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경증(李景曾)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CBDC99DB1595X0
자(字)여성(汝省)
호(號)송음(松陰)
시호(諡號)효정(孝貞)
생년1595(선조 28)
졸년1648(인조 26)
시대조선중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통(李通)
외조부유전(柳㙉)

[상세내용]

이경증(李景曾)
1595년(선조 28)∼1648년(인조 2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성(汝省), 호는 미강(眉江) 또는 송음(松陰).

부친은 군수 이통(李通)이며, 모친은 영의정 유전(柳㙉)의 딸이다. 권필(權韠)의 문인이다.

19세 때 진사가 되었으나, 당시 폐모론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두문불출하다가 인조반정 후 참봉으로 알성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처음 전적에 임명되어 정언, 예조병조좌랑을 거친 뒤 1626년(인조 4)에 다시 정언이 되었으나, 당시 계운궁우제(啓運宮虞祭)때 부원군 이귀(李貴)와의 의견차이로 파직되었다.

그뒤 다시 복직되어 전적정언‧문학을 거쳐 지평이 되었고, 정묘호란 때에는 왕이 강화로 피란을 가자 어사로서 호남에 내려가 식량조달에 큰 공을 세웠다.

그뒤 5, 6년간은 양사의 지평헌납사간을 지냈으며, 세자시강원에서 사서보덕 등을, 홍문관에서는 수찬응교 등을 여러 차례 거쳤다. 교리 때에는 경천(敬天)‧휼민(恤民)‧납간(納諫)‧용인(用人)‧숭검(崇儉)‧돈종(敦宗)‧진학(進學)‧형내(刑內) 등 8조를 진언하여, 광해군 때의 폐풍의 잔해를 쇄신하도록 주장하여 왕이 이를 가납(嘉納)하였다. 이어서 검상을 거쳐 사인형조정랑으로 승진되었다.

그뒤 청주목사응교첨지가 되었고, 병자호란 때에는 병방승지로 호종하여 공을 세움으로써 환도 이후 도승지로 승격하고, 곧이어 병조판서비변사유사군공청당상(軍功廳堂上)을 맡아 전국의 장사(將士)들의 공죄(功罪)를 잘 조사한 공으로 대사간이 되었다.

1638년에는 왜인들이 호란을 빙자하여 침구할 기세를 보이므로 그가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여 임기응변으로 일을 잘 처리하였다. 뒤에 병조판서가 되어 원접사(遠接使)로서 용만(龍灣)에 나갔다가 병으로 인하여 정직하였다가 1644년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이조판서 때에는 홍무적(洪茂績)유백증(兪伯曾) 등의 질척(疾斥)을 받았으나 왕과 다른 대간들의 인정을 받고 있었으며, 왜인들의 간교함과 민막(民瘼)의 문제를 잘 처리하였다.

이듬해에 조민(趙珉)이라는 인물을 오용(誤用)하였기 때문에 찬배(竄配)되었다.

1646년에 지중추부사로 시관이 되어 시제를 시휘(時諱)에 저촉되게 잘못함으로써 이식(李植)과 함께 삭출(削黜)되어 강교(江郊)에 은거하였다.

1649년(효종 즉위)에 신원되어 관작이 회복되었다. 시호는 효정(孝貞)이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대표명이경증(李景曾)
경증(景曾)
성명이경증(李景曾)
시호효정(孝貞)
여성(汝省)
미강(眉江)

성명 : "이경증(李景曾)"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3李景曾景顏弟柳㙉外孫仁城君姪婿宣祖乙未生字汝省號眉江學于權韠光海癸丑十九進士廢母論起歸鄕杜門仁祖反正後拜齋
紀年便攷v24弟柱國李景曾婿字國卿號竹里又泛翁鄭弘溟門人顯宗壬寅以前別檢登增廣歷三司官止禮議有文名
紀年便攷v25閔維重鼎重弟李景曾壻初宋浚吉中壻仁祖庚午生字持叔號屯村受學子浚吉戊子十九司馬孝宗庚寅登增廣歷翰林銓郞副學顯宗癸丑拜摠使
紀年便攷v30閔鎮厚維重子李景曾外孫初宋浚吉外孫中李端相婿孝宗己亥生字靜能號趾齋肅宗辛酉生壯丙寅登别試歴弘提吏判錦伯沁留衡圈官止左參
社稷署都提調先生案李景曾 庚辰二月初七日
職官考v01李景曾
宣祖大王實錄修正廳儀軌月二十三日 引見時禮曹判書李植所啓春秋館堂上南以雄李景曾 及小臣兼帶而當此修史無暇之日南以雄多病李景曾多
宣祖大王實錄修正廳儀軌摠裁官 領議政金瑬 堂上 吏曹判書南以雄 禮曹判書李景曾 吏曹判書李景奭 行上護軍李明漢 行大司憲李植 禮
國朝人物志v3上以爲悖妄命罷職出城日特敍扈還上書陳自強之策十餘條甲申以副提學論金瑬貪功濫勳李景曾受賂行私李溟偸葬民家時景曾入侍伯曾面質責之癸未子櫄以造紙別提狂出走掌令李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4-13고종실록 8권, 1871년 3월 16일조를 참고하여 시호를 효정(孝貞)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