳仍言故相臣李宗城若在必無罔極之變而母論
待闡錄v3筵退出閤門濟恭涕泣不自已浩修笑而言曰大監何泣之爲耶其將爲今日云云未畢說濟恭回首言曰此豈臣子笑語時耶令監所謂其將爲今日云者此豈頂天覆地者所敢萠心而發口者耶浩修大恐曰其將爲今日何
待闡錄v3筵退出閤門濟恭涕泣不自已浩修笑而言曰大監何泣之爲耶其將爲今日云云未畢說濟恭回首言曰此豈臣子笑語時耶令監所謂其將爲今
待闡錄v3豈臣子笑語時耶令監所謂其將爲今日云者此豈頂天覆地者所敢萠心而發口者耶浩修大恐曰其將爲今日何以報效云耳濟恭瞋目不答浩修退語曰濟恭欲殺我欲殺我云耳
待闡錄v3其將爲今日云者此豈頂天覆地者所敢萠心而發口者耶浩修大恐曰其將爲今日何以報效云耳濟恭瞋目不答浩修退語曰濟恭欲殺我欲殺我云耳
事變日記v13上曰蔡濟恭進前白之可也濟恭曰七月二十八日罷漏時臣寢睡矇曨之中大門外有呼別監之聲臣奴來言倉洞洪承旨宅傳喝來矣其人云今夜我爲加資方
事變日記v13掌施罰於被抄儒生而罰目多碍於蔡濟恭蔡濟恭以此欲上書而不果云矣矣身與蔡濟恭情分齟齬不知淺深豈可臆度乎然濟恭則心以爲殊常矣以李蔡濟恭二人輕重而言則如是而其實則不知誰某矣權抗之爲此與否矣身未能臆度而豈有疑心乎矣
事變日記v13曰權書房誰也彦儒曰之婿權邵乃抗之子也上曰所謂權書房殊常矣尙魯曰經先言此果殊常矣上曰善興一梅竝就捕可也濟恭進曰臣之奴子亦不可不一番下問矣上曰誠然矣大臣進來蔡濟恭自請下問其奴誠然矣尙魯曰欲知其肯綮而自請其捉奴
事變日記v13之妹夫而邵爲人輕妄常侮矣身故常善待而亦無生隙之事矣昨冬學製後邵有謀陷蔡濟恭之說云矣身亦以此事見慘辱矣濟恭爲學製時矣身與邵同見而見學製翌日見黃柑見陞補計畫出來後邵請矣身故往見則邵曰濟恭學製被抄人被罰之事汝知
事變日記v13矣身與宋鍈矣因與邵面質令是白乎矣元夏向邵曰蔡濟恭學製後數日汝於夕間燃燈見我於汝祖父所在房頭小房豈不曰濟恭爛熳行私故被抄者被罰云乎邵曰罰目吾何當嘗語汝乎元夏曰汝豈不語我乎語我以罰目時又豈不曰此言勿漏云云乎邵
事變日記v13知之者何故耶邵曰罰未出之前吾何以知之乎吾與汝兩人同坐爲之之言汝雖云爲之而吾則初不爲之矣元夏曰汝豈不曰濟恭見吾所作納初以魁選以其行私故終未參榜云乎邵曰吾非病風喪性者豈爲此等說乎元夏曰汝雖往九泉所爲之說何不直
事變日記v13云矣身亦以此事見慘辱矣濟恭爲學製時矣身與邵同見而見學製翌日見黃柑見陞補計畫出來後邵請矣身故往見則邵曰濟恭學製被抄人被罰之事汝知之乎因誦罰目曰汝之不見抄幸矣若被抄則亦不免罰矣邵之平日憎嫉濟恭之狀矣身知之矣其
事變日記v13矣身故往見則邵曰濟恭學製被抄人被罰之事汝知之乎因誦罰目曰汝之不見抄幸矣若被抄則亦不免罰矣邵之平日憎嫉濟恭之狀矣身知之矣其所憎嫉之由雖不與矣身言之而嘗今當對矣身言濟恭約抄學製而不爲之矣邵雖多口分明爲之之說豈
事變日記v13不見抄幸矣若被抄則亦不免罰矣邵之平日憎嫉濟恭之狀矣身知之矣其所憎嫉之由雖不與矣身言之而嘗今當對矣身言濟恭約抄學製而不爲之矣邵雖多口分明爲之之說豈曰不爲之云乎權邵甲戌年與諸同甲結稧時慘辱矣身與宋鍈矣因與邵面
事變日記v40盤問可也耆傳呼曰各別嚴杖上曰同義禁申飭執杖邏卒邏卒臂力如疲則以刑曹牌頭使令使之擧行而罪人連爲訊問可也濟恭承命問于九宗曰莫重陵寢爾有何不臣之心而抱此凶肚乎上曰右相亦問罪人可也濟恭宗岳等又問於九宗曰爾亦有一分
事變日記v40令使之擧行而罪人連爲訊問可也濟恭承命問于九宗曰莫重陵寢爾有何不臣之心而抱此凶肚乎上曰右相亦問罪人可也濟恭宗岳等又問於九宗曰爾亦有一分人心而有此窮凶絶悖之凶言爾之不下馬一節出於至尊處不臣之心則其所不臣之心委
玄駒說v2刑曹判書蔡濟恭都承旨徐浩修 入侍時上曰卿聞丁丑十二月二十五日恭默閣入時筵話乎濟恭 對曰臣於丁丑待罪伊川故未得聞之而戊寅年則臣以知申入侍時尙魯 每於筵奏附耳密達故非但承旨之不得聞之史
疏箚錄v5國是大定則如此凶蘖巨魁不可不明正其罪快施當律伏願殿下亟從臺臣之請樂任爲先設鞫得情特加刑章以洩神人之憤濟恭宗岳等施以追律宜矣又有賊邊之血黨右袒甘心禍國而尙漏邦憲者卽鄭民始李命植是已民始本以妖邪之性濟以憯毒之
疏箚錄v6仇君子而黨小人互爲聲緩壞人心術便成難醫世道陷溺莫可矯捄凡於丙丁以來逆種未敢售之凶謀藉此兩凶而盡發則彼濟恭不過爲外緩之凶醜耳幸賴我先大王炳幾燭微筵諭齊綸牗頑覺迷自著凶逆之斷案以扶斁絶之倫綱而至于昨年五晦之末
疏箚錄v36汚衊之計也設使濟恭尙今無故亦不可以一人之私憾報怨於公朝況濟恭名在丹書乎況初非與濟恭構怨者乎渠輩若欲爲濟恭報怨則當斥前日之許多攻蔡者而今乃蔓及於如臣之只攻邪不攻蔡之人者其非爲邪賊報仇乎臣性本柔懦平生不欲傷人
疏箚錄v36陳只以過去一句語若是其隱映耶亦無言可執姑以是汚衊之計也設使濟恭尙今無故亦不可以一人之私憾報怨於公朝況濟恭名在丹書乎況初非與濟恭構怨者乎渠輩若欲爲濟恭報怨則當斥前日之許多攻蔡者而今乃蔓及於如臣之只攻邪不攻蔡
疏箚錄v36隱映耶亦無言可執姑以是汚衊之計也設使濟恭尙今無故亦不可以一人之私憾報怨於公朝況濟恭名在丹書乎況初非與濟恭構怨者乎渠輩若欲爲濟恭報怨則當斥前日之許多攻蔡者而今乃蔓及於如臣之只攻邪不攻蔡之人者其非爲邪賊報仇乎
疏箚錄v36誅卽聖鑑之所洞燭此豈攻邪之人趨附權勢辦此大獄者哉況臣本以寒素之蹤兼之迃拙之性深居簡出交游絶少雖於當時濟恭臭味之相近者亦未嘗隨衆趨附則況於聲氣楚越面目不識之諸賊亦何由趨附乎其中瀅修尤有世所共知之嫌而亦謂之顯
疏箚錄v36然攻邪者初豈有意於攻蔡哉特以其得君如彼其專也行乎國政如彼其失也而不能嚴治邪賊斥絶醜類故攻邪者皆懷不於濟恭卽事勢之所必然也果使濟恭眞能識先王至精至微之義卽有護邪之罪則只恐其護邪顧何傷於義理乎如臣之愚自始至終
疏箚錄v36特以其得君如彼其專也行乎國政如彼其失也而不能嚴治邪賊斥絶醜類故攻邪者皆懷不於濟恭卽事勢之所必然也果使濟恭眞能識先王至精至微之義卽有護邪之罪則只恐其護邪顧何傷於義理乎如臣之愚自始至終只是攻邪而已未嘗一言攻蔡
疏箚錄v36乎又若有眞贓實跡則此是何等罪案而不爲指的枚陳只以過去一句語若是其隱映耶亦無言可執姑以是汚衊之計也設使濟恭尙今無故亦不可以一人之私憾報怨於公朝況濟恭名在丹書乎況初非與濟恭構怨者乎渠輩若欲爲濟恭報怨則當斥前日
親鞠日記v12愛曰其日豈不以其事言之乎問曰汝終不直告月惠旣已分明言於汝矣身之意納供則汝焉敢隱諱乎供曰矣身實不知之矣濟恭讀繼昌月惠秀愛等供辭訖大臣諸臣無不骨顫膽掉面面憤涕曰世間豈有如此凶惡惡之亂逆乎
親鞠日記v12三常佩四號牌云其陰凶悖惡之狀從可知矣命善曰究其形跡萬萬陰祕矣上曰罪人田興文上之興文上之卽爲施威後上命濟恭使之解蒙頭上曰罪人之狀貌何如命善曰極其凶毒不忍正視矣上曰蒙頭復蒙之結縛甚固可也上曰去月二十八日夜屋上
親鞠日記v12幾名而洪哥自水門桶入來履與襪俱界濕謂矣身曰方有從後者勿慮善爲之爲當云矣罪人興文刑問一次因傳敎停刑下幕濟恭曰相範相吉緊出逆招當爲發捕矣上曰發捕可也國榮曰逆招中旣有扈衛軍官同謀之說當此倉卒之際慮無所不到入直扈
親鞠日記v12副司果金復正兵曹佐郞柳誼刑房都事李基成林最遠文書色都事張鉉國洪彦燮以此次進伏訖缺▣......▣尙喆存謙命善濟恭等進伏
重訂南漢志v6次西氷庫津頭上游水暴漲下汎濫船艙至曰晏不得渡諸臣或請回鑾或請移蹕江榭上皆不答顧右相蔡濟恭曰卿何無一言濟恭厲聲曰大小臣工無一人挺身出謀徒事紛聒日將至晡野次停蹕此何國體請督有司之臣及道臣將臣修治慢者軍津從事上
韓史綮v2臣不可不禮遂流文源于肅川尋赦之○以蔡濟恭爲右議政初英祖不納濟恭哭諫而殺世子然心知其忠義以兵曹判書召之濟恭不應王旣追誅金尙魯召濟恭語之曰昔先王執予手詔之曰能周全予與前父子者惟蔡濟恭一人誠予之純臣爾之恩人也予
韓史綮v2尋赦之○以蔡濟恭爲右議政初英祖不納濟恭哭諫而殺世子然心知其忠義以兵曹判書召之濟恭不應王旣追誅金尙魯召濟恭語之曰昔先王執予手詔之曰能周全予與前父子者惟蔡濟恭一人誠予之純臣爾之恩人也予豈敢忘卿遂授以官至是而大
韓史綮v2陽郡□聞之又□其悖王以文源所□□於忠□而大臣不可不禮遂流文源于肅川尋赦之○以蔡濟恭爲右議政初英祖不納濟恭哭諫而殺世子然心知其忠義以兵曹判書召之濟恭不應王旣追誅金尙魯召濟恭語之曰昔先王執予手詔之曰能周全予與
國朝人物志v3智觸物疾惡頗嚴金尙魯洪啓禧等心懷疑懼陰爲動搖計搆煽內外上下備忘記諸承旨惶恐失措翌曉濟恭入對曰此傳敎非臣子所忍承聞者臣有死已決不敢頒矣上震怒而起濟恭遽前牽裾曰冒死還納矣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