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장만(張晩)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A5B9CCFFFFB1566X0
자(字)호고(好古)
호(號)낙서(洛西)
시호(諡號)충정(忠定)
생년1566(명종 21)
졸년1629(인조 7)
시대조선중기
본관인동(仁同)
활동분야문신 > 문신
장기정(張麒禎)
저서『낙서집』
공신호진무공신(振武功臣)

[상세내용]

장만(張晩)
1566년(명종 21)∼1629년(인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호고(好古), 호는 낙서(洛西). 군수 장기정(張麒禎)의 아들이다.

1589년(선조 22) 생원‧진사 양시에 모두 합격하고 1591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승문원의 벼슬을 거쳐,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그뒤 전생서주부(典牲署主簿)형조좌랑예조좌랑전적직강사서정언지평을 역임하고, 1599년 봉산군수로 나갔다.

이때 서로(西路)에는 명나라 군사가 내왕하여 그들에게 급식을 제공하였는데 조금이라도 마음에 차지 않으면 수령들을 결박하고 욕을 보이는 등 행패가 심하였으나 그들을 잘 다스려서 도리어 환심을 샀다. 이러한 일이 조정에 전하여지자 이를 포상하여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승계(陞階)되고 동부승지에 승진되었다.

이듬해 특별히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승계되고,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가 다시 조정에 들어와 도승지호조참판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왕후의 고명주청부사(誥命奏請副使)세자책봉주청부사(世子冊封奏請副使)로 2차에 걸쳐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수년 동안 안으로는 형조‧병조의 참판, 밖으로는 전라함경 양도의 관찰사가 되었다.

특히, 함경도관찰사 재임시에는 누르하치(奴兒哈赤)의 침입을 경고하여 그 방어책을 세울 것을 상소하였고, 1610년(광해군 2) 동지중추부사로 호지(胡地)의 산천지도를 그려 바쳤다.

이듬해 이항복(李恒福)의 건의로 평안도병마절도사로 나가 관서민(關西民)들이 편리하도록 군제(軍制)를 개혁하고, 여연(閭延) 등 오래 폐지되었던 4군(郡)을 버려둘 수 없음을 역설하고 여진추장에게 사람을 보내어 공첩(公牒)을 전달하고 조선의 땅임을 인식시켜 들어와 사는 여진사람들을 철수하게 하였다.

그뒤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호조참판으로 조정에 들어와 동지의금부사를 겸하였다.

당시 대북의 전횡을 힐책하다가 일시 삭직되었으나 곧 승계되어 형조판서에 오르고, 1619년 체찰부사가 되어 요동파병에서 패몰하여 서쪽 국경이 동요되자 이를 무마하는 데 힘썼으며, 왕명으로 찬획사(贊畵使) 이시발(李時發)과 함께 대후금정책을 협의하였다.

이어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르고 병조판서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공명정대한 공사처리가 도리어 권간(權奸)들의 시기를 받게 되어 벼슬을 포기할 각오로 시정(時政)을 극론하다가 광해군의 노여움을 사자 병을 칭탁하고 통진으로 물러갔다. 다음해 인조반정으로 새 왕이 등극하자 도원수에 임명되어 원수부를 평양에 두고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키자 각지의 관군과 의병을 모집하여 이를 진압하였다. 이 전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1등에 책록되고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올라 옥성부원군(玉城府院君)에 봉하여졌다.

이어 우찬성에 임명되고 팔도도체찰사개성유수를 겸하였으며, 그뒤 병을 구실로 풍덕 별서(別墅)로 내려갔으나 왕의 절책(切責)을 받고 다시 조정에 들어와 병조판서도체찰사를 겸하였다.

그러나 1627년 정묘호란에 후금군을 막지 못한 죄로 관작을 삭탈당하고 부여에 유배되었으나 앞서 세운 공으로 용서를 받고 복관되었다.

문무를 겸비하고 재략이 뛰어났다. 영의정에 추증되고, 통진향사(鄕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낙서집』이 있다.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