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상의(李尙毅)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0C1C758B1560X0
자(字)이원(而遠)
호(號)오호(五湖)
호(號)서산(西山)
호(號)파릉(巴陵)
시호(諡號)익헌(翼獻)
생년1560(명종 15)
졸년1624(인조 2)
시대조선중기
본관여주(驪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우인(李友仁)
저서『소릉집(少陵集)』
공신호위성공신(衛聖功臣)
공신호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

[상세내용]

이상의(李尙毅)
1560년(명종 15)∼1624년(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소릉(少陵)오호(五湖)서산(西山)파릉(巴陵). 본관은 여주(驪州).

사재감첨정 이우인(李友仁)의 아들이다.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정원주서성균관전적을 거쳐 1591년 사헌부지평이 되고 이듬해 병조정랑이 되었다. 이해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의주로 피난갈 때 검찰사(檢察使)로서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어 홍문관부응교세자시강원필선사헌부장령성균관사예홍문관교리홍문관전한 등을 거쳐 1594년 사간원사간이 되었다. 다시 필선이 되었다가 보덕으로 승진하고, 사헌부집의홍문관응교 등을 거쳐 1597년 말에는 진위사(陳慰使)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후 성균관사예사간홍문관직제학을 거쳐 이듬해 9월 통정대부에 오르고 승정원동부승지에 임명되었다. 이어 좌부승지병조참의대사간형조참의도승지병조참판홍문관부제학을 거쳐 1602년 이조참판이 되었다.

이듬해 성천부사로 부임하여 백성들을 어질게 다스리고 학교를 크게 일으켜서 지금까지 그 고을에서 한명도 내지 못했던 소과 합격자를 냄으로써 학구열을 불러일으켰다.

1606년 중앙으로 다시 올라와 성균관대사성도승지형조판서를 거쳐 1609년(광해군 1)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이때 당색에 구애받지 않고 재질에 따라 인재를 등용하여 그 공도(公道)를 칭찬받기도 하였다.

그뒤 지중추부사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1611년 가을 동궁고명면복주청사(東宮告命冕服奏請使)명나라에 다녀왔다.

1612년에 임진왜란 때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져 공조판서가 되었고, 1616년 보국숭록대부에 오르고 여흥부원군에 봉해졌다.

1618년 좌찬성에 올라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위성공신이 혁파되어 훈봉이 삭탈되고 1품계가 강등되는 동시에 지중추부사로 좌천되었다.

글씨를 잘 썼으며 저서로는 『소릉집(少陵集)』이 있다. 뒤에 선조조의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익헌(翼獻)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신해순(申解淳)

자 : "이원(而遠)"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8李尚毅尚弘弟尹晛婿明宗庚申生字而遠號少陵又巴陵又五湖又西山宣祖乙酉魁生貟丙戌登别試官止賛成卜相策衛聖功封驪興府院君後削兒時輕率不耐久㘴
寒臯觀外史v17里全州人官領相謚文忠配享仁祖庙庭○勁當作玏字希玉号白岩礼安人官大憲謚敏節○覃茂字仲蕃坡平人副學尙毅字而遠号少陵驪州人官二相謚翼献光績字景勲河東人号南坡官判樞謚翼正文海字灝元醴泉人官承㫖敏善字達夫光州人官執
寒臯觀外史v34竹山人官左相甲子戎服迎适㐲誅愼字思叔號秋浦昌原人官戶判謚文敏再祐字季綏號忘憂玄風人官判尹謚忠翼尙毅字而遠號少陵驪奐人春湖尙弘之弟巒尹晛之壻官賛成謚翼獻
寒臯觀外史v43李公字而遠號少陵驪州人官二相謚翼憲
寒臯觀外史v59元翼字公勵號梧里完山人官領相謚文忠配享仁祖廟庭仁得字德甫平壤人官兵參覃茂字仲蕃坡平人官副學尙毅字而遠號少陵驪州人官二相謚翼獻 光績字景勳河東人官判樞謚翼正仁傑字應時南陽人官刑議
寒臯觀外史v68稷字士馨交河人官兵判尙毅字而遠號少陵驪州人官一相謚翼献
寒臯觀外史v70尙毅字而遠號少陵骊州人官二相謚翼獻志元字養吾號斗峯官三宰謚貞簡
國朝人物志v2而遠號小陵驪州人乙酉生員壯元丙戌文科爲成川府使府在遐遠民不知學以興學爲先人物考僉正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3-24채제공(蔡濟恭) 撰 번암집(樊巖集)에 수록된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行崇祿大夫議政府左贊成少陵李公諡狀 을 참고하여 본관을 여흥(驪興)에서 여주(驪州)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