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성구(李聖求)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131AD6CB1584X0
자(字)자이(子異)
호(號)분사(汾沙)
호(號)동사(東沙)
시호(諡號)정숙(貞肅)
생년1584(선조 17)
졸년1644(인조 22)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수광(李睟光)
저서『분사집』

[상세내용]

이성구(李聖求)
1584년(선조 17)∼1644년(인조 2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이(子異), 호는 분사(汾沙)동사(東沙).

태종의 아들인 경녕군(敬寧君) 비(裶)의 후손이며, 이조판서 이수광(李睟光)의 아들이다.

1603년(선조 36) 진사에 오르고, 1608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한원(翰苑)에 들어가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광해군 초기에 전적감찰에 이어 예조병조형조좌랑, 부교리헌납병조정랑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613년(광해군 5) 헌납으로 있을 때 부친은 대사헌을, 동생 이민구(李敏求)는 홍문관수찬을 지냄으로써 삼부자가 삼사의 언관직에 같이 봉직하여 세인들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지평으로 있을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옥사가 일어나자 시론(時論)에 반대하였으며, 영의정 이항복(李恒福)정협(鄭浹)을 천거하여 종성판관으로 삼자 이를 문제삼는 간당(奸黨)들을 저지하다가 파직되었다.

1614년 이천현감(伊川縣監)을 거쳐 1616년 영평판관(永平判官)이 되고, 겸하여 포천을 다스렸다.

이때 이항복북청의 배소에서 죽자 포천의 향민들이 운구해서 장사지내고 서원을 세워 봉사하였다.

그러나 이 일로 무고당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아 파면당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때에는 사간으로 기용되어 폐정을 일신시키고, 영의정 이원익(李元翼)의 인정을 받아 강화부윤부승지예조참의를 거쳐 1625년(인조 3) 대사간이 되고 이듬해 병조참지가 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이조참의로서 왕세자를 전주로 호종하고, 이어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진되어 이듬해 전라감사에 부임하였다.

그뒤 대사간좌승지도승지병조참판대사헌형조참판경기감사 등을 지냈으며, 1636년 형조판서이조판서를 거쳐 병조판서체찰부사(體察副使)를 겸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왕을 남한산성으로 호종하였다.

이때 최명길(崔鳴吉) 등의 주화론에 동조하였으며, 1637년 왕세자가 심양(瀋陽)에 갈 때에 좌의정이 되어 수행하였다.

이듬해 영돈녕부사가 되고 1640년 사은사(謝恩使)청나라에 가서 명나라를 칠 원군을 보낼 수 없다는 것을 전하고 왔다.

1641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이듬해 승지 홍무적(洪茂績)의 모함으로 사직하였다가 곧 영중추부사가 되었는데, 다시 선천부사 이계(李烓)청나라에 기밀을 누설한 사건을 논하다가 파직되어 양화강(楊花江) 부근에 만휴암(晩休庵)을 짓고 향인(鄕人)을 권장하여 「서호향약기(西湖鄕約記)」라는 향약을 정하고 산수간을 소요하며 지냈다.

다시 영중추부사에 서용되었으나 나오지 않고 강호에 살다 죽으니, 인조가 조회를 폐하고 조제(弔祭)하였다. 이시백(李時白)은 “반정 이후 인조가 발탁한 정승 중에서 이성구의 인물됨이 첫째이다.”라고 하였다.

저서로는 『분사집』이 있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同文彙考別編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淸太宗實錄

[집필자]

반윤홍(潘允洪)

성명 : "이성구(李聖求)"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9李埈指公䝱制衆口公指經世爲姦人經世指公排斥異己至比於爾瞻纘男經世俄拜都憲而兩司之論停延平行狀○反正後李聖求敏求附托西人黃㦿以西人附托南論蓋其時仁城君珙當殺云者諸功臣西人之意不當殺云者南人主之而愚伏一隊草野公
國朝編年v20之勢焰猶或有言鹿者光炫輩權勢雖重豈可懼其論罪而不言已見哉兪伯曾初非異己之類而以言不合疾之如此如金壽賢李聖求等庸劣之輩所爲則不足責也當初姜碩期等銳議發論以亂國是以被罪太輕故厥類惟有至於如此皆予處事不嚴之致也彼
紀年便攷v20以金尚容為留都大將呂䄄吉為副使守都城二十七日入江都領議政尹昉右議政吳允謙吏曹判書金瑬賛成李貴兵曺判書李聖求禮曹判書李廷龜户曺判書金藎國參判崔鳴吉金自點張維等從之
紀年便攷v20 走哭聲震天與大駕相雜而行酉時渡松怶江氷初合初更始達山城百官扈従者俾數十人大臣以下諸従臣二更追至金瑬李聖求請上来曉移入江都十六日鷄鳴發行雨雪初收烈風甚緊山坂氷凍人馬不能着足上下馬步行五里餘尙未明屢次顛仆玉候
紀年便攷v20賊自西門呼我使李徳洞李聖求崔鳴吉授以昨日所傳國書曰皇帝以爾國不受命怒欲殱滅急於還歸委此役於十王子及龍馬二將明欲發行發行之後雖欲
紀年便攷v20叱鳴吉曰先大夫頗有名於士友間公等何忍為此事耶鳴吉曰豈以台監爲不可盖出於不得已也公裂之吾拾之乃收拾補綴李聖求盛怒曰台監從前斥和使國事至此雖得後世名重奈吾君宗社何何不出與賊抗義耶尙憲曰我有一死而已若送虜陣得其死
紀年便攷v21泛海內附約誓已定時龍骨大在灣上覺之遣淸差二人直入闕中仍納崔族諺書名在書中者幷令本國照律將加刑戮領議政李聖求爭之甚力而淸將不聽於是兩差及鄭壽命出坐南別宮外一皓禮亮等一時斬殺一皓爲人慷慨擔當國事人皆冤之
紀年便攷v21詩文爲扁額誇耀國中上乃命義昌君珖寫額曰日光淨界使李明漢作書李植作銘吳竣書之又使金瑬崔鳴吉洪瑞鳳申翊聖李聖求金藎國作詩以賜之
紀年便攷v21李聖求睟〔晬〕光子宣祖甲申生字子異號汾沙癸卯二十進壯戊申登別試歷翰林舍人副學完伯畿伯光海廢母時持正不撓仁祖
紀年便攷v23以復通天朝虜使急至執其書而按之一皓竟坐死上以千金贖不得淸差使本國照律殺之右相姜碩期欲律以絶島安置領相李聖求左相申景禛直以處斬擬律一皓臨死北向拜君南向辭母顏色自若被刑於南別館外年五十四安克誠車忠亮車孟胤張厚健
紀年便攷v23我也不就死禍必及國至京師禁府官囚鞫獄忠亮大言曰我軰豈亂逆耶胡爲處之此禁府官慚移之西獄清使立促其讞領相李聖求吏判南以雄處以極律右相姜碩期爭之不得徑起去左相申景禛依違其間卒以大辟上上欲以重貨贖不得清使㨿床坐聖求
紀年便攷v24大器李廷龜謂其孫一相曰新進中趙某可托交汝宜深結仁祖丙寅登文科旌削庚午登明經科歷翰林銓郞舍人以修撰論劾李聖求與賊烓相和之罪初許穆以學議罰朴知誡珩爲翰林時上命四舘罰許而珩不承命坐此謫扶餘踰年放還丙子爲督戰御史孝
紀年便攷v25李一相明漢子朴東亮外孫李聖求壻光海壬子生字咸卿號靑湖仁祖丁卯十六進士戊辰十七登謁聖歷南床翰林銓郞舍人孝宗朝典文衡官止禮判文章夙成
紀年便攷v28海朝一相子李李聖求外孫顯宗庚子生字子東號鳴岩肅宗辛酉進士壬午以海州判官登謁聖歴銓郞三司選湖堂官止監司氣岸伉爽詩亦不墜家
記聞v1䙗等十一人誅沈器遠錄效忠奮武炳幾決策淸難功臣具仁垕等四人○相尹昉申欽吳允謙金瑬李廷龜金尙容○李聖求丁丑以後洪瑞鳳崔鳴吉張維起復不出申景禛武勳沈悅姜碩期沈器遠蔭勳金自點蔭勳李敬輿徐景雨李景奭金尙憲南以
國朝捷錄v01李聖求
江華府先生案府尹 李安訥萬曆戊午以府使陞柳忠立尹暄李 光英李聖求金起宗李重老
郯述v01正使左議政李聖求副使懷仁君德仁書狀官司成蔡裕後
郯述v01正使領中樞李聖求副使左參贊鄭廣敬書狀禮曹正郞李䅘
職官考v01李聖求
伊川邑誌(江原道)朴逸贒 李聖求 南濂 南啓夏 具德齡 裵弘祿
伊川邑誌(江原道)李聖求 文 官至領相
靑邱風雲v1姓忠貞公甲子都元帥丁丑與鶴谷屢赴敵陣議和丙子拜父克仁祖坡川副令珹曾汀陽君玉珩外兪瓊妻父具孝洲李聖求字子異號汾沙宗姓貞肅公廢母時持正不撓丁丑拜父粹光祖希儉曾河東君裕外金大陟妻父尹說丁丑
靑邱風雲v1中北不能自立爭附於西南者甚衆上以朝臣西南強弱未嘗不爲之扶抑而臨御二十七年南人無柄用者惟張顯光擢冢宰李聖求乘丙子胡亂得至三事李成渾從祀之論已發南人猶醜斥不已孝宗初元西人亦秉政禮羅賢俊倡大義於天下宋文正時
東國續修文獻錄v1源安東人文右相文忠江都殉洪瑞鳳字輝世號鶴谷南陽人文領相文貞李弘胄字伯胤號梨川全州人文領相忠貞李聖求字子異號汾沙全州人文領相貞肅崔鳴吉字子謙號遲川全州人文領相丁丑主和文忠張維字持國號谿谷
國朝人物志v3與麾下騎數百至水原欲南下更收兵監司李時昉從事朴遾毀於上俊龍當得罪大臣李聖求崔鳴吉極言戰捷狀以此得免人物考
睡翁先生日記n1-2책計 而撫軍司反以褒聞于大朝欲掩公議云痛哉 痛哉吏議李聖求囑元翼而爲之啓云護黨之 害一至於此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