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상하(權尙夏)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D8CC0C1D558B1641X0
자(字)치도(致道)
호(號)한수재(寒水齋)
시호(諡號)문순(文純)
생년1641(인조 19)
졸년1721(경종 1)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학자 > 유생
권격(權格)
출신지서울
저서『한수재집』
저서『삼서집의(三書輯疑)』

[상세내용]

권상하(權尙夏)
1641년(인조 19)∼1721년(경종 1).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치도(致道), 호는 수암(遂菴)한수재(寒水齋).
1. 당쟁과 처신
서울 출신. 부친은 집의 권격(權格)이며, 우참찬 권상유(權尙游)의 형이다. 송준길(宋浚吉)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1660년(현종 1)에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중, 1668년에 스승 송시열좌의정 허적(許積)과의 불화로 우의정을 사직하자 유임시킬 것을 상소하였다.

1674년(숙종 즉위)에는 앞서 1659년(효종 10)에 있었던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제문제가 발생하여 송시열이 관작을 추탈당하고 덕원(德源)에 유배되는 한편, 남인이 정권을 전단하자 관계 진출을 단념하고 청풍의 산중에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할 것을 결심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여 송시열이 다시 제주에 위리안치되고 이어서 후명(後命)을 받게 되자, 유배지에 달려가 이별을 고하고 의복과 서적 등 유품을 가지고 돌아왔다.

송시열이 죽음에 임하여 남긴 유언에 따라 괴산 화양동(華陽洞)에 만동묘(萬東廟)와 대보단(大報壇)을 세워 명나라 신종(神宗: 임진왜란 때 군대를 파견하였음.)의종(毅宗: 나라가 망하자 자살함.)을 제향하였다.

숙종 재위 중에 1680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집권하고 그뒤 1689년에는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 1694년에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득세하는 등 서인과 남인간에 당쟁이 치열하였으나 이에 초연하고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그리하여 1703년 찬선, 이듬해 호조참판에 이어 1716년까지 13년간 해마다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며, 그밖에도 1705년 이조참판에 이어 찬선, 1712년에는 판윤에 이어 이조판서, 1717년 좌찬성에 이어 우의정좌의정, 1721년(경종 1)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나 사직소를 올리고 나가지 않았다.
2. 기호학자의 계승
송시열의 제자 가운데 김창협(金昌協)윤증(尹拯) 등 출중한 자가 많았으나 스승의 학문과 학통을 계승하여 뒤에 ‘사문지적전(師門之嫡傳)’으로 불릴 정도로 송시열의 수제자가 되었으며, 그와같은 학문적인 위치로 인하여 정치의 소용돌이에 관련되기도 하였다.

1715년 『가례원류』의 저작권을 둘러싸고 윤선거(尹宣擧)유계(兪棨)의 후손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자, 그 서문에서 유계의 저술임을 밝혀 소론의 영수 윤증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또, 송시열이 화를 당한 것은 “윤증윤휴(尹鑴)의 무리와 함께 조작한 것”이라고 송시열의 비문에 기록하여 유생 유규(柳奎) 등 8백여명과 대사간 이관명(李觀命), 수찬 어유귀(魚有龜) 등 소론측으로부터 비문을 수정하라는 항의를 받기도 하였다.

붕당기에 살면서도 정치현실보다는 서경덕(徐敬德)이황(李滉)기대승(奇大升)이이(李珥)성혼(成渾) 등 선유(先儒)들로부터 제기된 조선시대 성리학적 기본문제에 대하여 성리학 자체의 학적 체계나 논리적 일관성의 문제를 새로이 검토하여 보다 철저히 규명하려 하였다.

그리하여 16세기에 정립된 이황이이의 이론 중 이이송시열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하고, 그의 문인들에 의해 전개되는 호락논변(湖洛論辨)을 학파적 성격으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3. 예학적 학문이론 활성화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동이논쟁(同異論爭)인 호락논변이 제자 이간(李柬)한원진(韓元震)사이에 제기되자 ‘인성이 물성과 다른 것은 기(氣)의 국(局)이며, 인리(人理)가 곧 물리(物理)인 것은 이(理)의 통(通)이다. ’라고 한 이이의 이통기국이론(理通氣局理論)을 들어 전통적 기호학파의 학설로 한원진의 상이론(相異論)에 동조하였다.

인성‧물성의 상이론을 주장한 그 발상은 본성을 후천적인 것, 즉 기질의 다름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것임을 주장하여 동물성으로부터 분별, 보호하려는 데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본성의 문제를 물성과 관련하여 이해하려는 태도는 인성론이 자연물에까지 확대된 형이상학적 전개로서, 이황이이 이래 조선 성리학의 이론적 발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17세기 이후 성리학이 예학(禮學)에 의하여 구체적인 사회규범으로서 경직되어가는 학문풍토에서, 인성‧물성 상이론의 제기는 예학적 학문이론을 활성화하고 심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하겠다.

이단하(李端夏)박세채(朴世采)김창협 등과 교유하였으며, 문하에서 배출된 특출한 제자로는 한원진이간윤봉구(尹鳳九)채지홍(蔡之洪)이이근(李頤根)현상벽(玄尙璧)최징후(崔徵厚)성만징(成晩徵) 등 이른바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가 있다.

글씨에 능하여 작품으로 「기백이태연표(箕伯李泰淵表)」‧「형참권극화표(刑參權克和表)」‧「부사과이숙표(副司果李塾表)」등이 전한다. 청풍황강서원(黃岡書院) 등 10여 곳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한수재집』『삼서집의(三書輯疑)』 등이 있는데 『한수재집』은 1979년 양장으로 영인, 간행되었으며, 가전되던 영정을 싣고 있다.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國朝人物考
寒水齋集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49)
資料韓國儒學史草稿(李丙, 1959)
韓國儒學史(裵宗鎬, 延世大學校出版部, 1978)
湖洛論爭의 哲學史的 意義(李楠永, 第2回 東洋文化國際學術會議論文集, 1980)
湖洛兩論在道德哲學上的意義(蔡茂松, 第一回 韓國學國際學術會議論文集,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

[집필자]

김용걸(金容傑)

명 : "상하(尙夏)"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9權尙游尙夏弟元萬石婿孝宗丙申生字季文號癯溪又晩圃初名尙有字有道肅宗甲戌登别試歷翰林銓郞副學官止吏判與兄伯仲師友
紀年便攷v29両司合啓尙夏根柢於澤普澤球申球羽翼於頣集誣賢毒正背公死黨謂國可讎謂君可叛謂父子可絶表裏和應情迹絶痛請追罪故有是命
東國歷代總目v02辛丑元年淸聖祖康熙六十年前左議政權尙夏卒○尙夏字致道號遂菴又稱寒水齋宋浚吉宋時烈門人也累徵不起至是卒年八十一諡文純
國朝人物志v3菴題其居室曰遂菴取薛文淸語也又命之曰寒水齋蓋用朱子感興詩語尤菴受禍也尙夏往迎中路尤菴握手曰學問當主朱子事業當主孝宗大義尤菴嘗有意於祠享明神宗毅宗
國朝人物志v3字季文一字有道號癯溪尙夏弟安東人肅宗甲戌文科歷翰林三司朴世堂著思辨錄上因儒疏命取其書火之令
國朝人物志v3語卽知書八歲賦初月有形如太極初之句十六歲發解高等聞遂菴權尙夏講道黃江心悅遂往師之尙夏曰此非師我者也之洪旣親薰灸與其門人南塘韓元震屛溪尹鳳九巍岩李柬持平尹焜等
國朝人物志v3字景羲號彝齋安東人文純公尙夏五世孫純祖癸酉文科善書寫憲宗壬寅人相官至領議政以事謫連山卒相臣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