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준(趙浚)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70C900FFFFB1346X0
자(字)명중(明仲)
호(號)우재(吁齋)
호(號)송당(松堂)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346(충목왕 2)
졸년1405(태종 5)
시대조선전기
본관평양(平壤)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덕유(趙德裕)
증조부조인규(趙仁規)
경정공주(慶貞公主)
공신호선위좌명공신(宣威佐命功臣)
공신호추충여절좌명공신(推忠勵節佐命功臣)
공신호개국공신
공신호정사공신(定社功臣)

[상세내용]

조준(趙浚)
1346년(충목왕 2)∼1405년(태종 5). 고려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명중(明仲), 호는 우재(吁齋) 또는 송당(松堂).
1. 가계와 관력
문하시중 조인규(趙仁規)의 증손으로, 판도판서 조덕유(趙德裕)의 아들이다. 아들 조대림(趙大臨)태종의 둘째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혼인함으로써 태종과는 사돈이 된다.

원래 평양조씨는 이름없는 집안이었으나, 조인규의 대에 이르러 몽고어를 잘하여 역관(譯官)으로서 출세, 충선왕의 국구(國舅)가 되면서 귀족으로 발돋움하였다.

그는 6형제 중의 5남으로 태어났으나, 형제가 아무도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여 어머니가 항상 개탄하였으므로 어려서부터 힘써 공부하였다.

1371년(공민왕 20)책을 끼고 수덕궁(壽德宮) 앞을 지나가자, 왕이 보고 기특히 여겨 마배행수(馬陪行首)에 보하였다.

1374년(우왕 즉위) 문과에 급제하고, 1376년 좌우위호군(左右衛護軍)으로서 통례문부사(通禮門副使)를 겸하고, 강릉도안렴사(江陵道按廉使)로 뽑혔는데, 정치를 잘하여 이민(吏民)의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

이어 전법판서(典法判書)를 거쳐, 1382년 병마도통사 최영(崔瑩)의 천거로 경상도에 내려가 왜구토벌에 소극적이던 도순문사를 징벌하고 병마사를 참하여 기강을 바로잡았다.

1383년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낸 뒤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가 되었다.
2. 이성계와의 관계
이어 도검찰사(都檢察使)로서 강원도에 쳐들어온 왜구를 토평하여 선위좌명공신(宣威佐命功臣)에 오른 뒤, 권간(權奸)의 발호에 실망하여 우왕 말년까지 4년 동안 은둔생활을 하면서 경사(經史)를 공부하고, 윤소종(尹紹宗)허금(許錦)조인옥(趙仁沃)유원정(柳爰廷)정지(鄭地)백군녕(白君寧) 등과 교우를 맺으면서 우왕의 폐위와 왕씨의 부흥을 꾀하였다.

그가 이성계(李成桂)와 인연을 맺은 것은 이 무렵으로서, 이성계는 1388년 위화도에서 회군한 뒤 중망(重望)이 있는 조준을 불러 일을 논의하고, 크게 기뼈하여 지밀직사사 겸 대사헌(知密直司事兼大司憲)에 발탁하고 크고 작은 일을 일일이 자문하였다. 그는 크게 감격하여, 아는 것을 모두 이성계에게 이야기하여 개혁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해 이성계정도전(鄭道傳) 등과 전제개혁을 협의, 그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찬의를 얻고, 같은해 7월 처음으로 전제개혁의 필요성을 상소하였으며, 다음해 8월과 12월에 잇달아 전제개혁소를 올려 이색(李穡)이림(李琳)우현보(禹玄寶)변안열(邊安烈)권근(權近)유백유(柳伯濡) 등 전제개혁 반대파와 대립하였다.

그는 또 관제‧신분‧국방 등 국정 전반에 걸친 개혁을 주장하고, 지문하부사 겸 대사헌(知門下府事兼大司憲)으로 추충여절좌명공신(推忠勵節佐命功臣)이 되었다. 이어 조민수(曺敏修)이인임(李仁任) 등 권신을 탄핵하고 창왕을 폐위, 공양왕을 옹립하는 데 참여하여 이성계정도전 등과 더불어 중흥공신에 서훈되었다.

1389년(공양왕 1)전제개혁을 단행하고, 평리 겸 판상서시사(評理兼判尙瑞寺事)에 올라 전선(銓選)을 주관하였고, 다음해 찬성사로 승진하여 1391년 성절사명나라에 다녀왔다.

1392년 정몽주 일파의 탄핵을 받아 정도전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가 정몽주가 죽자 풀려나와 찬성사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었으며, 이해 7월에 이성계를 추대하여 개국공신 1등으로 평양백(平壤伯)에 피봉되고 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의 자리에 올랐다.
3. 정치적 입지
조선 개국 후 정치적 실권이 점차 정도전에게 집중되자, 그와 정치적 의견을 달리하게 되었다. 세자책봉에 대하여 정도전방석(芳碩)을 지지하였으나, 조준은 이를 반대하여 개국에 공이 많은 방원(芳遠)을 지지하였고, 문하좌시중오도도통사(五道都統使)가 되면서 판삼군부사(判三軍府事)로서 병권을 장악하고, 요동공벌을 계획하던 정도전과 대립하여 공요운동(攻遼運動)을 반대하였다.

그의 정치적 입장은 자연히 이방원과 가까워져서 그와 친교가 두터웠고, 평소 방원에게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주고 읽기를 권장하였다.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戊寅靖社, 혹은 鄭道傳亂)때 백관을 이끌고 적장(嫡長)을 후사로 정할 것을 건의하여 정종이 왕위에 오르는 것을 도와 정사공신(定社功臣)1등에 피봉되었다.

1400년(정종 2)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 있으면서 민무구(閔無咎)민무질(閔無疾)에게 무고되어 한때 투옥되기도 하였으나, 이방원에 의하여 석방되어, 11월 이방원을 왕으로 옹립하고 좌정승영의정부사에 승진, 평양부원군에 진봉되었다.
4. 제도 개혁
그는 사학(史學)을 잘하고 경학(經學)과 시문에도 능하였으며, 문집으로 『송당집』을 남겼다.

한편,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로 하여금 국조의 헌장조례(憲章條例)를 모아 『경제육전(經濟六典)』을 간행하게 하였으니, 이는 뒤에 『속육전』『육전등록』 등으로 보완되어 『경국대전』 편찬의 토대가 되었다.

그의 전제개혁안은 부국강병과 민생안정에 목표를 둔 것으로서, 제1차 상소에서는 녹과전(祿科田)‧구분전(口分田)‧군전(軍田)‧투화전(投化田)‧외역전(外役田)‧위전(位田)‧백정대전(白丁代田)‧사사전(寺社田)‧역전(驛田)‧외록전(外祿田)‧공해전(公廨田) 등의 설치를 통하여 관리와 군인 그리고 국역담당자의 생계를 안정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제2‧3차의 전제개혁상소에서는 세신거실(世臣居室)이 경기 이외의 외방에까지 사전(私田)을 두려는 움직임을 저지하고, 기내사전(畿內私田)의 원칙을 고수함으로써 전제개혁의 지역적 안배를 설정하였다.

1391년 5월에 정하여진 과전법은 그의 개혁안이 토대가 된 것이나, 구분전‧투화전‧백정대전에 대한 분급규정(分給規定)이 빠져 있고, 그 대신 중흥공신전의 세습에 대한 규정이 첨가되었다.

그가 여말에 올린 국정개혁안은 『주례(周禮)』에 바탕을 두어 총재(冢宰, 재상)의 권한을 강화하고, 대간과 수령의 권한을 강화하며, 양천신분제(良賤身分制)를 확립하여 국역체제를 강화하고, 경연과 서연제도를 실시하며, 학교(향교)제도를 강화하여 사장(詞章)을 폐하고 사서오경을 배우도록 할 것, 『주자가례(朱子家禮)』를 시행할 것, 의창(義倉)과 상평창(常平倉)‧사창(社倉)의 법을 시행할 것, 향리의 출사(出仕)를 억제할 것, 환자(宦者)의 정치참여를 막을 것, 과거시험에 복시제(覆試制)를 시행할 것 등 광범위한 사회개혁안을 포괄하고 있다.

그의 관제 및 사회개혁안은 정도전의 그것과 상통하는 점이 많으며, 정도전『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경제문감(經濟文鑑)』 편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太祖實錄
定宗實錄
太宗實錄
國朝人物考
松堂集
朝鮮王朝의 政治‧經濟基盤(韓永愚, 한국사 9, 국사편찬위원회, 1973)
趙仁規와 그의 家系(閔賢九, 震檀學報 42‧43, 1976‧1977)
朝鮮初期 三功臣硏究(鄭杜熙, 歷史學報 75‧76, 1977)
明初 朝鮮의 遼東攻伐計劃과 表箋問題(朴元熇, 白山學報 19, 1975)

[집필자]

한영우(韓永愚)

성명 : "조준(趙浚)"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配享趙浚領議政文忠公義安大君和領議政裴昭公太祖朝庶第南在領議政忠景公世宗壬寅追配李濟興安君景武公太祖朝駙馬世
國朝編年v01不可輕言時衆心爭相推戴或有於稠人廣坐楊言曰天命人心已有所屬何不亟爲勸進至壬申六月太宗與誾定計密與仁沃趙浚鄭道傳趙璞等五十二人協謀推戴畏太祖震怒不敢以告太宗入白神德王后以達于太祖王后亦不敢告太宗出謂誾等曰宜
國朝編年v01麗末官不籍兵諸將各占私兵號曰牌記大將○於是貶爲鷄林府尹慶尙觀察使趙璞言於知陜州權軫曰居易謂我曰吾悔信趙浚之言問曰何故居易曰當革私兵時浚與我言衛王室莫若兵强予信之不卽納牌記獲罪以至今日軫拜諫議大夫以璞之言私
國朝編年v01也上曰卿非李氏社稷臣乎何待宗親如是也臺臣皆退待罪諫官趙敍等請釋冾罪以慰人望上遂釋之○領議政平壤府院君趙浚卒太上卽位之夕召浚入臥內曰卿知漢文入自代邸夜拜宋昌爲衛將軍之意乎命捴五道兵馬策勳第一○上在潛邸嘗過浚
國朝彙鑑v1選置文學之士國初有其名而無其實至是大司憲趙璞請多置書籍令文臣之帶館閣者更日而會論經義備顧問上從之以趙浚權仲和趙璞權近爲提調官文臣五品以下充校理七品以下充說書正字尋改集賢殿爲寶文閣始置條例詳定都監下百官章
國朝彙鑑v1鮮有不敗者吾欲取官卑者子孫此兒雖議政之孫議政已老其父早世鞠於寡母端不驕逸予以諸壻觀之初納壻時以平壤伯趙浚開國元勲與同休戚以子大臨爲壻果爲睦賊所詿幾不得其死此乃諸卿所共目擊也其時李茂爲相必欲速治幾貽後笑
紀年便攷v5攘奪民田肆其貪婪大司憲趙浚劾逐之
紀年便攷v5之恩欲立仁任外兄弟李琳女謹妃之子昌爲王遂藉李穡言違太祖議定䇿旣立昌爲首相稍肆貪婪後踵李仁任所爲大司憲趙浚劾其罪流之昌寧旣而昌放敏修歸田里
紀年便攷v5戶食宲封三百戶田二百結奴婢二十口沈德符青城郡忠義伯田一百五十結奴婢十五口鄭夢周偰長壽池踴奇成石璘朴葳趙浚鄭道傳䓁七人并忠義君各田一百結奴婢十口
紀年便攷v5徐甄利川人福川熙五世孫寺尹瓉子恭愍王壬寅以進士登科官止掌令恭讓王壬申以掌令與諌官金震陽李擴等請罪趙浚鄭道傳南誾泊鄭夢周殉國坐震陽夢周之黨放流之是年麗亡遯居衿川坐不北向終身不對 漢陽太宗壬辰因其詩大臣臺
紀年便攷v5金震陽慶州人字子靜號草廬一草屋子恭愍王辛亥登科官止左常侍與諌官徐甄李擴等劾趙浚鄭道傳論道傳䟽曰施刑於不可刑之地求罪於本無罪之人施刑於不可刑者謂禑昌父子求罪於本無罪者謂李穡諸大夫也
紀年便攷v5雲巖㓜有大志博涉經史恭愍王朝登第累官止諌議大夫辛禑攻遼與鄭夢周極言其不可我太祖廢禑父子立恭讓王錄㓛臣趙浚等欲引原頫先以示意原頫嚴斥曰左脇金麟尙在而誰爲辛氏乎寧喫三斗醋不參有㓛選乃屏居躬耕于平山太祖即位授官
紀年便攷v6進靖安君太宗私邸爵号上第五子興同知密直司事南誾㝎計誾密与吏判趙仁沃判三司事趙浚忠義君鄭道傳大司成趙璞䓁五十二人協謀推戴侍中大臣裵克㢘䓁率國人奉國璽宝詣潛邸塡咽街巷 上閉門不納至晩
紀年便攷v6克廉及趙浚金士衡鄭道傳南誾䓁啓請王子諸君服御騶從不可不備用度不可不足乞於本科外加賜田圡 上曰本科百餘結不至飢寒
紀年便攷v6我太祖威德日盛中外歸心夢周乘太祖病篤嗾臺諌劾趙浚鄭道傳及素所歸心者五六人將殺之以及太祖太宗謀去夢周 太祖兄元桂婿卞仲良洩其謀於夢周夢周詣太祖邸欲觀變
紀年便攷v6不知乎太宗曰夢周䓁將淊我家豈坐而待亡乎太祖怒方盛神德王后厲色告曰公常以大將軍自䖏乃何以驚惧至是○召還趙浚䓁○䲷鄭夢周首于市揭㮄曰飾虗事誘臺諌謀害大臣擾亂國家○貶李穡于衿川尋徙驪興始放于韓州流種學種善于外王
紀年便攷v6宝詣潛邸塡咽街巷 上閉門不納至晩克廉䓁排門直入寘宝廳事上羅拜呼千歲 上不得已卽位先是鄭夢周使坮諌先劾趙浚鄭道傳南誾尹紹宗南在趙璞䓁流遠州將及上時靖安君廬于齊陵聞變馳還用鄭擢計欲使佟豆蘭殺夢周豆蘭曰我公不知
紀年便攷v6趙浚蕫役正月徵西北安州以南民十一萬九千丁就役二月晦放軍八月徵三南民七萬九千丁九月畢役城周九千九百七十五步
紀年便攷v6中不可不使知之夫人與閔無咎冘疾䓁潜備兵馬以為應變之計靖安君至闕与芳毅芳榦上黨李伯卿䓁走迎秋門召政丞趙浚金士衡䓁執道傳曰汝旣負王氏又欲負李氏耶立斬之子游泳并被誅南誾卞仲良䓁亦軍前斬之
紀年便攷v6趙浚
紀年便攷v6趙浚平壤人太尉中賛仁規曾孫版圖判書謚文靖德裕子字明仲一子明號松堂尹紹宗門人恭愍王甲寅以大殿指諭登科母吳氏
紀年便攷v6趙浚
紀年便攷v6趙浚見配享
紀年便攷v6宜安大君芳碩太祖第八子 神德王后誕生太祖壬申冊封王世子戊寅之亂趙浚等請改封世子 上謂芳碩曰於汝便矣芳碩拜辭而出太宗追殺芳蕃芳碩于都堂芳碩年十六贈五原公追封大君謚昭悼以
紀年便攷v6令文臣更日會講以趙浚權仲和趙璞權近為提調官文臣五品以下充校理說書正字尋改集賢殿為寶文閣
紀年便攷v6甲申以門蔭始仕庚申倭寇徃征盡殱恭讓王元年參中興功多智畧才堪將帥我太祖與德符及池湧奇鄭夢周偰長壽成石璘趙浚朴葳鄭道傳等是為恭讓王九㓛臣議禑昌本非王氏不可奉宗祀又有天子之命當廢假立眞乃立瑤為王是為恭讓王封德符
紀年便攷v6柳亮文化人文尚書繼祖子趙浚妹夫恭愍王乙未生字明仲己酉十五生員辛禑壬戌文壯入我 朝太宗朝策佐命功四等封文城府院君乙未拜右相謚忠景
東國歷代總目v02也鄭道傳南誾等附芳碩因上不豫托移御召諸王子入來謀害之義安大君和密告于太宗大王太宗大王殲除道傳及誾政承趙浚等請定儲嗣遂有是命
震史記略v1成法授鉞大臣巡諸道而行黜陟縣置宰驛置丞立家廟廣學校文治旣洽武威遠宣侍中鄭夢周忌威德之日盛使臺諫先劾趙浚鄭道傳南誾尹紹宗南在趙璞等流遠州將上及太祖時靖安君廬于豊德聞而馳還用鄭擢計欲使李之蘭殺夢周
震史記略v1五曰納諫諍六曰戒侈欲七曰崇節儉八曰嚴宮闈上嘉納之○策開國功臣益安大君芳毅等三十九人○監察金扶過侍中趙浚等曰雖作大家何能久居後必爲他人有矣浚聞之以告命置極刑會大護軍李扶奉常卿許■有不遜語大司憲南在請鞠治
震史記略v1芳碩爲世子二年癸酉冊宜安君芳碩爲王世子上召裵克廉趙浚等于內殿議建儲事克廉等曰時平立嫡世亂先功康妃竊大哭遂退後日更召議上重康妃意在■■芳蕃克廉等以
震史記略v1五年丙子命平壤伯趙浚監築都城正月徵西北安州以南民丁十一萬九千就役二月晦放軍八月徵江慶全三道民丁七萬九千九月畢役城周九千九
震史記略v1東○春置舍人所於義興三軍司○建成均館于文廟傍使左僕射閔霽主其事○置濟生院令各道輸鄕藥材料如惠民局從趙浚言○琉球國王遣使稱臣奉箋暹羅國遣使獻方物○秋日本遣使來聘遣秘書監朴敦之往報之○命淸海伯李之蘭招安女眞
震史記略v1不可離也備兵馬以爲應變之計靖安至闕與益安君芳毅懷安君芳幹上黨君李伯卿等走迎秋門分遣人召政丞金士衡趙浚等方對卜者占吉凶連促乃來俄而朝臣多來赴柳曼殊率子而來李茂曰此亦芳碩黨遂斬之道傳方會南誾妾家
震史記略v1無視朝之日請每月六衙日令各司具啓親裁毋得無故起復上嘉納之○因臺諫言罷家兵○置集賢殿令文臣更日會講以趙浚權仲和權近爲提調官文五品以上充校理七品以下充說書正字改集賢爲寶文閣○門下府請行歲末都目政除授之法上從
震乘總v1廣學校而置敎授文治旣洽武威遠宣天與人歸功高忌集會王西行墜馬肩輿而還侍中鄭夢周恐王威德日盛使臺諫先劾趙浚鄭道傳南誾尹紹宗南在趙璞等流遠州將以上及王時靖安豆蘭不欲害圃隱君廬于齊陵聞變馳還用鄭擢計欲使
震乘總v1丙子五年命平壤伯趙浚築都城正月徵西北安州以南民丁十一築都城萬九千就役二月晦放軍八月徵三南民丁七萬九月畢役城周九千九百七十
震乘總v1弟無咎無疾等潛備兵馬以爲應變之計太宗至闕與益安君芳毅懷安君芳幹上黨君李伯卿等走延秋門分遣人召政承趙浚金士衡等浚方對卜者占吉凶連促乃來俄而朝士多來赴斬柳曼殊者柳曼殊亦率子來李茂曰此亦芳碩黨也命
震乘總v1延英爲集賢置文學之士國初有其名而無實至是太司憲趙璞請多置書籍令文官帶館閣者更日而會論經義備顧問乃以趙浚權仲和趙璞權近爲提調官文臣五品以上充校理七品以下充說書正字改集賢爲寶行都政法文閣⊙復行都政法門下府疏
震乘總v1趙浚
羹墻錄v1後偰長壽入朝天子引見便殿備說得天下之由仍曰汝君得國亦猶是也天不與人不歸則其可以力取之哉列聖誌狀侍中趙浚上箋曰殿下與大將崔瑩廓淸十有五年毒民之群兇是殿下除殘之德在民心矣瑩與僞主謀犯遼東師渡鴨緣江殿下擧義
羹墻錄v1孫習於驕奢鮮有不敗吾欲取官卑者子孫此兒雖議政之孫議政已老其父早世鞠於寡母端不驕逸予以諸壻觀之平壤伯趙浚開國元勳與同休戚故以子大臨爲壻爲睦賊所誤幾不得其死淸平君之父居易亦坐大罪以子之故雖得令終父有罪而子爲
見睫錄v1一書云五年丙子命趙浚監築都城正月始役徵北安州以南民夫十一萬九千就役二月晦放送至八月徵江慶全三道民夫七萬九千畢役于九月云此
見睫錄v1義安君和平壤府院君趙浚興安君李濟宜城府院君南誾靑海君李之蘭漢山君趙仁沃宜寧府院君南在
見睫錄v1初高麗政亂民散太祖勳德旣隆人皆歸心太宗與同知密直司事南誾吏曹判書趙仁沃判三司事趙浚忠義君鄭道傳大司成趙璞等五十二人協謀推戴侍中裵克廉等率國人奉國璽諸潛邸塡咽街巷排門直入羅拜呼千歲上不
記聞v1卽位七年傳位爲上王十年戊子昇遐壽七十四○○錄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益安大君芳毅等三十九人○相裵克廉趙浚金士衡鄭道傳沈德符柳曼殊○配享領相平壤君文忠公趙浚義安大君和左相宜寧君忠景公南在興安君景武公李濟靑海
記聞v1太祖配享初以趙浚南誾趙仁沃爲之群議以南誾乃國家萬世之讐還止矣因太宗下敎追配崇義殿以卜謙智洪儒申崇謙庾黔弼裵玄度徐
東藩大義v1而就大順也開國之後癸酉年間國人又有致疑於上國者其說未息至戊寅攻遼之議復萌而變又生焉猶幸太祖聽用丞政趙浚之言而其事乃寢使吾東民不至於縻爛德至渥也臣又思之臣等所以蒙陛下之德者有二何者若中原板蕩群雄角逐窮寇殘
小華龜鑑v1懿神德爲京外二妻神懿薨後神德爲繼室神懿誕六男恭靖第二太宗第五神德生芳蕃芳碩○東閣雜記曰太祖嘗召裵克廉趙浚于內殿議建儲克廉等曰平時立嫡世亂先有功神德潛聽之哭聲出外浚等退議曰康后必欲立己出芳蕃狂悖遂請封芳碩爲
小華龜鑑v1裵克廉字量可(量可?)麗朝侍中元年壬申拜相星山伯諡貞節金士衡字平甫麗朝科癸酉拜相上洛伯諡翼元趙浚字明仲號松堂麗朝三司左使癸酉拜相平壤伯諡文忠鄭道傳字宗之號三峯麗朝判三司使甲戌拜相奉化伯附芳碩誅死
小華龜鑑v1益安大君芳毅太祖第三子諡安襄裵克廉趙浚金士衡竝並見上李濟太祖壻興安君附芳碩死義安大君和太祖異母弟諡襄昭鄭煕啓字■■鷄林君諡良敬李之蘭本姓佟
小華龜鑑v1義安大君和見太宗相臣錄趙浚見上南在見太宗相臣錄李濟李之蘭南誾趙仁沃竝並見上
小華龜鑑v1靖安公太宗潛邸時義安大君和益安大君芳毅見太祖勳臣錄李佇初名薆太祖壻上黨府院諡景肅趙浚金士衡見太祖相臣錄河崙趙英茂見太祖相臣錄
野乘v1立宗室㝎昌君瑤是爲恭讓王初帝冊異姓爲王我太祖與沈德符䓁㝎策立瑤爲王池涌奇鄭夢周偰長壽成石璘趙浚朴葳鄭道傳稱九㓛臣
靑野謾集v1守侍中鄭夢周忌太祖威德日盛與其黨同謀欲危太祖至是聞墜馬有喜色遣人嗾坮諫曰李某今墜馬病篤宜先剪羽翼趙浚等可圖也乃刻三司佐使趙浚政堂文學鄭道傳密直副使南誾禮曹判書尹紹宗判典校寺南在淸州牧使趙璞王下其書
國朝捷錄v01一等十五人芳毅益安大君太祖第三子裵克廉星山伯貞節公見相趙浚平壤府院君文忠公見相金士衡上洛府院君翼元公見相李濟興安君慶武公太祖妹壻和義安大君太祖異母弟昭襄公趙熙
國朝捷錄v01太祖大王室開國定社功臣領議政平壤府院君文忠公趙浚義安大君襄昭公和左議政冝寧府院君忠景公南在判中樞興安君景武公李濟門下侍中靑海君襄烈公李之蘭知密直司事
郯述v03趙 浚
重訂南漢志v1開國功臣益安大君芳毅門下侍中裵克廉平壤府院君趙浚上洛府院君金士衡興安君李濟義安大君和鷄林君鄭熙啓靑海君李之蘭宣城君南誾花山君張士吉西原君鄭摠漢山君趙
韓史綮v1壬申朝鮮太祖高皇帝康獻王元年本年七月以上繫高麗明太祖洪武二十五年秋七月乙未高麗臣裵克廉趙浚鄭道傳等與大小臣僚奉高麗傳國璽詣太祖邸呼千歲請進明日卽七月十六日太祖卽位于壽昌宮夜召浚入臥內日卿
韓史綮v1丙子五年明太祖洪武九千九二十九年春正月命平壤伯趙浚等築都城九月而畢高四十尺二寸周百七十五步其用民夫於西北而安州以南爲十一萬九千於江陵慶尙全羅三道爲七萬
韓史綮v1王之得國專賴太宗之功然王惑於康后始卽位欲擇於后所生撫安大君芳蕃及宜安大君芳碩二人以爲嗣召趙浚裵克廉等入內殿議立嗣浚等意在太宗皆曰世平立嫡世亂先有功康后聞而哭王不悅而罷他日王又召浚等議其事
韓史綮v1末於京畿江原忠淸慶尙全羅豐海東北面西北面等處置船軍防日本于是以日患久息而防戌徒苦命罷之○置集賢殿以趙浚權仲和權近等爲提調文臣五品以下充校理說書正字等官使更日入會論經義備顧問尋改殿名曰寶文閣○時諸功臣沿襲
韓史綮v1○初太祖禪位初幸咸興私邸尋返于是見王卽位尤思念芳碩兄弟而心不平乃復往咸興左贊成李之蘭等從焉○以趙浚爲議政府領議政
韓史綮v1□疾比使者至江僅登舟而未及渡使遂斬其腰太祖聞而驚悼曰朴淳良友予豈忍食前言乎遂還開城王迎于東門用趙浚言帳竿皆川竹數十造之旣進謁太祖見王怒氣又發彎弓射之王急抱帳竿以避不果中太祖投弓於地曰天也遂與還宮
韓史綮v1乙酉五年明成祖永樂三年復都漢陽○領議政趙浚卒王聞訃痛哭素膳輟朝與世子親臨殯次○以成石磷爲領議政
東國續修文獻錄v1裵克廉字量可星州人領相諡貞節趙浚字明仲號松堂平壤人領相文忠金士衡字平甫安東人上洛伯領相翼元鄭道傳字宗之號三峯奉化人文左相罪
東國續修文獻錄v1李芳毅太祖第三子益安大君裵克廉星山伯領相貞節公趙浚平壤府院君領相文忠公金士衡上洛府院君左相翼元公李濟興安府院君慶武公尙太祖女李和義安大君昭襄公太祖弟鄭
東國續修文獻錄v1靖安公太宗潛邸時李和見開國功臣李芳毅見開國功臣李佇上黨輔國尙太祖女趙浚見開國功臣金士衡見開國功臣河崙晉山府院君見相臣趙英茂見開國功臣
東國續修文獻錄v1權僖安東人八十七判書趙浚見相七十九李居易見相八十七權仲和見相八十三安景恭遜夫見功八十一黃喜見相九十李舒見相七十二成石磷見相八
國朝人物志v1星州人高麗恭愍朝文科累官至門下左侍中以廉謹稱恭讓王壬申六月十六日克廉與趙浚鄭道傳等大小臣僚及閑良耆舊奉傳國寶詣太祖邸合辭勸進入本朝仍拜左侍中策純忠奮義佐
國朝人物志v1在內謀之前參贊李茂以其謀告于靖安君靖安君與益安君芳毅等走出迎秋門召政丞趙浚金士衡等召集百官時道傳與李稷會于南誾家明燈歡笑靖安君使李叔蕃縱火焚之道
國朝人物志v1字平甫安東人上洛侯永煦孫高麗恭愍朝文科禑朝與趙浚同在諫官時稱得人恭讓朝爲三司左使贊太祖開國入本朝策一等勳封上洛伯上幸
國朝人物志v1蔭補同正高麗末累官至副元帥佐太祖倡義旋師與鄭夢周池湧奇□長壽成石璘朴葳趙浚鄭道傳等決策率宗親耆老文武臣僚啓奉定妃之命廢禑昌父予冊立恭讓王時稱九功臣入本朝錄功第
國朝人物志v1副使恭讓朝臺諫交章請誅鄭道傳下獄誾力不能救稱疾自免壬申四月諫官金震陽等論趙浚鄭道傳南誾尹紹宗南在趙璞等曰道傳起身賤地竊位堂司欲掩賤根謀去本主浚與道傳同
國朝人物志v1托禑嬖臣潘福海得之及爲郞舍喜論事恭讓深惡之每擧托潘事訾之東國通鑑及師友錄合錄趙浚嘗從紹宗學有恩憐之舊薦爲右常侍浚有章疏紹宗皆具其藁壬申以禮儀判書放于錦州入
國朝人物志v1號二櫟亭太祖異母弟高麗侍中鄭夢周嗾省憲交章請誅趙浚鄭道傳等太祖曰如此誣枉不可不辨將造朝而病不能起遣和及李濟等啓曰省憲論浚請與臺諫
國朝人物志v1賢殿大學士太祖癸酉宗源年七十奉使如明至連山站有旨阻當而還及卒上罷朝遣左侍中趙浚賚敎書致祭諡文簡人物考四男仲溫提學景良都巡問使景恭開國功臣景儉工曹典書
國朝人物志v1驪興人府院君文度公霽弟麗季文科壬申七月十三日趙浚鄭道傳等詣太祖第勸進開獨不悅形於色欹首不言南誾欲格殺之太宗曰義不可殺力止之入
國朝人物志v1牌記於是貶爲鷄林府尹時慶尙道觀察使趙璞言於知陜州權軫曰居易謂我曰吾悔信趙浚之言問曰何故居易曰當革私兵時浚與我言衛王室莫若兵強余信之不卽納牌獲罪以至今日也軫爲諫
國朝人物志v1來年十歲王手書諫臣存吾之子安國授直長後登文科恭讓朝爲諫官與金震陽等請誅趙浚鄭道傳等及鄭夢周伏節以其黨流于遠地入本朝佐太宗平朴苞難賜推忠奮義翊戴佐命功臣號封
國朝人物志v1指身長身長不及壁者果尺許元氏異之曰興申門者必此兒年十七中進士生員太祖癸酉文科平壤伯趙浚一見奇之曰公輔器也選授翰林太祖欲見實錄槩抗言不可乃已擢右司諫疏劾大臣太宗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