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상하(權尙夏)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D8CC0C1D558B1641X0
자(字)치도(致道)
호(號)한수재(寒水齋)
시호(諡號)문순(文純)
생년1641(인조 19)
졸년1721(경종 1)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학자 > 유생
권격(權格)
출신지서울
저서『한수재집』
저서『삼서집의(三書輯疑)』

[상세내용]

권상하(權尙夏)
1641년(인조 19)∼1721년(경종 1).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치도(致道), 호는 수암(遂菴)한수재(寒水齋).
1. 당쟁과 처신
서울 출신. 부친은 집의 권격(權格)이며, 우참찬 권상유(權尙游)의 형이다. 송준길(宋浚吉)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1660년(현종 1)에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중, 1668년에 스승 송시열좌의정 허적(許積)과의 불화로 우의정을 사직하자 유임시킬 것을 상소하였다.

1674년(숙종 즉위)에는 앞서 1659년(효종 10)에 있었던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제문제가 발생하여 송시열이 관작을 추탈당하고 덕원(德源)에 유배되는 한편, 남인이 정권을 전단하자 관계 진출을 단념하고 청풍의 산중에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할 것을 결심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여 송시열이 다시 제주에 위리안치되고 이어서 후명(後命)을 받게 되자, 유배지에 달려가 이별을 고하고 의복과 서적 등 유품을 가지고 돌아왔다.

송시열이 죽음에 임하여 남긴 유언에 따라 괴산 화양동(華陽洞)에 만동묘(萬東廟)와 대보단(大報壇)을 세워 명나라 신종(神宗: 임진왜란 때 군대를 파견하였음.)의종(毅宗: 나라가 망하자 자살함.)을 제향하였다.

숙종 재위 중에 1680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집권하고 그뒤 1689년에는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 1694년에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득세하는 등 서인과 남인간에 당쟁이 치열하였으나 이에 초연하고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그리하여 1703년 찬선, 이듬해 호조참판에 이어 1716년까지 13년간 해마다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며, 그밖에도 1705년 이조참판에 이어 찬선, 1712년에는 판윤에 이어 이조판서, 1717년 좌찬성에 이어 우의정좌의정, 1721년(경종 1)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나 사직소를 올리고 나가지 않았다.
2. 기호학자의 계승
송시열의 제자 가운데 김창협(金昌協)윤증(尹拯) 등 출중한 자가 많았으나 스승의 학문과 학통을 계승하여 뒤에 ‘사문지적전(師門之嫡傳)’으로 불릴 정도로 송시열의 수제자가 되었으며, 그와같은 학문적인 위치로 인하여 정치의 소용돌이에 관련되기도 하였다.

1715년 『가례원류』의 저작권을 둘러싸고 윤선거(尹宣擧)유계(兪棨)의 후손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자, 그 서문에서 유계의 저술임을 밝혀 소론의 영수 윤증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또, 송시열이 화를 당한 것은 “윤증윤휴(尹鑴)의 무리와 함께 조작한 것”이라고 송시열의 비문에 기록하여 유생 유규(柳奎) 등 8백여명과 대사간 이관명(李觀命), 수찬 어유귀(魚有龜) 등 소론측으로부터 비문을 수정하라는 항의를 받기도 하였다.

붕당기에 살면서도 정치현실보다는 서경덕(徐敬德)이황(李滉)기대승(奇大升)이이(李珥)성혼(成渾) 등 선유(先儒)들로부터 제기된 조선시대 성리학적 기본문제에 대하여 성리학 자체의 학적 체계나 논리적 일관성의 문제를 새로이 검토하여 보다 철저히 규명하려 하였다.

그리하여 16세기에 정립된 이황이이의 이론 중 이이송시열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하고, 그의 문인들에 의해 전개되는 호락논변(湖洛論辨)을 학파적 성격으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3. 예학적 학문이론 활성화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동이논쟁(同異論爭)인 호락논변이 제자 이간(李柬)한원진(韓元震)사이에 제기되자 ‘인성이 물성과 다른 것은 기(氣)의 국(局)이며, 인리(人理)가 곧 물리(物理)인 것은 이(理)의 통(通)이다. ’라고 한 이이의 이통기국이론(理通氣局理論)을 들어 전통적 기호학파의 학설로 한원진의 상이론(相異論)에 동조하였다.

인성‧물성의 상이론을 주장한 그 발상은 본성을 후천적인 것, 즉 기질의 다름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것임을 주장하여 동물성으로부터 분별, 보호하려는 데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본성의 문제를 물성과 관련하여 이해하려는 태도는 인성론이 자연물에까지 확대된 형이상학적 전개로서, 이황이이 이래 조선 성리학의 이론적 발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17세기 이후 성리학이 예학(禮學)에 의하여 구체적인 사회규범으로서 경직되어가는 학문풍토에서, 인성‧물성 상이론의 제기는 예학적 학문이론을 활성화하고 심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하겠다.

이단하(李端夏)박세채(朴世采)김창협 등과 교유하였으며, 문하에서 배출된 특출한 제자로는 한원진이간윤봉구(尹鳳九)채지홍(蔡之洪)이이근(李頤根)현상벽(玄尙璧)최징후(崔徵厚)성만징(成晩徵) 등 이른바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가 있다.

글씨에 능하여 작품으로 「기백이태연표(箕伯李泰淵表)」‧「형참권극화표(刑參權克和表)」‧「부사과이숙표(副司果李塾表)」등이 전한다. 청풍황강서원(黃岡書院) 등 10여 곳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한수재집』『삼서집의(三書輯疑)』 등이 있는데 『한수재집』은 1979년 양장으로 영인, 간행되었으며, 가전되던 영정을 싣고 있다.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國朝人物考
寒水齋集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49)
資料韓國儒學史草稿(李丙, 1959)
韓國儒學史(裵宗鎬, 延世大學校出版部, 1978)
湖洛論爭의 哲學史的 意義(李楠永, 第2回 東洋文化國際學術會議論文集, 1980)
湖洛兩論在道德哲學上的意義(蔡茂松, 第一回 韓國學國際學術會議論文集,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

[집필자]

김용걸(金容傑)

성명 : "권상하(權尙夏)"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9任聖周豊川人判官適子陞従曾孫孝宗辛卯生字仲思號鹿門權尙夏門人顯宗癸丑生員筮仕歷成川官止正有學行晩為性理之說與師說少異而在湖洛之間憲宗朝贈吏判祭酒謚文敬妹申光
紀年便攷v29䟽卞誣晋湖問答景宗癸卯卒官止宗簿寺主簿年六十九尙玄名在順天朴氏姓彙中弟光元字士善號白野堂遊宋時烈門與權尙夏李喜朝友善居喪晝制卛多士卞崔錫鼎編禮之失辛壬間以刑郞棄歸
紀年便攷v29金用兼謙光后孝宗丁酉生字聖輔號艮谷従事于宋時烈每有出入必使随之同門目之以聖門子貢及受後命與權尙夏執禮無憾遺書校正多出其手尹拯背師㩀義斥絶羣㐫誣辱屡次痛辨時人穪以士林中秋鶚景宗壬寅卒年六十六子尙埏號
紀年便攷v29禹世一㐲龍傍孫字執卿號孤山權尙夏門人博通衆技尤邃於易所著有看易一得中司馬以薦官止知縣
紀年便攷v29李㶊根尙馨曾孫字可久號守默權尙夏門人有學行御史薦以恬雅特授諮議官止經筵官
紀年便攷v29申愈㬅孫日華子顯宗癸丑生字伯謙號晦谷權尙夏門人兒時聞宋時烈謫絶海作詩曰北闕浮雲晦南州謫路賖茫茫嶺海外何䖏是耽羅肅宗癸未上辨誣䟽入雞嶽讀朱子書以
紀年便攷v29克展抱先軰以為使生宋時烈之世則當作入室之人英祖丁丑贈吏議弟憼字叔卿號峻節䖏士有純良之姿奇傑之氣受業於權尙夏實心向學早卒
紀年便攷v29崔徵厚朔寧人肅宗乙卯生字誠仲號梅峯權尙夏門人天資溫粹穎悟異凡自少己慨然有求道之志專拋舉業力行聖學洎遊權尙夏之門門路益正工夫益密乙未卒年四十一
紀年便攷v29崔徵厚朔寧人肅宗乙卯生字誠仲號梅峯權尙夏門人天資溫粹穎悟異凡自少己慨然有求道之志專拋舉業力行聖學洎遊權尙夏之門門路益正工夫益密乙未卒年四十一
紀年便攷v29李柬禮安人以武郡守泰貞子為伯父□□進士泰亨后肅宗丁巳生字公舉號巍巖又秋月軒權尙夏門人與尹焜相居隔一川尹西李東故相呼以泉西泉東己丑薦莊陵參奉後六年為諮議有以年少者覆難者至丙申再除歷懷
紀年便攷v29玄尚璧八莒人以宇齡子為伯父九齡后字彥明號冠峯權尙夏門人天資明透學業篤厚與李東志同道合官止洗馬所著有管峯問答
東國歷代總目v02癸巳上尊號○甲午復方喪古制○以宋儒濂溪明道伊川橫渠康節晦菴六賢配享文廟○丙申罷大司憲權尙夏職○上見家禮源流序跋譏斥尹拯疑出黨論先削副提學鄭澔官納李眞儒等言有是命士類多被譴數月竝還收
東國歷代總目v02辛丑元年淸聖祖康熙六十年前左議政權尙夏卒○尙夏字致道號遂菴又稱寒水齋宋浚吉宋時烈門人也累徵不起至是卒年八十一諡文純
爛錄v1祕算運之於冥冥之中先正文正公臣宋時烈封事有曰君父之讎不共戴天蓄積含冤金幣之中薪膽愈切繼以文純公臣權尙夏文忠公臣金壽恒閔鼎重同心協力立萬東廟以寓孤忠取據於韓退之詩一間茅屋祭昭王及張南軒立虞帝祠而祭之之
爛錄v1申殉節社之痛而時議扇訛計不果遂至慟在心故其臨絶之際楚山遺托不遑他語獨以皇廟一款惓惓書囑于故文純公臣權尙夏曰吾欲立廟祭萬曆崇禎兩皇帝而事未及就齎志而死君須與金閔兩家子孫相議爲此云竟於涒灘週甲之歲及有春秋享丁
大東彙纂v1宗朝向太后使之復位此乃以姑復婦非以叔而復嫂也厥後再廢也宋之遺臣迎入禁中此則搶攘時事非可爲例云戶曹參議權尙夏以爲金淨朴祥之疏實爲正當而愼氏終於廢斥未行封典則此先王之廢妃也勿論當時處分之當否人心抑鬱之如何其
紫橋小藏v1君而有封爲世弟以定國本之議先賢定論如此延礽君位號似當爲王世弟云判樞金宇杭趙泰采與領相議同判樞李頥命權尙夏右相趙泰耉在外不得收議上裁何如傳曰依領左相議施行○延礽君疏略曰伏以無似不肖之臣猥承萬萬不敢當之命驚
紫橋小藏v1而無或撓於庇護之言使國本固而王法行焉左相李健命以陳箚卞誣不得收議判中樞金宇杭趙泰采病不收議判樞李頥命權尙夏在外云云傳曰柳鳳輝之言如是狂妄已無鞫問之事鞫問徑斃則其罪不施且東宮又有不安之節遠地竄逐以定人言爲宜
紫橋小藏v1嚴重而無名之箚只憑錄事之言傳啓稟捧入如恐不及當該承旨宜有罰責初九日答曰旣往之事有何責罰之事乎○判府事權尙夏卒逝單子傳曰養德山林夙負重望寡昧之尊仰山林之矜式爲如何哉前後敦召至切愈懇而只緣誠薄莫回遐心缺然思想未
政堂故事v1仕對曰臣自少本爲祿仕爲擧子業赴守令意外卽被爵名萬不近似不敢出耳上曰進善閑居講學已久願聞好語對曰臣師權尙夏進對於肅廟以精一心法誠正工夫仰陳之又以朱子直字之訓敷陳聖賢之學無過於此矣又曰文正公宋時烈臨沒謂
國朝捷錄v01權尙夏
國朝捷錄v01德遠荿庵左相力主廢母宋時烈文正公左相許穆和夫眉叟文正公朴世采和叔玄石文純公左相尹拯子仁明齋文成公左相權尙夏遂庵文純公左相
肅宗大王國恤謄錄n1-1책政議同領中樞府事 李濡病勢危劇不得收議行判中樞府事權尙夏在外不 得收議大臣之意如此上裁何如傳曰仰稟于慈 殿
肅宗大王國恤謄錄n1-1책臣及知禮之臣則行 ○朝晡哭臨受杖收議 判中樞府事權尙夏以爲草野賤臣從前不敢以大臣自居而卽 今病情萬分危篤
肅宗大王國恤謄錄n1-1책惟上裁領中樞府事李濡病勢危 劇不得收議行判中樞府事權尙夏在外不得收議大臣之意 如此上裁何如傳曰依領相議施行
肅宗大王國恤謄錄n1-1책何如傳曰允 馬文 一曹單子忠淸道淸風地行判中樞府事權尙夏京畿 楊州地大司憲李喜朝江華地行司直鄭齊斗廣州地行
仁顯王后國恤謄錄n1-1책至於此罪戾重疊萬殞難贖只增惶恐伏 地竢罪而已六贊善權尙夏以爲今此下詢禮制係是大 段變通之節雖深於禮學之人亦
張禧嬪喪葬謄錄n1-1책行判中樞府事金宇 杭病不收議領中樞府事尹趾完左議政權尙夏在外不 得收議大臣之意如此上裁何如傳曰李判府事獻議
張禧嬪喪葬謄錄n1-1책杭與行判中樞府事李 議同右議政李健命以爲云云左議政權尙夏在外不得 收議大臣之意如此徽裁何如領中樞府事李以爲
孝顯王后國恤謄錄n1-1책也外此禮書無可授振蓋以齊衰杖朞服制已盡故也唯先正臣權尙夏 之說曰夫爲妻祥後禫前當着白帶是乃閭巷士庶通行之制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命九書啓臣承命 馳往于忠淸道淸風黃江村議府政左議政權尙夏處 問議則以爲臣先師文正公臣宋浚吉每於此獄極知至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行判中樞府事金宇杭 病不收議領中樞府事尹趾完左議政權尙夏右議政趙 泰采在外不得收議大臣之意如此徽裁何如令曰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實爲允當臣無容更議伏推上裁領中樞府事尹趾完左議 政權尙夏行判中樞府事趙泰采在外不得收議大臣之意如此上 裁何
靑邱風雲v1橋七十二拜金宇杭字濟仲號坐隱金海人癸巳拜父洪慶祖德承曾天善外金光赫妻父金世禛又號甲峯諡忠靖權尙夏字致道以儒進號黃岡安東人丁酉拜父格祖性源又號遂庵諡文純趙泰采字幼亮楊州人丁酉拜辛丑賜死後伸叔師
東國續修文獻錄v1仲號甲峯金海人文左相忠靖趙相愚字子直號東岡豐壤人文右相孝憲尹拯字子仁號明齋坡平人逸右相文成權尙夏字致道號遂菴安東人逸左相文純
東國續修文獻錄v1主廢母刑宋時烈英甫尤庵恩津人左相許穆和夫眉叟陽川人右相朴世采和叔玄石潘南人左相尹拯子仁明齋坡平人右相權尙夏致道遂菴安東人左相
國朝人物志v3權尙夏撰狀
國朝人物志v3之曰始雖不敢辭君之賜而宅今徙矣又何自居仍舊乎遂終身不復揭焉以早孤慨然不得從事爲己之學往見遂菴權尙夏農巖金昌協請敎諸子玄石朴世采薦于朝有子曰世光進士僉知中樞府事曰世德進士聯璧世
國朝人物志v3字公擧號巍巖禮安人水使璞孫師事遂菴權尙夏于黃江之上世稱江門八賢而柬其一也巡撫使李晚成啓于朝特拜參奉不起時年三十四後六年薦
國朝人物志v3字德昭號南塘淸州人縣監如益孫受業于寒水齋權尙夏學問先上達故游南塘之門者雖後進小生無不融會於太極五行元震嘗語其兄啓震及弟曰人生
國朝人物志v3鳳五文科大司憲鳳五與韓元震李柬李頤根玄尙璧蔡之洪韓弘祚成晚徵同受業于黃江權尙夏之門世稱江門八學士卜築德山加耶山中玉屛溪上與學者講道南塘韓元震以太極圖未發
國朝人物志v3字得運號執菴齊安人幼時人饋以新果則輒辭不受曰廟旣未薦親亦未嘗吾不可先食及長受業于權尙夏事親至孝嘗糞斷指種果供滋味植柏護先壟中夜遇盜盜奪其馬順承贈以鞭曰馬甚疲無鞭不去賊相與謂曰此必黃
國朝人物志v3朝擧遺逸爲縣監之洪學語卽知書八歲賦初月有形如太極初之句十六歲發解高等聞遂菴權尙夏講道黃江心悅遂往師之尙夏曰此非師我者也之洪旣親薰灸與其門人南塘韓元震屛溪尹
國朝人物志v3字晦甫號泉西坡平人監司希吉五代孫受業于遂菴權尙夏擧進士己亥文科持平子在謙字士益英祖庚午幸溫陽溫泉設科取士在謙中文科官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