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유용(南有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A8C720C6A9B1698X0
자(字)덕재(德哉)
호(號)소화(小華)
시호(諡號)문청(文淸)
생년1698(숙종 24)
졸년1773(영조 49)
시대조선중기
본관의령(宜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남한기(南漢紀)
청송심씨(靑松沈氏)
증조부남용익(南龍翼)
출신지서울
저서『명사정강』
저서『천의리편』
저서『뇌연집』

[상세내용]

남유용(南有容)
1698년(숙종 24)∼1773년(영조 49).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소화(小華). 서울 출신.

증조조부는 대제학 남용익(南龍翼)이고, 부친은 동지돈녕부사 남한기(南漢紀)이며, 모친은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1721년(경종 1)에 진사가 되고, 강릉참봉(康陵參奉)종묘서부봉사세자익위사시직군자감주부형조좌랑영춘현감(永春縣監)을 지낸 뒤 1740년(영조 16)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그해에 정언이 되었다.

이때에 간관은 의리를 궁극적으로 밝히는 것이 임무이므로 필요하다면 시비를 끝없이 따져야 한다는 간관지책(諫官之責)에 대한 상소를 올렸다. 이러한 주장은 그당시 탕평책을 제일의 국시로 삼고 당인(黨人)들의 자작의리(自作義理)를 배격하였던 영조에게는 대단히 거슬리는 상소이었기 때문에, 정의(旌義)에 찬배시키려 하였으나 다른 대신들의 만류로 해남으로 찬배되었다.

그뒤 1724년에 풀려나 직첩을 되돌려받았다.

1743년부터 홍문관에서 부교리부수찬응교교리 등과 세자시강원문학필선보덕 등의 직과 사간장령, 서학‧동학‧중학 등의 교수를 거쳤다.

1747년 응교로 있을 때에는 군덕10조(君德十條)를 진언하였는데 군주의 성실을 특히 강조하였다.

1748년 통정(通政)으로 승계한 뒤부터 승지판결사형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752년 가선(嘉善)으로 승계한 뒤 승문원제조대사성예조참판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 등을 거쳐, 1754년에 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이 되어 뒤에 정조가 된 세손을 세살 때 무릎에 앉혀놓고 글을 가르쳤기 때문에, 정조는 그 은덕을 오래도록 잊지 못하였다.

1755년에는 『천의리편(闡義理編)』찬집당상을 겸직하고, 비변사제조예문관제학병조참판세자좌부빈객병조참판대사헌대사성을 거치고, 1757년에는 원손사부(元孫師傅)가 되어 호랑이가죽을 하사받았다.

이어 호조참판을 거친 뒤 1758년에는 전 대제학 윤봉조(尹鳳朝)의 추천을 받아 양관(兩館)대제학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를 겸하게 되었으며, 그밖에 여러 곳의 제조직을 받은 바 있고, 1765년에는 지중추부사형조판서가 되었다.

1766년에는 정헌(正憲)으로 승계한 뒤 상소를 올려 벼슬길에서 물러났으며, 1767년 봉조하가 되어 기로소에 들어갔다.

1772년에는 『명사정강(明史正綱)』을 편찬하였으나, 그 서법이 존주지의(尊周之義)에 심히 어긋난다고 하여 영조는 못마땅하게 생각하였지만, 이는 그의 역사관이 성리학적 역사인식방법을 극복하고자 하였다는 점을 나타내준다.

이로 말미암아 장차 조선사기(朝鮮史記)를 편찬할 인물이라는 평을 받은 바 있으며, 명성왕후(明聖王后)의 측책문을 제진하여 칭송을 받았다. 인물됨이 실박하면서도 바른말을 잘하고 청백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다.

저서로는 『명사정강』『천의리편』『뇌연집』이 있으며, 작품으로는 단양에 있는 우화교비(羽化橋碑)와 해백윤세수비(海伯尹世綏碑)를 쓴 글씨가 있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古書堂集
雷淵集
朝鮮金石總覽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대표명남유용(南有容)
유용(有容)
성명남유용(南有容)
덕재(德哉)
뇌연(雷淵)

성명 : "남유용(南有容)"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小華龜鑑v19德字聖賴號冠陽眞望子趙觀彬字國輔號悔軒二憂堂泰采子歸寓兪得一壻禮判尹鳳朝字鳴叔號圃菴竹齋仁涵後孫吏參南有容字德哉號雷淵寄翁漢紀子禮判李天輔見上相臣錄李鼎輔字士受號三洲金陽澤見上相臣錄三世典文鄭宲字公華號■■
政堂故事v3當是冬臘月七七日命行堂錄弘學徐宗伋不入而待命金吾以圈事有物議不欲當命補忠淸水使趙載浩代之稱病不出乃以南有容代之南乃上書引尹伋事謂不可獨當他人所不擔之任汲亦上書言其所言無他深意相福顯重交相爭顯重謂相福初則勸使
政堂故事v4傳曰前提學命招圈點南有容不進傳曰朝鮮一文衡豈因南有容而罷乎賓廳啓以南有容以向來堂錄被斥事不來遂累下嚴敎又承傳色口傳下敎曰其君坐冷廳以待有容亦朝鮮臣子也承
政堂故事v4傳曰前提學命招圈點南有容不進傳曰朝鮮一文衡豈因南有容而罷乎賓廳啓以南有容以向來堂錄被斥事不來遂累下嚴敎又承傳色口傳下敎曰其君坐冷廳以待有容亦朝鮮臣子也承旨沈墢遞差而督之夜遂
政堂故事v4傳曰前提學命招圈點南有容不進傳曰朝鮮一文衡豈因南有容而罷乎賓廳啓以南有容以向來堂錄被斥事不來遂累下嚴敎又承傳色口傳下敎曰其君
政堂故事v4尹汲三點吳遂采李成中賓廳啓曰南有容嫌不自書其名依例添書圈點之意敢啓傳曰圈點雖行而朝命夕行事體分義寒心南有容蔚山府使除授當日赴任卽謝恩下直金陽澤落點圈單子還入李存中名下御筆抹去以雖抱韓柳之文卅載苦心宜守十二字
政堂故事v4亦朝鮮臣子也承旨沈墢遞差而督之夜遂行圈六點有容五點李存中四點尹鳳朝金陽澤尹汲三點吳遂采李成中賓廳啓曰南有容嫌不自書其名依例添書圈點之意敢啓傳曰圈點雖行而朝命夕行事體分義寒心南有容蔚山府使除授當日赴任卽謝恩下
國朝捷錄v01求祖吏判趙觀彬字國賓晦軒工判泰采子僉正成朝孫文簡公尹鳳朝字鳴叔參判飛卿孫號圃岩明遠子弟鳳韶有文名知事南有容字德哉號雷淵禮判正宗入學時典祖盆司正重父康尹漢紀棊谷曾孫金陽澤字士叔鎭圭子三代典文見相錄正宗入學典文
景孝殿郎廳先生案 參判 南有容 癸酉二月二十三日
郯述v03南有容
郯述v04領相金在魯右相鄭錫五左參贊金始炯弘提元景夏吏判鄭羽良吏參沈聖希○畐副學李鼎輔應敎南有容本館錄南泰蓍金尙耉李謂輔尹光纘尹學東林錫憲六人未參任金始煒尹尙任曺命采李奎采安成天柱李毅中八人加入
鶴塘銓攷v1都事○洪允輔南有容金聖澤
鶴塘銓攷v1康陵參奉洪啓百○南有容李鼎輔
景賢堂宣麻錄v1奉朝賀南有容謝箋同月同日
景賢堂宣麻錄v1正憲大夫行龍驤衛副司直兼世孫左副賓客致仕奉朝賀臣南有容 恭遇乾隆三十二年正月初五日聖上因臣休致之請誕降恩批特允微懇臨殿宣麻榮動簪紳兼又軫臣家貧命賜衣資食物
景賢堂宣麻錄v1奉朝賀南有容賜手書御製謝箋同月十七日
景賢堂宣麻錄v1正憲大夫行龍驤衛副司直致仕奉朝賀臣南有容 恭遇乾隆三十二年正月十四日聖上特於寢殿召對面賜八句
景賢堂宣麻錄v1正憲大夫前任大提學致仕奉朝賀臣南有容
哲命編v2軆髮膚受之父母之文又大書父子二字上喜曰以元孫示諸臣亦爲國之意也須善輔導三十三年冬十月賜虎皮於元孫師傅南有容上召元孫欲試其對語指有容問曰誰也對曰南有容也上喜曰汝於六歲己知君前臣名之禮也仍命誦童蒙先習誦之不錯一
哲命編v2孫示諸臣亦爲國之意也須善輔導三十三年冬十月賜虎皮於元孫師傅南有容上召元孫欲試其對語指有容問曰誰也對曰南有容也上喜曰汝於六歲己知君前臣名之禮也仍命誦童蒙先習誦之不錯一字上曰讀聲鏗鏘如金石也謂有容曰元孫德性漸長
上號都監儀軌事李溵預差 行司直李昌壽明聖王后玉冊文製述官奉朝賀南有容預差 行知中樞府事南泰齊書寫官行司直尹得養預差 成
上號都監儀軌單 玉冊文製述官領中樞府事金陽澤玉冊文製述官奉朝賀南有容玉冊文製述官行司直徐命膺玉冊文製述官知中樞府事黃景
上號都監儀軌聞於竹帛 不顯不承 臣諱稽首再拜 上言製述官奉朝賀南有容書寫官行司直尹得養大殿玉冊文 維歲次壬辰十一月壬辰
靑邱風雲v1顯李秉常尹淳趙文命李眞望吳瑗字伯玉號月谷工參副學□卯□□李德壽字仁老號蘖□趙觀彬□甫號悔軒南有容德哉致仕耆社辛丑司馬永睿文淸公號昏溯鄭翬良尹鳳朝金陽澤李鼎輔鄭實黃景源徐命膺李福源이페이지는
東國續修文獻錄v1全義人吏判吳瑗伯玉月谷海州人吏判李匡德存齋眞望子參判趙觀彬國甫晦軒楊州人參贊尹鳳朝鳴淑圃菴坡平人工判南有容德哉雷淵宜寧人刑判金陽澤見相鄭翬良見相李鼎輔士受三洲延安人吏判鄭實公柔延日人奉朝賀
東國續修文獻錄v1八十四工判徐命臣元直達城人七十二判尹鄭實公柔延日人七十六吏判金尙翼士弼七十三禮判安允行性之竹山人判書南有容德哉宜寧人七十五判書高夢聖季周濟州人韓翼謩見相七十九趙榮鎭季楫七十四判書兪彥述繼之杞溪人七十二知事安
國朝人物志v3字曼倩號著庵杞溪人榥玄孫英祖戊子進士官止刑曹參議受學於雷淵南有容文章夙就未弱冠有盛名潁西任魯嘗謂洪梅山直弼曰著翁之文向後百年無此作梅山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