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인조(仁祖)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8C870FFFFB1595X0
성명이종(李倧)
자(字)화백(和伯)
호(號)송창(松窓)
생년1595(선조 28)
졸년1649(인조 27)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
정원군(定遠君)
인헌왕후(仁獻王后)
인열왕후(仁烈王后)
장렬왕후(莊烈王后)
처부한준겸(韓浚謙)
처부조창원(趙昌遠)
외조부구사맹(具思孟)
묘소파주군 탄현면 갈현리

[상세내용]

인조(仁祖)
1595년(선조 28)∼1649년(인조 27). 조선 제16대왕. 재위 1623년∼1649년.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종(李倧). 자는 화백(和伯), 호는 송창(松窓).

선조의 손자로, 정원군(定遠君: 추존왕 元宗)의 아들이며, 모친은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딸인 인헌왕후(仁獻王后)이다. 비(妃)는 영돈녕부사 한준겸(韓浚謙)의 딸인 인열왕후(仁烈王后)이며, 계비(繼妃)는 영돈녕부사 조창원(趙昌遠)의 딸인 장렬왕후(莊烈王后)이다.
1. 가계
1607년(선조 40)능양도정(綾陽都正)에 봉해지고, 이어 능양군에 진봉(進封)되었다. 광해군 때에는 대북이 정권을 잡아 왕으로 하여금 영창대군(永昌大君) 의(㼁)를 죽이고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하게 하였으며, 또 여러 차례의 옥사를 일으켜 정치가 혼란하여지자, 1623년 서인 김류(金瑬)이귀(李貴)이괄(李适) 등이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을 폐출하고, 서궁(西宮)에 유폐되어 있던 인목대비의 윤허를 받아 왕위에 추대되어 경운궁에서 즉위하였다.
2. 즉위 후의 치적
즉위 후 광해군 때 희생된 영창대군임해군(臨海君) 진(珒),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 등의 관직을 복관시켰다.

또한, 반정공신들에 대한 논공행상에 있어서는 도감대장(都監大將) 이수일(李守一)을 내응(內應)의 공이 있다 하여 공조판서로 임명한 데 비하여, 이괄은 2등에 녹공하여 한성판윤, 이어 도원수 장만(張晩) 휘하의 부원수 겸 평안병사로 임명하자 이괄은 이에 불만을 품고 1624년(인조 2) 난을 일으켰다.

이괄의 군세가 자못 강하여 서울이 점령되자, 인조공주까지 남천(南遷)하였다가, 도원수 장만이 이끄는 관군에 의하여 격파된 뒤 환도하였다.

광해군 때에는 명나라금나라와의 관계를 병존시키는 중립정책을 써왔으나,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은 뒤 금나라에 대한 태도가 일변하여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으로 바꾸었다.
3.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이에 1627년 후금이 군사 3만여명으로 침략하여 의주를 함락시키고, 파죽지세로 평산(平山)까지 쳐들어오자 조정은 강화도로 천도하였으며, 최명길(崔鳴吉)의 강화주장을 받아들여 양국의 대표가 회맹(會盟), 형제의 의를 약속하는 정묘화약을 맺었다.

1636년 12월 형제의 관계를 군신의 관계로 바꾸자는 청나라의 제의를 거부하자, 10만여군으로 다시 침입하였다. 혹한 속에 질풍같이 쳐들어온 청군을 막지 못하고, 봉림대군(鳳林大君)인평대군(麟坪大君)과 비빈(妃嬪)을 강도(江都)로 보낸 뒤 길이 막혀 남한산성으로 물러가 항거하였다.

그때 척화파‧주화파간의 치열한 논쟁이 전개되었으나, 주화파의 뜻에 따라 성을 나와 삼전도(三田渡: 지금의 松坡)에서 군신의 예를 맺고, 소현세자(昭顯世子)봉림대군을 볼모로 하자는 청나라측의 요구를 수락하고 말았다. 이에 따라 청나라 태종은 두 왕자와 척화론자인 삼학사(三學士), 즉 홍익한(洪翼漢)윤집(尹集)오달제(吳達濟)를 데리고 철병하고 조정은 환도하였다. 이로 인하여 임진왜란 이후 다소 수습된 국가기강과 경제상태가 악화되어, 당시의 사회상은 비참하기 짝이 없었다.
4. 기타의 치적
그리고 낙당(洛黨)의 영수 김자점(金自點)이 척신으로 집권하여 횡포가 자심하였다.

1645년 오랜 볼모의 생활에서 벗어난 소현세자북경에서 돌아와 얼마 안 되어 의문의 변사를 당한 뒤, 소현세자의 아들을 후계자로 하지 않고 2남인 봉림대군을 세자로 세움으로써 현종숙종 때 예론(禮論)의 불씨가 되기도 하였다.

이듬해에는 소현세자의 빈(嬪) 강씨(姜氏)를 사사시켰다.

1624년 총융청(摠戎廳)수어청(守禦廳) 등 새로이 군영을 설치하여 북방(北防)과 해방(海防)에 유의하였다. 광해군경기도에 시험적으로 실시하였던 요역(徭役)과 공물의 미납화(米納化), 즉 대동법을 1623년에 이르러 강원도에 확대, 실시하였으며, 점차 지역을 넓혀나갔다.

또한, 1634년 삼남(三南)에 양전(量田)을 실시하여, 전결(田結)수를 증가시켜 세원(稅源)을 확보하고, 세종 때 제정되었던 연등구분의 전세법(田稅法)을 폐지하여 전세의 법적인 감하(減下)를 주지(主旨)로 하는 영정법(永定法)과 군역(軍役)의 세납화(稅納化)를 실시하였다.

1633년 상평청을 설치하여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고, 청인과의 민간무역을 공인하여 북관(北關)회령 및 경원개시(慶源開市), 압록강의 중강개시(中江開市)가 행하여졌는데, 개시에 있어서는 상고(商賈)의 수, 개시기간, 유왕일수(留往日數), 매매총수(買賣總數) 등을 미리 결정하였다.

또한, 1641년에는 군량조달을 위하여 납속사목(納粟事目)을 발표하고, 납속자에 대한 서얼허통(庶孽許通) 및 속죄(贖罪)를 실시하였다.

1628년 벨테브레(Weltevree)가 표착하여왔는데, 그는 이름을 박연(朴淵, 혹은 朴燕)으로 고치고 병자호란 때 훈련대장 구인후(具仁垕)의 휘하에서 대포의 제작법과 사용법을 지도하여 큰 공헌을 하였다.

정두원(鄭斗源)소현세자청나라에서 돌아올 때 화포‧천리경(千里鏡)‧과학서적‧천주교서적 등을 가지고 왔으며, 특히 소현세자샬(Shall, A., 湯若望)과 사귀기도 하였다. 서양의 역법(曆法)인 시헌력(時憲曆)을 송인룡(宋仁龍)김상범(金尙範) 등이 청나라에서 수입하여, 그뒤 1653년(효종 4)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학문에도 힘써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동사보편(東史補編)』『서연비람(書筵備覽)』 등 서적을 간행하였고,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김육(金堉)김집(金集) 등 우수한 학자를 배출하여 조선 후기 성리학의 전성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능은 장릉長陵)으로 경기도 파주군 탄현면 갈현리에 있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孝宗實錄
璿源系譜
燃藜室記述
大東野乘
仁祖代政治勢力의 動向(吳洙彰, 韓國史論 13, 1985)

[집필자]

공원영(孔黿泳)

봉호 : "능양군(綾陽君)"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9壬子四年萬暦四十年正月綾陽君仁祖第一子昭顯誕生○殺前博士金直㢤䓁鳯山郡守申慓捕得偽造印信罪人金世濟䓁覈治慓父純一即爾瞻切族受爾瞻
紀年便攷v19乎今此赴援迫不得已汝國豈不知之賊遂與徃復議和後朝廷贈應河領相建廟于龍灣帝不詔封遼東伯賜妻子白金○五月綾陽君仁祖第二子孝宗誕生○金景瑞被殺景瑞潜為日記詳錄彼中事情早晩送我國弘立發告奴賊景瑞遇害己巳本道人上䟽訟
紀年便攷v20軍於延曙驛遂斬彰義門而入訓錬大將李興立結陣闕外迎拜運前義兵直入敦化門積柴放火延及宮舎主聞變踰苑而走時綾陽君坐仁政殿階上召集百官兵曺判書權縉等皆顚倒拜賀獨都承旨李德泂輔德尹知敬不肯拜曰暮夜称兵者為誰左右曰綾陽
紀年便攷v20陽君坐仁政殿階上召集百官兵曺判書權縉等皆顚倒拜賀獨都承旨李德泂輔德尹知敬不肯拜曰暮夜称兵者為誰左右曰綾陽君奉大妃舉義反正德泂曰然則何以燒宮室曰軍卒失火非故放也知敬泫然泣曰舊君何以䖏之綾陽君曰待以不死德泂等遂
紀年便攷v20下會武臣李曙申景禛具宏具仁垕與文臣金瑬李貴崔鳴吉張維及儒生沈器遠金自點等密謀舉義旅定大策欲廢主而推戴綾陽君議既定曙為長湍府使請設山城於德津因聚錬軍卒約日起兵與伊川府使李重老會兵于坡州人有上變於主主方與後宮酣
紀年便攷v20使請設山城於德津因聚錬軍卒約日起兵與伊川府使李重老會兵于坡州人有上變於主主方與後宮酣飮留其事不下是夜綾陽君率親兵迎曙軍於延曙驛遂斬彰義門而入訓錬大將李興立結陣闕外迎拜運前義兵直入敦化門積柴放火延及宮舎主聞變
紀年便攷v20七年癸亥仁祖大王元年天啓三年二月夜蒼赤氣起自坤方向天中相搏東南亦然○三月十一日午時乾方天地俱震○是月綾陽君率金瑬李貴䓁舉義反正即位于慶運宮奉大妃復位時主滛虐日甚奸㓙用事幽閉大妃朝暮圖害綾陽君痛彛倫之斁絶宗社
紀年便攷v20時主滛虐日甚奸㓙用事幽閉大妃朝暮圖害綾陽君痛彛倫之斁絶宗社之將亡徃徃泣下會武臣李曙申景禛具宏具仁垕與文臣金瑬李貴崔鳴吉張維及儒生沈器遠金自點等
紀年便攷v20敎曰十年幽廢不意復見今日疇昔之夢先王語予以此事今頼卿等使我出於火焰卿等可謂社稷臣也遂命內侍奉大寳傅于綾陽君君即位于别宮率百官陳賀于大妃仍頒敎大赦
紀年便攷v20夜称兵者為誰左右曰綾陽君奉大妃舉義反正德泂曰然則何以燒宮室曰軍卒失火非故放也知敬泫然泣曰舊君何以䖏之綾陽君曰待以不死德泂等遂拜乃命李貴等備儀如西宮奉迎大妃大妃不許綾陽君遂詣西宮大妃命設先王虛位御寢殿垂簾趣嗣
紀年便攷v20卒失火非故放也知敬泫然泣曰舊君何以䖏之綾陽君曰待以不死德泂等遂拜乃命李貴等備儀如西宮奉迎大妃大妃不許綾陽君遂詣西宮大妃命設先王虛位御寢殿垂簾趣嗣君入君入庭大哭大妃止之曰此宗社大慶何哭之有仍敎諸臣曰逆魁暴琿天
東國歷代總目v02癸亥王大妃仁穆王妃命廢王降封爲君遷于江華冊綾陽君嗣位○時倫紀斁絶荒亂滋甚宗社幾危▣仁祖大王與金瑬李貴申景禛崔鳴吉李曙等奉大妃復位大妃令廢王遂降冊立之
東國歷代總目v02諱倧字和伯元宗大王長子初封綾陽君元宗乃宣祖大王第五子卽定遠君
國朝人物志v3方在直中俄有武士數人引知敬入軍中詣上前使之拜知敬植立曰夜中不辨色稱兵者誰金瑬挺身言曰綾陽君以宣祖孫爲宗社出此計知敬乃下拜訖趨就東廂請囚上爲之嗟歎拜應敎上疏辭曰臣在昏朝屢遷邇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