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정암(李廷馣)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815C554B1541X0
자(字)중훈(仲薰)
호(號)퇴우당(退憂堂)
호(號)월당(月塘)
시호(諡號)충목(忠穆)
생년1541(중종 36)
졸년1600(선조 33)
시대조선중기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탕(李宕)
출신지서울
저서『상례초(喪禮抄)』
저서『독역고(讀易攷)』
저서『왜변록(倭變錄)』
저서『서정일록(西征日錄)』
저서『사류재집』
공신호선무공신(宣武功臣)

[상세내용]

이정암(李廷馣)
1541년(중종 36)∼1600년(선조 3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훈(仲薰), 호는 사류재(四留齋)퇴우당(退憂堂)월당(月塘). 서울 출신.

사직서령(社稷署令) 이탕(李宕)의 아들이며, 이조참판 이정형(李廷馨)의 형이다.

1558년(명종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6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처음 승문원에 들어가 권지부정자를 역임하고 예문관검열로 사관을 겸하였다.

1565년 승정원주서를 거쳐 1567년(선조 즉위)에는 성균관전적공조좌랑예조좌랑병조좌랑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이듬해 외직인 전라도도사를 역임하면서 치적을 올렸고, 이어 중앙으로 돌아와 형조좌랑을 거쳐 다시 외직인 함경도도사로 나아갔다.

1569년 경기도도사로 옮겼다가 경직인 춘추관기주관이 되었고, 이듬해에는 형조좌랑에 재임용되어 지제교를 겸하였으며, 다시 병조정랑으로 전직하여 암행어사의 임무를 띠고 강원도에 파견되어 재해지역을 살피고 돌아와 정언을 역임하였다.

1571년 예조정랑사헌부지평으로 춘추관의 직책을 겸대하고 『명종실록』을 편찬하는 데 참여하였으며, 경기도경차관(京畿道敬差官)으로 재해지역을 살피고 돌아왔다.

1572년 성균관사예에 임명되어 춘당대친시(春塘臺親試)에 참시관(參試官)으로 입시하였고, 그해 여름 연안부사가 되어 군적(軍籍)을 다시 정리하였으며, 선정을 베풀어 부민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1576년 장단부사를 거쳐 1578년 제용감정(濟用監正) 등을 역임하였다. 다음해에 양주목사로 나가 도봉서원(道峰書院)과 향교를 중수하고, 전안(田案)을 개혁, 대동법을 실시하여 번잡한 역(役)을 없애는 등 크게 치적을 쌓았다.

1580년 평산부사를 거쳐 1584년 장령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그뒤 1587년 동래부사가 되어 내왕하는 일본인들의 폐단을 근절시켰다.

1591년 첨지중추부사장례원판결사승지공조참의병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날 때 이조참의로 있었는데, 선조평안도로 피란하자 뒤늦게 호종(扈從)하였으나, 이미 체직되어 소임이 없었다. 아우인 개성유수 이정형과 함께 개성을 수비하려 하였으나 임진강의 방어선이 무너져 실패하고 말았다.

그뒤 황해도로 들어가 초토사(招討使)가 되어 의병을 모집하여 연안성(延安城)을 지킬 것을 결심하고 준비작업을 서두르던 중, 도내에 주둔한 왜장 구로다(黑田長政)가 5,000∼6,000명의 장졸을 이끌고 침입하여, 주야 4일간에 걸친 치열한 싸움 끝에 승리하여 그 공으로 황해도관찰사 겸 순찰사가 되었다.

1593년 병조참판전주부윤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1596년에는 충청도관찰사가 되어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다.

그러나 죄수를 임의로 처벌하였다는 누명을 쓰고 파직되었다가 다시 지중추부사가 되고, 황해도관찰사 겸 도순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해서초토사(海西招討使)해주의 수양산성(首陽山城)을 지키기도 하였다. 난이 끝나자 풍덕에 은퇴하여 시문으로 소일하다가 몇 년 뒤에 죽었다.

1604년 연안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월천부원군(月川府院君)에 추봉,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성혼(成渾)이제신(李濟臣) 등과 교유하였다. 연안 현충사(顯忠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상례초(喪禮抄)』『독역고(讀易攷)』『왜변록(倭變錄)』『서정일록(西征日錄)』『사류재집』 등이 있다. 시호는 충목(忠穆)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宋子大全
燃藜室記述
壬亂海西義兵에 대한 一考(李章熙, 史叢 14, 1969)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명 : "정암(廷馣)"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3賊將甲裵豊臣長政等以延安城守不去悉發海州平山諸屯兵大擧而來城中色沮多招討非受命守城宜避此銳鋒以圖後擧廷馣泣諭之曰余以經幄老臣不能執羈勒從行今承王世子招討之命亟宜守一障效死安忍苟活且誘民而入城賊至而棄之吾豈
國朝編年v14廷馣積草坐其中曰城陷則焚之無令我汚於賊鋒臣以爲今世有如許之人臣每以伏節死義許之及其進對之日左右有深論廷馣之罪者臣深惜其人恐得重罪初陳廷馣可罪之罪又論廷馣忘身憂國之心雖令書狀極爲可駭而其誠可取且非不知言發得
紀年便攷v4子達衷見下後孫廷馣廷馨見下
紀年便攷v17李廷馨廷馣弟尹鉉婿明宗己酉生字德薰號知足堂又東閣又退憂明宗丁卯十九進士宣祖戊辰二十登别試歴三司壬辰以松留不能全
紀年便攷v18爰宅于延安子孫仍居焉世綱子明宗丙寅生字景受宣祖癸未十八登武科丙戌重試厯三邑家居壬辰倭變募勇士赴李廷馣廷馣拜海西招討使應祺拜白川郡守單刀大喝無不立斃倭酋曰孤城有人歛衆而退来獻一樻左右喜欲開應琪曰賊謀難測命鑿
國朝捷錄v01始興廷馣孫武承旨
郯述v02甲午廷馣弟丙申拜戶議
郯述v03妃興承旨廷馣孫武
國朝人物志v2戰又不能守而只禁中國之和似是失策上不答時全羅監司李廷馣啓請許和請許緩兵之計左右爭陳廷馣可斬渾素知廷馣有大節恐以此得罪啓曰此人妄發固有罪然其心則至誠憂國敢言不諱未可深罪上
國朝人物志v2所屬聞參議李廷馣方在平山謂衆曰彼雖儒者威望素著且與我有舊其必從我也馳往見之喩以同死之意廷馣懽然相從至城光庭與諸將士推廷馣登壇自署幕府事皆決焉居數日倭酋長政攻陷海州合江
國朝人物志v2難守護母夫人過延安延安人喜迎曰是我舊使君也倭人海西遍誘曰迎者賞逃者斬以是吏民牛酒市歸廷馣遂傳檄遠近招集義旅金德誠趙廷堅等來會遂得數千建大將旗書奮忠討賊四字倭乘未備來攻煙焰漲天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