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윤봉조(尹鳳朝)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4BD09C870B1680X0
자(字)명숙(鳴叔)
호(號)포암(圃巖)
생년1680(숙종 6)
졸년1761(영조 37)
시대조선중기
본관파평(坡平)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윤명원(尹明遠)
저서『포암집』

[상세내용]

윤봉조(尹鳳朝)
1680년(숙종 6)∼1761년(영조 3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명숙(鳴叔), 호는 포암(圃巖). 직장 윤명원(尹明遠)의 아들이다.

1699년(숙종 25) 생원이 되고, 1705년(숙종 3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지평사서정언부수찬 등을 거쳐, 1713년 암행어사가 되었다. 이어 이조좌랑부교리사인응교 등을 역임하고 승지가 되었다. 영조숙종 때의 구신을 등용하려 하므로 어느 벼슬에 누구를 쓰는 것이 옳다는 식의 말을 하여 영조에게 경박한 사람으로 인정되었다.

이조참의 방만규(方萬規)의 상소사건에 관련되어 하옥되었다가 삭주에 귀양갔으나 곧 석방되었으며, 좌의정 민진원(閔鎭遠)에 의하여 홍문관대제학에 천거되었으나 영조가 허락하지 않았다. 이광좌(李光佐)가 정권을 획득하자 정의현(旌義縣)에 귀양가서 오랫동안 안치되었다. 부제학으로 있을 때에 실록도청당상을 겸하여 『경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735년 전리(田里)에 방귀(放歸)되었다가 1741년 관직이 복구되어 공조참판이 되고, 1743년 다시 부제학이 되고 이어 지중추부사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1757년 우빈객(右賓客)판돈녕부사를 거쳐 1758년에 대제학이 되었다.

문장에 능하였으며 특히 소차(疏箚)에 능하였다.

저서로는 『포암집』이 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續朝野輯要
國朝榜目

[집필자]

유병용(兪炳勇)

명 : "봉조(鳳朝)"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辛壬紀年提要v10可矣如此悠泛奚有於言沈思少焉乃挾書一段於其中曰是可言乎初金尙官之啓尹恕敎指意陰凶外言籍籍輿情疑憤已久鳳朝所添者此也
辛壬紀年提要v10金在魯兄弟老親放送孰不欽仰日昨別單三十餘人放送之命誠曠蕩之盛德此外在謫人亦多親老一體放疏上曰別單書入鳳朝曰黃梓親年亦近六十祖父前判書欽九耋之年此亦可務一體書入乎上曰依爲之鳳朝曰斯文事陳疏被謫者亦當一體疏放
辛壬紀年提要v10眞儉竝罷職許玧禮參金興慶大憲兪命弘大諫尹鳳朝吏議除授竝牌招前判書黃一夏敍用○謝恩吏議尹鳳朝大諫兪命弘鳳朝請對入侍時被謫蒙放人別單書入閔鎭遠金在魯金取魯金希魯金祖澤黃璿李楨翊鄭亨益趙正萬李輝千趙尙絅李宜顯魚
辛壬紀年提要v10人亦多親老一體放疏上曰別單書入鳳朝曰黃梓親年亦近六十祖父前判書欽九耋之年此亦可務一體書入乎上曰依爲之鳳朝曰斯文事陳疏被謫者亦當一體疏放上曰斯文事旣處分之後元無可論竄謫者放送停擧者解罰○備忘記一鏡不道之說可
辛壬紀年提要v10儒疏批旨中等事二字復享似當入其中而猶不明白道峰復享亦當一體擧行乎上曰然矣旣曰復官等事則該曹自當稟處矣鳳朝曰復官自吏曹擧行復享自禮曹擧行矣上曰出擧條目分付兩曹又啓曰日前金在魯兄弟老親放送孰不欽仰日昨別單三十
野乘v27○丁丑欲求同接之士而難其人尹鳳韶成甫與其弟鳳朝鳴叔皆有才名鳴叔又是同庚吾季父徃見其翁明遠約與同事尹於吾戚兄弟其家貧甚無以為粮先祖喜為之供饋経歲不难
郯述v03鳳朝從弟八十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