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백유(柳伯濡)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0BC31C720U9999X0 |
시호(諡號) | 문정(文靖) |
생년 | ?(미상)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서산(瑞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유방택(柳方澤) |

[상세내용]
유백유(柳伯濡)
생졸년 미상.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자는 순부(淳夫), 호는 저정(樗亭). 본관은 서산(瑞山).
금헌(琴軒) 유방택(柳方澤)의 아들이다.
1369년(공민왕 18)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춘추관수찬으로서 박실(朴實)‧김도(金濤) 등과 더불어 명나라 과거에 참여하였다. 우왕 때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가 되었고, 창왕 때 조준(趙浚)의 전제개혁안(田制改革案)이 주장되자 시중 이색(李穡)이 옛 법을 가벼이 고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대하는 데 찬성하여 결국 신구(新舊)의 대립을 일으켰다.
1391년(공양왕 3)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로서 전제개혁을 비난하였기 때문에 광주(光州)로 유배되었다가 조선왕조 개창 후 1407년(태종 7)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가 되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금헌(琴軒) 유방택(柳方澤)의 아들이다.
1369년(공민왕 18)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춘추관수찬으로서 박실(朴實)‧김도(金濤) 등과 더불어 명나라 과거에 참여하였다. 우왕 때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가 되었고, 창왕 때 조준(趙浚)의 전제개혁안(田制改革案)이 주장되자 시중 이색(李穡)이 옛 법을 가벼이 고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대하는 데 찬성하여 결국 신구(新舊)의 대립을 일으켰다.
1391년(공양왕 3)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로서 전제개혁을 비난하였기 때문에 광주(光州)로 유배되었다가 조선왕조 개창 후 1407년(태종 7)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가 되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太宗實錄
新增東國輿地勝覽
大東野乘
高麗史節要
太宗實錄
新增東國輿地勝覽
大東野乘
[집필자]
권인혁(權仁赫)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0-06-18 | 기년편고 5권을 참고하여 본관 서산(瑞山), 자 순부(淳夫), 호 저정(樗亭) 추가. |
2010-06-21 | 기년편고 5권을 참고하여 부친 정보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