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송준길(宋浚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A1C900AE38B1606X0
자(字)명보(明甫)
호(號)동춘당(同春堂)
시호(諡號)문정(文正)
생년1606(선조 39)
졸년1672(현종 13)
시대조선중기
본관은진(恩津)
활동분야문신 > 문신
송이창(宋爾昌)

[상세내용]

송준길(宋浚吉)
1606년(선조 39)∼1672년(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명보(明甫), 호는 동춘당(同春堂).

영천군수(榮川郡守) 송이창(宋爾昌)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이이(李珥)를 사숙(私淑)하였고, 20세 때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생이 되었다.

1624년(인조 2) 진사가 된 뒤 학행으로 천거받아 1630년 세마(洗馬)에 제수된 이후 효종이 즉위할 때까지 내시교관(內侍敎官)동몽교관(童蒙敎官)시직(侍直)대군사부예안현감형조좌랑지평한성부판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대부분 관직에 나가지 않았고, 단지 1633년에만 잠깐 동몽교관직에 나갔다가 장인 정경세(鄭經世)의 죽음을 이유로 사퇴하였다.

1649년 김장생의 아들로 산당(山堂)의 우두머리인 김집(金集)이조판서로 기용되면서 송시열(宋時烈)과 함께 송준길도 발탁되어 부사직(副司直)진선(進善)장령 등을 거쳐 집의에 올랐고 통정대부로 품계가 올랐다.

이해에 인조말부터 권력을 장악한 김자점(金自點)원두표(元斗杓) 등 반정공신 일파를 탄핵하여 몰락시켰으나, 김자점효종의 반청정책을 청나라에 밀고함으로써 그도 벼슬에서 물러났다.

그뒤 집의이조참의 겸 찬선 등으로 여러 번 임명되었으나 계속 사퇴하였으며, 1658년(효종 9) 대사헌이조참판 겸 좨주를 거쳤다.

1659년 병조판서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우참찬으로 송시열과 함께 국정에 참여하던 중 효종이 죽고 현종이 즉위,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로 이른바 예송(禮訟)이 일어나자 송시열이 기년제(朞年祭: 만 1)를 주장할 때 그를 지지하여 남인(南人)의 윤휴(尹鑴)허목(許穆)윤선도(尹善道) 등의 3년설과 논란을 거듭한 끝에 일단 기년제를 관철시켰다.

이해에 이조판서가 되었으나 곧 사퇴하였고, 이후 우참찬대사헌좌참찬 겸 좨주찬선 등에 여러 차례 임명되었으나 기년제의 잘못을 규탄하는 남인들의 거듭되는 상소로 계속 사퇴하였다.

단지, 1665년(현종 6) 원자의 보양(輔養)에 대한 건의를 하여 첫번째 보양관이 되었으나 이 역시 곧 사퇴하였다.

1673년 1월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나 1674년 효종의 왕비인 인선대비(仁宣大妃)가 죽자 또 한 차례 자의대비의 복상문제가 일어나게 되고, 이번에는 남인의 기년제설이 서인의 대공설(大功說: 9개월)을 누르고 남인의 주장을 관철시킴으로써 남인이 정권을 장악, 1675년(숙종 1) 허적(許積)윤휴허목 등의 공격을 받아 관작을 삭탈당하였다. 이어 1680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면서 관작이 복구되었다.

송시열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의 학설을 지지하였고, 특히 예학(禮學)에 밝아 일찍이 김장생이 예학의 종장(宗匠)이 될 것을 예언하기도 하였다.

문장과 글씨에도 능하였다.

1681년 숭현서원(崇賢書院)에 제향되고 문정(文正)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같은해 김장생과 함께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할 것이 건의된 이래 여러 차례의 상소가 있은 다음 1756년(영조 32) 문묘에 제향되었다. 충현서원(忠賢書院)봉암서원(鳳巖書院)돈암서원(遯巖書院)용강서원(龍岡書院)창주서원(滄洲書院)흥암서원(興巖書院)성천서원(星川書院) 등에도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어록해(語錄解)』『동춘당집』이 있으며, 글씨로는 부산의 충렬사비문(忠烈祠碑文), 남양의 윤계순절비문(尹啓殉節碑文)이 있다.

[참고문헌]

孝宗實錄
顯宗實錄
同春堂先生年譜
黨議通略
韓國黨爭史(成樂熏, 韓國文化史大系 Ⅱ, 1965)
李朝黨爭史硏究(姜周鎭, 서울大學校出版部, 1971)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명 : "준길(浚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6有君臣之義乃反以臣服君之服服大王手况大王大妃於昭顯之䘮旣與仁祖同為長子服則其義何可變於今日手左參䝺宗浚吉上劄曰許穆之䟽引經㩀義臣於此論亦不䏻無疑者盖儀禮父為長子通上下而言者也若如稷之說則設令大夫士嫡妻所生
紀年便攷v26尹善道竄配命下之後權諰上䟽曰大王大妃今日當為三年之制必然無疑今雖義起可質百世惜乎時烈浚吉棨之賢而未察當為三年之義故今日此議發於朝廷之上而諸人猶且執迷而不曰時烈所謂先王不害為庶子之言則謬之甚
紀年便攷v26者然其立朝清白庚寅一事為足可称故金尙憲諸賢皆與之友善而時烈䟽末有曰孫従臣云云景奭大怒以時烈䟽示宋浚吉浚吉亦不勝駭歎
紀年便攷v26洪得箕重普子李顯英外孫仁祖乙亥生字子範號月湖尙孝宗淑安公主封益平尉承襲封君學于宋浚吉浚吉丞称之宣召至上前使誦孟子七篇不錯一字顯宗癸丑卒年三十九謚孝簡子下致祥見申晸翊全子趙昌遠外孫沈熈世婿仁
東國歷代總目v02文敬戊戌行大同法於全羅道○徵宋時烈爲吏曹判書宋浚吉爲大司憲○上復任儒賢使與相臣鄭太和大將李浣圖議北伐浚吉尋陞兵曹判書
東國歷代總目v02辛亥大疫○壬子前吏曹判書宋浚吉卒○浚吉字明甫號同春堂金長生門人也自仁祖朝被徵孝宗以後待以賓師至是因論相臣許積之奸恩禮不終而卒年六十七諡文正
國朝人物志v3孫生于漢陽隣舍有官人夜夢有一人持產具曰我天人將以此遣宋氏家稍長喜讀書長者或以事闕課則浚吉必請之雖夜不得則不寢又好習字未十歲竹窓李時稷素善書見之曰汝已勝我矣就學于沙溪金長生
國朝人物志v3字子華恩津人正郞光栻子文正公浚吉孫祖常語家人曰此吾家御史也就學於尤菴宋時烈深期許顯宗末命公卿薦士閔文忠鼎重
國朝人物志v3曰俱以名賢之子若孫首登遴選豈非邦家之幸歟國朝寶鑑宋明欽號櫟泉恩津人文正公浚吉之後以遺逸拜官諡文元上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