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경진(申景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0ACBDC9C4B1575X0
자(字)군수(君受)
시호(諡號)충익(忠翼)
생년1575(선조 8)
졸년1643(인조 21)
시대조선중기
본관평산(平山)
활동분야무신 > 무신
신립(申砬)
출신지서울
공신호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일등공신(奮忠贊模立紀明倫靖社一等功臣)

[관련정보]

[상세내용]

신경진(申景禛)
1575년(선조 8)∼1643년(인조 21). 조선 인조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군수(君受). 서울 출신. 도순변사(都巡邊使) 신립(申砬)의 아들이다.

임진왜란 때 전망인(戰亡人)의 아들이라 하여 선전관으로 기용되었고, 오위도총부도사로 전보되어 무과에 급제하였다.

그뒤 태안군수담양부사를 거쳐 부산첨사가 되었으나 일본과의 화의에 반대하고, 왜사(倭使)의 접대를 거부하여 체임되었다. 이어서 갑산부사를 거쳐 함경남도병마우후(咸鏡南道兵馬虞候)로 전보되자, 체찰사 이항복(李恒福)의 요청으로 경원부사벽동군수가 되었다.

그뒤 광해군이 즉위하여 대북파(大北派)가 정권을 장악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있던 중 1620년(광해군 12) 김류(金瑬)이귀(李貴)최명길(崔鳴吉)구인후(具仁垕) 등과 모의, 그와 인척관계에 있는 능양군(綾陽君: 仁祖)을 추대하기로 하였다.

그뒤 기회를 노리다가 1622년 이귀가 평산부사가 되자 그 중군(中軍)이 되기를 자원하여 거사준비를 하고자 하였으나, 사전에 누설되어 효성령별장(曉星嶺別將)으로 쫓겨나 1623년의 인조반정에는 직접 참여하지 못하였다.

반정 직후 왕의 특명으로 공조참의병조참지에 임명되었고, 곧 병조참판이 되어 훈련(訓鍊)호위(扈衛)포도청대장을 겸하여 왕실 안전의 책임을 맡았다.

반정에 따른 논공행상 때 제일 먼저 반정계획을 세웠다 하여 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일등공신(奮忠贊模立紀明倫靖社一等功臣)에 녹훈되고, 평성군(平城君)에 봉해졌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는 훈련대장으로 어가(御駕)를 호위하였으며, 평정 후 역도에 의하여 추대되었던 흥안군(興安君) 제(瑅: 선조의 열째아들)를 처형하여 이로써 대간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그뒤 형조판서가 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강화도로 왕을 호종(扈從)하여 이듬해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러나 공을 믿고 자못 탐오(貪汚)하여 남의 집터 수천칸을 뺏은 것으로 언관의 탄핵을 받았으며, 1635년에 목릉(穆陵)‧혜릉(惠陵)의 봉심관(奉審官)으로 보수를 소홀히 하여 파직당하였다가 곧 복직되어 형조판서훈련대장을 겸하였고, 1636년 병조판서를 겸하도록 하였으나 질병을 이유로 사양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수하의 군사를 인솔하여 적의 선봉부대를 차단, 왕이 남한산성으로 피난할 여유를 주었으며, 청나라와의 화의성립 후 다시 병조판서에 임명되었다.

1637년 좌의정 최명길의 추천에 의하여 우의정이 되어 훈련도감제조를 겸하였는데, 이때 난 후의 민심수습책을 논하고 수령의 임명에 신중을 기할 것을 개진하였다.

이듬해 사은사(謝恩使)청나라에 파견되었으며 돌아와 좌의정으로 승진하자 영의정 최명길과 의논하여 승려 독보(獨步)를 은밀히 명나라에 파견, 청나라에 항복하게 된 그간의 사정을 변명하도록 하였다.

1641년 다시 사은사청나라에 들어가 구금되어 있던 김상헌(金尙憲) 등을 옹호하였으며, 1642년 청나라의 요구로 최명길이 파직되자 그 뒤를 이어 영의정에 올랐다가 병으로 사퇴, 이듬해 재차 영의정에 임명된 지 열흘도 못 되어 죽었다.

그는 무인가문출신의 손꼽히는 장재(將材)로서 인조반정을 처음부터 계획, 주도하여 인조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아서 항상 훈련도감호위청 등의 친병(親兵)을 장악하고 왕의 신변을 책임졌다.

상신(相臣)으로 있으면서 특별히 건의하여 이루어놓은 시책은 없으나, 청나라와 외교적 교섭에 능하여 청나라의 과도한 징색(徵索)과 잦은 내정간섭을 철회하게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반정 후 서인이 훈서(勳西)‧청서(淸西)로 분열하자 김류이귀김자점(金自點)심기원(沈器遠) 등과 함께 훈서의 영수가 되었으나 무신임을 들어 조정의 시비에 간여하기를 극력 회피하였으며, 오히려 송시열(宋時烈) 등의 사림을 천거하고 장용(奬用)함으로써 그들의 환심을 샀다.

한편으로는 공을 믿고 탐오한 면도 있어 식자층의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무인이면서도 김류이귀최명길 등의 문인들과도 널리 교유하였는데, 특히 김류와는 선대의 인연(瑬의 아버지 金汝岉은 申景禛의 아버지 砬의 從事官으로 충주에서 같이 전사하였다.)으로 절친한 사이였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1651년(효종 2)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고 송시열이 찬한 신도비문이 전한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孝宗實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정만조(鄭萬祚)

명 : "경진(景禛)"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9矣黃縉後到說稱此賊所恃而擧事者以都監中軍李繼先云臣欲速通于申景禛而適値上接待胡差之時故招李義培簡通于景禛憂悶之言午間金得聲等四人物色縉來言賊徒中火板橋暮當入城渠等抽身先來云臣往備局以此告之諸臣使振聲等上變
國朝捷錄v01字公獻號絅庵平山人景禛曾孫庚辰拜領祖判書㻐曾景鎭禛高砬縣監汝挺子 顯廟朝科丙戌生庚辰拜至領子聖夏孫曙曾孫大年
國朝捷錄v01父華國彈琴臺背水陣倭至自陷於水祖鍏己卯名人子景禛孫埈判書曾汝挺拭玄院五代孫聖夏都正六代孫昉文吏參七代孫大孫大顯祖靖夏文應敎
國朝捷錄v01東城直拜延安未赴移圻水後拜御將知敦景禛弟絢七代祖
郯述v03東城御將景禛弟武
國朝人物志v2縣監安士諴等執獻元帥府沈器遠申景禛以爲旣冒僭號人得以誅不聞于朝殺于軍中事聞下器遠景禛于禁獄數日釋之朝野輯要
國朝人物志v3字公獻號絅菴平山人領相景禛曾孫顯宗壬子文科歷三司吏曹判書封平川君庚辰拜右相至領議政諡忠莊國朝榜目
國朝人物志v3字季明平山人忠翼公景禛孫父垓官至都正出繼忠翼弟東城君景禋之後孝宗薪膽奮義鼙鼓興思令選勳戚家子弟勸武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