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인지(鄭麟趾)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778C9C0B1396X0
자(字)백저(伯雎)
호(號)학역재(學易齋)
시호(諡號)문성(文成)
생년1396(태조 5)
졸년1478(성종 9)
시대조선전기
본관하동(河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흥인(鄭興仁)
외조부진천의(陳千義)
저서『학역재집』
공신호좌익공신(佐翼功臣)
공신호익대공신(翊戴功臣)
공신호좌리공신(佐理功臣)

[상세내용]

정인지(鄭麟趾)
1396년(태조 5)∼1478년(성종 9).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백저(伯雎), 호는 학역재(學易齋).
1. 가계와 태종문종대의 관력 및 업적
부친은 석성현감(石城縣監) 증영의정부사(贈領議政府事) 정흥인(鄭興仁)이며, 모친은 진천의(陳千義)의 딸이다. 권우(權遇)의 문인이다.

1411년(태종 11)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414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예빈시주부(禮賓寺注簿)에 제수되었다.

이듬해 예문관부교리에 개수(改授)되고, 이어 감찰예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418년(세종 즉위) 8월 병조좌랑을 거쳐 1421년(세종 3)에는 상왕(上王: 태종)의 “대임을 맡길만한 인물이니 중용하라. “는 요청과 함께 병조정랑에 승직되고, 이후 세종의 신임을 받으면서 이조예조정랑을 역임하였다.

1424년 집현전관(集賢殿官)에 뽑히면서 응교에 제수되고, 다음해 직전(直殿)에 승진되었다.

1427년 문과중시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다시 직제학에 승진, 곧 세자시강원좌필선을 겸대한 뒤 다음해에는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면서 또다시 부제학에 승진되었다.

1430년 10월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면서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다음해에는 정초(鄭招)와 함께 대통력(大統曆)을 개정하고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을 저술하는 등 역법을 정비하였다.

1432년 예문관제학 겸 동지춘추관사(藝文館提學兼同知春秋館事), 1433년 2월 인수부윤(仁壽府尹), 같은해 6월 예문관제학이 되었다.

1434년 4월 이조좌참판에 발탁되고, 같은해 10월 다시 예문관제학을 거쳐 1435년 6월 충청도관찰사로 나간 뒤 다음해 9월 부상으로 사직하였다.

1437년 세종의 문운육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기복(起復)되어 예문관제학에 서용되고, 1439년에는 집현전제학이 된 뒤 곧 형조참판으로 옮겼다가 1440년 5월 정연(鄭淵)의 천거를 받아 형조판서에 발탁되었다.

같은해 11월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를 거쳐 사은사명나라에 다녀왔다.

1442년 예문관대제학으로 『사륜요집(絲綸要集)』을 편찬하고, 이듬해 지중추원사로 당시에 찬‧반의 논의가 격렬하던 공법(貢法)을 극력 주장하여 그 실시를 확정하는 데 공헌하였으며, 전제상정소(田制詳定所)제조(提調)삼도도순찰사(三道都巡察使)로 파견되어 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전품(田品)을 분정(分定)하는 등 내‧외의 전제사를 주관하였다.

1445년 1월 우참찬이 되고, 그해 『치평요람(治平要覽)』을 찬진하였다. 다음해 예조판서를 거쳐 1447년에는 이조판서가 된 뒤 지춘추관사가 되어 『태조실록』을 증수(增修)하는 데 참여하였으며, 한편 전라도에 파견되어 전품을 다시 상정하였다.

1449년 공조판서를 거쳐 1450년(문종 즉위) 좌참찬이 되고, 1451년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고려사』를 개찬(改撰)하였고, 이듬해 김종서 등과 함께 다시 『고려사절요』를 편찬하였다.
2. 단종세조대의 관력 및 업적
1455년(세조 1)세조의 즉위와 함께 영의정부사에 승진되고, 세자사(世子師)를 예겸(例兼)한 뒤 세조 즉위에 끼친 공로로 다시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1458년 공신연(功臣宴)을 베풀 때 세조의 불서간행을 반대한 일로 세조의 노여움을 사서 불경죄로 논죄되면서 고신(告身)이 몰수되었으나, 곧 고신을 환급받고 하동부원군에 제수되었다.

1459년 취중에 직간한 일이 국왕에게 무례를 범하였다고 논죄되면서 다시 고신을 몰수당하고 외방에 종편(從便)되었으나 그해에 다시 소환되어 고신을 환급받고, 그 이듬해에 하동부원군에 복직되었다.

1465년 나이 70을 이유로 치사(致仕)를 청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았으며, 다음해 관제개혁으로 인한 부원군호의 군호로의 개칭과 함께 하동군(河東君)에 개봉(改封)되었다.
3. 예종성종대의 관력
1468년(예종 즉위)남이(南怡)의 옥사에 끼친 공로로 다시 익대공신(翊戴功臣)3등에 책록되었으며, 1470년(성종 1) 부원군호의 복구와 함께 하동부원군에 개봉되고 경연영사(經筵領事)를 겸대하였다.

같은해 1467년(세조 13)에 설치된 국왕의 측근에서 원상에 임명되어 국정의 논의와 처결의 실권을 장악하였고, 1471년 성종 즉위에 끼친 공로로 또다시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1478년 성종의 호학 및 당시의 문운융성과 함께 연덕(年德)을 구비하고 명망이 높은 유학자를 삼로오갱(三老五更: 王師)으로 봉하여 문풍을 더한층 진작시키자는 논의와 함께 삼로에 선정되었다.

그러나 그 진봉식의 거행직전에 대간의 “한미한 가문에서 기신하였으나 식화(殖貨)에 전념하여 치부하였으니 불가하다.”라는 반대가 있었다.

비록 한명회(韓明澮) 등의 대신이 “정인지의 식화는 장리(長利)에 불과하였으니 큰 흠이 될 수 없다. “라고 하면서 그 실시를 주장하였지만, 결국은 진봉되지 못하였으며, 같은해에 하동부원군으로 죽었다.
4. 공로
그는 유학과 전고(典故)에 밝아 조선 초기의 대표적 유학자의 한 사람으로 추앙되었고, 비록 큰 정치력은 발휘하지 못하였으나 세종문종대에는 국왕의 신임을 받으면서 문한(文翰)을 관장하고 역사‧천문‧역법‧아악을 정리하였고, 한글창제에도 참여하는 등 문풍육성과 제도정비에 기여하였다.

단종성종초에는 학덕을 구비한 원로대신으로서의 풍도를 지킴으로써 빈번한 정변과 어린 국왕의 즉위로 인한 경직되고 혼란된 정치분위기와 민심을 진정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저서로는 『학역재집』이 있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참고문헌]

太宗實錄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睿宗實錄
成宗實錄
國朝榜目
海東名臣錄
新增東國輿地勝覽
燃藜室記述
淸選考

[집필자]

한충희(韓忠熙)

명 : "인지(麟趾)"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2上謂近臣曰孝瞻之論正直予見其書感動於心竟不用術者之言上問鄭麟趾曰孝瞻之論則然矣其父母之葬能不用此法乎麟趾曰臣嘗奉使到咸安見孝瞻於家園之上知非惑於他術者也後葬其母與父同原其子世謙世恭葬于廣津之濱亦不擇地其家
國朝編年v03時朝廷請誅瑢久不從上引見麟趾等慶會樓下議良久罷出麟趾
紀年便攷v5且向玉墀呼萬歲願施優渥及山村李滉書有云國家萬世後當從耘谷議申欽曰禑昌之事當以元天錫爲信史直書無隱比諸麟趾之麗史不翅日星蝶蝀之相懸監司鄭逑祭其墓曰山有薇蕨可以無飢室有琴書可以自恬聘幣殷勤星宿雍容萬古空山一縷
紀年便攷v7鄭四九麟趾
紀年便攷v7鄭四九麟趾河東人縣監興仁子太祖丙子生字伯雎號學昜齊權遇門人其父在昭格殿傍默禱曰吾無所成願生起家之子及生異凡兒太
紀年便攷v7明試用其說末流之弊不可救上以其論為正直遂不用賢老之言世宗言於鄭麟趾曰孝瞻之論然矣父母之葬能不用此法乎麟趾曰臣甞奉使到咸安晃孝瞻葬父於家園似非惑於地理者其後葬母與父同域及卒世謙等亦不擇地甞為執義以植正摧邪正
紀年便攷v7惠嬪楊氏出楊氏以進乳於端宗乙亥被禍一云丁丑被禍後伸謚貞悼初端宗冊妃時世祖使舍人黃孝源徃告于右相鄭麟趾麟趾曰居丧納妃豈禮㢤責孝源曰爾亦儒者奚以是問於我乎孝源啓曰右相似有採薪之憂不發言世祖又令復徃且曰楊嬪亦囑
紀年便攷v7奚以是問於我乎孝源啓曰右相似有採薪之憂不發言世祖又令復徃且曰楊嬪亦囑以宜早納妃不可不從孝源又徃告以此麟趾怒曰楊氏雖世宗封為嬪固是賤女豈知國家事乎
紀年便攷v8上謂鄭麟趾曰觀此則祖宗創業之艱世宗制作之義可知麟趾對曰正是逸中思劳安中思危之時也上稱善曰宜令諸生賦詩以毋忘今日
紀年便攷v10鄭汝昌河東人虞候六乙子麟趾三從孫定宗孫婿世宗庚午生宇伯勗號一蠹又夢翁金宗直門人八歲詔使張寧見而歎異作說名之盖能昌其家之謂也十七
紀年便攷v12鄭世虎麟趾孫尙祖子李克堪孫婿字子仁號西溪中宗癸酉進士己卯登明經科歷舍人官止判中樞謚孝簡婿德興大院君
紀年便攷v17鄭光績麟趾五世孫崇祖玄孫參奉起門子中宗甲辰生字景勳號南坡宣祖癸酉進士己卯登明經科歴翰林銓郞副學穆陵因山後上十漸
紀年便攷v18鄭得說麟趾五世孫僉樞希永子光績四從明宗乙丑生字君錫時有倭釁遂投筆宣祖戊子登武科壬辰以才勇授泗川未幾倭渡海得說慷
郯述v03麟趾五代孫 八十八
國朝人物志v1文科壯元丁未重試居魁以文名世太宗嘗曰文有鄭麟趾武有洪師錫是皆堪將相國無憂矣麟趾爲兵曹佐郞上召見曰予聞名熟矣但未識面令擧首仰面熟視嗟賞謂世宗以爲後日大用世宗
國朝人物志v1之論正直予見其疏感動於心竟不用術者言上問鄭麟趾曰孝瞻之論然矣其父母之葬能不用此法乎麟趾曰臣嘗奉使到咸安見孝瞻葬父於家園之上知非惑術者也孝瞻爲執義時下隷輩告以府君
國朝人物志v1字孝叔號三省齋河東人麟趾子以蔭進戶曹判書錄佐理功封河南君首尾奉公四十餘年忠勤不懈旣而年益高以河南君奉朝賀
國朝人物志v2字休吉號花江河東人縣監得悅子文成公麟趾七代孫幼穎爽過人八歲而孤光海主壬子擧進士第一時年二十八陳疏斥鄭造尹訒李偉卿等救李元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