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덕형(李德泂)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355D615B1566X0
자(字)원백(遠伯)
호(號)죽천(竹泉)
시호(諡號)충숙(忠肅)
생년1566(명종 21)
졸년1645(인조 23)
시대조선중기
본관한산(韓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오(李澳)
증조부이언호(李彦浩)
외조부민원종(閔元宗)
저서『죽창한화(竹窓閑話)』
저서『송도기이(松都記異)』

[상세내용]

이덕형(李德泂)
1566년(명종 21)∼1645년(인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원백(遠伯), 호는 죽천(竹泉). 관찰사 이언호(李彦浩)의 증손으로, 호군 이오(李澳)의 아들이며, 모친은 민원종(閔元宗)의 딸이다.

1590년(선조 23)에 진사가 되고, 1596년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이어 1597년에서 1608년까지 봉교정언지평수찬부교리헌납전적‧문학‧집의교리부응교사간사예사섬시부정응교시강원보덕사도시정(司䆃寺正) 등을 거쳤다.

광해군 때에도 응교동부승지승지대사간좌부승지부제학이조참의우승지병조참판도승지 등의 경관직(京官職)과 나주목사전라감사황해감사 등의 외관직을 지냈다.

특히, 광해군영창대군(永昌大君)을 해치고 인목대비를 유폐시킬 때에 직접 반대의 입장에 서지 않고 왕의 뜻에 따르거나 아니면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였고, 광해군 말년에 도승지로 있을 때 어지러운 세태가 극도에 달하자 병을 이유로 사직하려고 소를 올렸으나 허락받지 못하였다.

인조반정을 당하여 광해군을 죽이지 말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를 본 능양군(綾陽君: 仁祖)이 그를 충신이라고 판단하여 반정후 인목대비를 맞이하는 의식에서 그를 앞세워 반정을 보고하였으며 능양군에게 어보(御寶)를 내리게 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인조 때는 한성부판윤이 되어 이괄(李适)의 난 진압에 공로가 있어 숭정(崇政)으로 승계하고, 주문사(奏聞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온 바 있다.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왕을 강화에 호종하고,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남한산성에 왕을 호종하였다. 환도 후 숭록(崇祿)으로 승계하여 예조판서판의금부사지돈녕부사우찬성 등을 지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죽창한화(竹窓閑話)』『송도기이(松都記異)』 등이 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國朝人物志
燃藜室記述
公私見聞錄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명 : "덕형(德泂)"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0曰綾陽君奉大妃舉義反正德泂曰然則何以燒宮室曰軍卒失火非故放也知敬泫然泣曰舊君何以䖏之綾陽君曰待以不死德泂等遂拜乃命李貴等備儀如西宮奉迎大妃大妃不許綾陽君遂詣西宮大妃命設先王虛位御寢殿垂簾趣嗣君入君入庭大哭
記文雜錄v1心是如乎臣矣祖嘗與故贊成臣李德泂 語及時事泣曰身爲大臣國危不得扶猶有一死以自贖仍出囊中毒藥以示之語在德泂私錄中是白置由此而觀之臣矣祖主亡與亡之心盖素所定而非臨難猝辨者明矣反正之夜宮中火起臣矣祖與其子京畿監
文獻攷略v6時上使李德泂副使吳䎘書狀洪翼漢赴京遇一相者見德泂良久曰失志人也德浻怪問何以知之相者曰眉間有滯氣以是知之時乃反正初德浻卽拜忠淸監司入爲漢城判尹實無失志
大事編年v11大臣之後豈敢愛死殿下止慈之仁非有一毫私意只爲宗社生民大計反常行權而古昔有此事此臣所以不敢抵死苦爭者也德泂曰歷代變易之際多以死生爭之臣子於此何敢率爾將順乎第今日之擧出於聖上不得已耳亦豈有一毫愛憎於其間哉此則
國朝人物志v3何起吾君安在吾不死非夫也李時白掣其肘曰幽閉母后國爲無倫綾陽以宣祖孫爲宗社爲此擧也德泂乃下拜叩頭涕泣曰願無殺舊君上嗟歎曰何爲出此言諸將欲兵之上親出聲止之以德泂職都承旨
國朝人物志v3字復初韓山人德泂從子光海庚戌進士辛酉登第仁祖反正癸亥再試一榜士又捷乙科第一爲高山察訪父韓興君
國朝人物志v3字百初韓山人贊成德泂子戊寅文科北邊遐遠文學絶少行源爲御史還白上請頒賜經史諸書以勸子弟子弟擧於鄕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