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유용(南有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A8C720C6A9B1698X0
자(字)덕재(德哉)
호(號)소화(小華)
시호(諡號)문청(文淸)
생년1698(숙종 24)
졸년1773(영조 49)
시대조선중기
본관의령(宜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남한기(南漢紀)
청송심씨(靑松沈氏)
증조부남용익(南龍翼)
출신지서울
저서『명사정강』
저서『천의리편』
저서『뇌연집』

[상세내용]

남유용(南有容)
1698년(숙종 24)∼1773년(영조 49).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소화(小華). 서울 출신.

증조조부는 대제학 남용익(南龍翼)이고, 부친은 동지돈녕부사 남한기(南漢紀)이며, 모친은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1721년(경종 1)에 진사가 되고, 강릉참봉(康陵參奉)종묘서부봉사세자익위사시직군자감주부형조좌랑영춘현감(永春縣監)을 지낸 뒤 1740년(영조 16)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그해에 정언이 되었다.

이때에 간관은 의리를 궁극적으로 밝히는 것이 임무이므로 필요하다면 시비를 끝없이 따져야 한다는 간관지책(諫官之責)에 대한 상소를 올렸다. 이러한 주장은 그당시 탕평책을 제일의 국시로 삼고 당인(黨人)들의 자작의리(自作義理)를 배격하였던 영조에게는 대단히 거슬리는 상소이었기 때문에, 정의(旌義)에 찬배시키려 하였으나 다른 대신들의 만류로 해남으로 찬배되었다.

그뒤 1724년에 풀려나 직첩을 되돌려받았다.

1743년부터 홍문관에서 부교리부수찬응교교리 등과 세자시강원문학필선보덕 등의 직과 사간장령, 서학‧동학‧중학 등의 교수를 거쳤다.

1747년 응교로 있을 때에는 군덕10조(君德十條)를 진언하였는데 군주의 성실을 특히 강조하였다.

1748년 통정(通政)으로 승계한 뒤부터 승지판결사형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752년 가선(嘉善)으로 승계한 뒤 승문원제조대사성예조참판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 등을 거쳐, 1754년에 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이 되어 뒤에 정조가 된 세손을 세살 때 무릎에 앉혀놓고 글을 가르쳤기 때문에, 정조는 그 은덕을 오래도록 잊지 못하였다.

1755년에는 『천의리편(闡義理編)』찬집당상을 겸직하고, 비변사제조예문관제학병조참판세자좌부빈객병조참판대사헌대사성을 거치고, 1757년에는 원손사부(元孫師傅)가 되어 호랑이가죽을 하사받았다.

이어 호조참판을 거친 뒤 1758년에는 전 대제학 윤봉조(尹鳳朝)의 추천을 받아 양관(兩館)대제학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를 겸하게 되었으며, 그밖에 여러 곳의 제조직을 받은 바 있고, 1765년에는 지중추부사형조판서가 되었다.

1766년에는 정헌(正憲)으로 승계한 뒤 상소를 올려 벼슬길에서 물러났으며, 1767년 봉조하가 되어 기로소에 들어갔다.

1772년에는 『명사정강(明史正綱)』을 편찬하였으나, 그 서법이 존주지의(尊周之義)에 심히 어긋난다고 하여 영조는 못마땅하게 생각하였지만, 이는 그의 역사관이 성리학적 역사인식방법을 극복하고자 하였다는 점을 나타내준다.

이로 말미암아 장차 조선사기(朝鮮史記)를 편찬할 인물이라는 평을 받은 바 있으며, 명성왕후(明聖王后)의 측책문을 제진하여 칭송을 받았다. 인물됨이 실박하면서도 바른말을 잘하고 청백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다.

저서로는 『명사정강』『천의리편』『뇌연집』이 있으며, 작품으로는 단양에 있는 우화교비(羽化橋碑)와 해백윤세수비(海伯尹世綏碑)를 쓴 글씨가 있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古書堂集
雷淵集
朝鮮金石總覽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대표명남유용(南有容)
유용(有容)
성명남유용(南有容)
덕재(德哉)
뇌연(雷淵)

명 : "유용(有容)"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政堂故事v3不出加點臣名之事持爲臣之地耳其曰運智下圈卽指臣也於是罷南職金李亦竝罷職左相李天輔上箚論金李謂之胥失謂有容仍其職行錄甲戌正月久不行至甲戌秋乃完錄見下
政堂故事v4鮮一文衡豈因南有容而罷乎賓廳啓以南有容以向來堂錄被斥事不來遂累下嚴敎又承傳色口傳下敎曰其君坐冷廳以待有容亦朝鮮臣子也承旨沈墢遞差而督之夜遂行圈六點有容五點李存中四點尹鳳朝金陽澤尹汲三點吳遂采李成中賓廳啓曰
政堂故事v4錄被斥事不來遂累下嚴敎又承傳色口傳下敎曰其君坐冷廳以待有容亦朝鮮臣子也承旨沈墢遞差而督之夜遂行圈六點有容五點李存中四點尹鳳朝金陽澤尹汲三點吳遂采李成中賓廳啓曰南有容嫌不自書其名依例添書圈點之意敢啓傳曰圈點
國朝捷錄v01字原平丁丑七月拜右見文衡有容子祖左尹漢紀曾承旨正重高判書龍翼韓用和女丁亥重卜領相號金陵
國朝捷錄v01見相錄有容子純宗入學典文丁丑年
郯述v02有容
景賢堂宣麻錄v1微懇臨殿宣麻榮動簪紳兼又軫臣家貧命賜衣資食物德意隆厚逈出常格臣拜稽祗承不勝榮感悚惕之至謹奉箋稱謝者臣有容 誠惶誠恐稽首稽首上言伏以殘年丐退冒控三休之章榮誥賜兪
景賢堂宣麻錄v1謝者臣有容 誠惶誠恐稽首稽首上言伏以華誥臨宣方頌曠前之殊禮寶章渙降更軫垂後之永圖蹟留蘭臺榮動梓里伏念臣鈍姿難强
景賢堂宣麻錄v1親御翰墨書四言八句凡三紙面授臣等詞藻溫醇墨液焜煌如春陽噓物奎彩麗天臣有容 臣尙翼 臣聖源 稽首祇受感極涕隨不自意復近
景賢堂宣麻錄v1袞服臨景賢堂領麻訖臣有容 臣尙翼臣聖源 謹奉箋稱謝粵一日己卯
景賢堂宣麻錄v1詔臣有容 識其卷尾臣拜手言曰嗚呼天之施物慱矣語其至則不過曰各遂其性聖人則之施諸萬民亦惟曰各得其欲臣等幸遭明辰
景賢堂宣麻錄v1四十二年丙戌臣聖源 年七十粵明年丁亥臣有容 臣尙翼 亦年七十稽之禮典俱合致事乃敢相次陳章引年丐退
國朝人物志v3其人以擠公者上曰好論議護私黨非某能事也甲申拜慶尙道觀察使卒一男漢紀判決事漢紀子有容文科判書
國朝人物志v3人龍翼曾孫英祖丁未進士文科正字選入實錄廳供職甚勤筆翰華美而便捷人物考弟有容字德哉號雷淵辛丑生員進士庚申文科大提學以文章著
國朝人物志v3字元平號金陵宜寧人判書有容子爲司僕僉正正祖壬子文科歷修撰直閣累官至吏曹判書大提學純祖辛巳拜右相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