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수일(李守一)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218C77CB1554X0
자(字)계순(季純)
호(號)은암(隱庵)
시호(諡號)충무(忠武)
생년1554(명종 9)
졸년1632(인조 10)
시대조선중기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무신 > 무신
이난(李鸞)
외조부우담령(禹聃齡)
출신지충주
공신호진무공신(振武功臣)

[상세내용]

이수일(李守一)
1554년(명종 9)∼1632년(인조 10).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계순(季純), 호는 은암(隱庵). 충주 출신. 부친은 증영의정 이난(李鸞)이며, 모친은 참봉 우담령(禹聃齡)의 딸이다. 아들은 우의정 이완(李浣)이다.

1583년(선조 16) 무과에 급제, 훈련원의 벼슬을 거쳐, 1586년 소농보권관(小農堡權管)이 되었다가 남병사 신각(申恪)의 막하로 들어갔다.

1590년 선전관이 되고, 다음해 장기현감으로 발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분전하였으나 예천용궁에서 패전하였으며, 다음해 밀양부사로 승진, 이어 경상좌도수군절도사에 발탁되고 왜적을 격퇴한 공으로 가선대부에 올랐다.

그뒤 회령부사에 이어, 1597년 나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지역의 중요성을 감안한 도체찰사 이원익(李元翼)의 요청으로 성주목사가 되었으나 명령을 어겨 장형(杖刑)을 받고 종군되었다.

1599년 북도방어사가 되었다가 곧 북도병마절도사로 자리를 옮겼다.

1602년 남도병마절도사가 되어 변방을 침범하는 야인들의 소굴을 소탕하였으며, 다음해 경상우도병마절도사가 되어 창원에 있는 병영을 진주로 옮기도록 하였다.

1606년 길주목사방어사를 겸하고, 다음해 수원부사에 이어, 다시 북도병마절도사가 되고, 1611년(광해군 3) 지중추부사지훈련포도대장원유제조(園囿提調)를 겸하였다.

1612년 평안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가 1614년 임기를 마치고 다시 지중추부사가 되었으며, 1616년 숭정대부에 올랐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키자 평안도병마절도사부원수를 겸하여 길마재〔鞍峴〕에서 반란군을 무찔러 서울을 수복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 2등에 책록되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1628년 형조판서가 되고, 1631년 남한수어사(南漢守禦使)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았다. 좌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명 : "수일(守一)"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4六代孫守一七代孫瀷八代孫惟泰并見下
國朝人物志v2北兵使仁祖反正時部分規劃皆出於适錄勳時金瑬謂新預抑之置之二等第一人次李守一之下守一爲兵判适爲判尹方功臣之入侍也适惡瑬在上坐却立睨視全無敬謹意甲子夏有西警以張晩爲
國朝人物志v2下無兵卒驅城中士民編伍守城聞安州敗皆驚駭逃散公仰天痛哭置火藥於前欲致命諸將佐諫曰體臣職不在守一城且公死民何以生收散兵可以禦賊願公親往撫諭公遂出江上散兵復集會臺臣論劾遂就逮從事官洪公命耇
國朝人物志v3兵使賜書褒之曰始知殉國之士不必出於食厚祿之臣而乃出於平昔不知何狀貌者也癸亥改紀宣傳到城外守一建旗鼓坐堂集將士閉城門及聞慈殿復位舊主出置始釋甲受命甲子李适叛守一以四道副元
國朝人物志v3起卽納官歸東谷仁祖反正初除銓郞以連姻戚里引嫌上疏辭不許以玉堂論西路危急乞自守一壘以爲聳勸將士不報乙丑以承旨因求言上萬言疏力陳時弊丁卯之變體察使李元翼請以贊畫使帶行
國朝人物志v3字澄之慶州人忠武公守一子仁祖甲子武科歷承旨判尹父守一以副元帥迎擊李适浣請從外偵賊勢內贊戎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