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귀영(金貴榮)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ADC0C601B1520X0
자(字)현경(顯卿)
호(號)동원(東園)
생년1520(중종 15)
졸년1593(선조 26)
시대조선전기
본관상산(商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응무(金應武)
조부김사원(金士元)
공신호평난공신(平難功臣)

[상세내용]

김귀영(金貴榮)
1520년(중종 15)∼1593년(선조 26).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자는 현경(顯卿), 호는 동원(東園).

조부는 목사 김사원(金士元)이며, 부친은 김응무(金應武)이다.

1540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47년(명종 2)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2년 뒤 예문관대교(藝文館待敎)로서 춘추관기사관을 겸하여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 곧 홍문관으로 옮겨 정자저작을 역임하고 성균관박사로 전직되었다.

이어 부수찬정언수찬을 거쳐 1555년 김홍도(金弘度)유순선(柳順善) 등과 사가독서했으며, 그해 을묘왜변이 일어나자 이조좌랑으로 도순찰사 이준경(李浚慶)종사관이 되어 광주(光州)에 파견되었다가 돌아와 이조정랑이 되었다.

이듬해 의정부검상(議政府檢詳)을 거쳐 사헌부집의로 재임중, 명나라에서 사신이 오자 예관(禮官)으로 활약한 바 있다.

1558년 홍문관전한에 올랐다가 곧 승정원동부승지로 옮겼으며, 이때 경연에서 경기내의 농민생활안정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이어 우부승지를 역임하고 이듬해 이조참의로 전직되었으나, 사간원의 탄핵으로 다시 우부승지로 체직되었다.

그뒤 한성부우윤춘천부사를 지냈고, 대사간대사헌부제학을 번갈아 역임하면서 군주의 공명정대한 처신과 윤원형(尹元衡) 첩자(妾子)의 허통(許通)문제 등에 관해 활발한 언론을 하였다. 선조 즉위 후 도승지예조판서를 역임하고, 병조판서로서 지춘추관사를 겸하여 『선조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1581년 우의정에 올랐고, 2년 뒤 좌의정이 되었다가 곧 물러나 지중추부사가 되었으며, 1589년에 평난공신(平難功臣) 2등에 녹훈되고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진 뒤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나, 조헌(趙憲)의 탄핵으로 사직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천도 논의가 있자, 이에 반대하면서 서울을 지켜 명나라의 원조를 기다리자고 주장했으며, 결국 천도가 결정되자 윤탁연(尹卓然)과 함께 임해군(臨海君)을 모시고 함경도로 피난했다가 회령에서 국경인(鞠景仁)의 반란으로 임해군과 뒤이어 피난온 순화군(順和君)과 함께 왜장 가토(加藤淸正)의 포로가 되었다.

임해군을 보호하지 못한 책임으로 관직을 삭탈당하였고, 다시 가토의 강요에 의해 강화를 요구하는 글을 받기 위해 풀려나 행재소(行在所)에 갔다가, 사헌부사간원의 탄핵으로 추국(推鞫)하여 회천으로 유배되어 가던 중 중도에서 죽었다. 숙종허적(許積)의 건의로 신원되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집필자]

장동익(張東翼)

������ : "���������(���������)"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8爲計全州府尹李潤慶浚慶之兄卽擇才人四五百名盡具綵服而去入城爲防守之計朝廷聞之以李浚慶爲都巡察使沈守慶金貴榮爲從事官金景錫南致勤爲左右防榮使進住光州羅州爲左右掎角之勢賊圍靈巖城中嘗夜驚潤慶張燭出廳事戒勿虛動如
國朝編年v09消胸中芥滯則可以相容立朝上不答未幾親政以特旨授孝元慶興府使曰此人在朝使朝廷不靖當補遠邑吏判鄭大年兵判金貴榮皆啓曰慶興極邊接近胡人非書生所宜鎭撫累啓乃命換富寧沈義謙則拜開城留守以先后至親故也於是年少士類危疑益
國朝編年v10兄爲諫長不能救止乃於正殿作妖鬼之戲可愧於古人矣○領議政朴淳將敀掃墳上曰豈可使右相獨在朝乎其速卜相淳與金貴榮僉卜而以鄭芝衍李珥及鄭惟吉三人欲卜入而貴榮固執以爲惟吉新被重䮕不可卜蓋其意欲卜朴大立李文馨相爭良久不
國朝編年v11聖試士取車雲輅等十二人○上使備邊司各薦人材朴淳薦成渾才德俱優鄭介淸才識明達金汝岉崔慶會徐益文文武才能金貴榮薦儒將金晬武將楊大樹鄭芝衍薦成渾才學卓異柳祖認忠孝大節成允諧隱居畜德鄭惟吉薦儒將尹先覺武將徐得運鄭宗
國朝編年v12云云答曰潑等罪狀斷不可議云云推原其罪亦足滅族依啓廣議二品以上收議黃廷彧兪泓金命元尹卓然朴忠侃黃琳邊協金貴榮李山海沈守慶鄭澈任說李陽元等議大槪當初旣不承款斃于杖下以證據擬罪遽加重律甚爲未穩崔興源尹根壽在家議亦
國朝編年v13永康門內六字示柳成龍兩司以領議政李山海誤國之罪啓請罷職不允○宗親請勿棄都城宗親聚閤門外痛哭領中樞府事金貴榮與諸臣入對請固守京城上下敎曰宗社在此予將何適命抄發坊里民及公私賊胥吏三醫司分守城堞計堞三萬餘而守城人
國朝編年v15如意者欲射其目長老皆憚之不敢過門及長業儒尤長於習字弱冠盡乘其學專學武事中武科補權知訓鍊院奉事兵曹判書金貴榮有孼女欲與舜臣爲妾舜臣不肯人問之舜臣曰吾初出仕路豈敢托跡權門媒進耶爲造山萬戶得罪白衣從軍時錢之役立功
紀年便攷v12違令善射者射中賊将仍大放火箭縦兵斯殺賊大潰斨首百数十級餘賊棄粮艸遁去○以李浚慶為全羅道都巡察使沈守慶金貴榮為従事領兵禦倭至羅州聞倭寇悉遁遂請班師○下書褒諭于濟州牧使金秀文灵岩敗後遁倭至濟州将欲勦掠秀文力戰却
紀年便攷v13金貴榮
紀年便攷v13和而內惡者今珥之心術未能的知不可輕以小人目之亦不敢以君子譽之傳子政院曰子以不知忠邪是非問諸大臣而左相金貴榮憚於甲乙乃敢為依阿苟容之態曾見古今大臣有如此者乎都承旨朴謹元䓁覆逆又下嚴旨貴榮辭遞嘗爲校理時上疏請雪
紀年便攷v13金貴榮得齊九世孫應武子中宗庚辰生字顯卿號東園中宗庚子生進俱中明宗丁未登謁聖歴南床翰林選湖堂歴銓郞舎人典翰宣
紀年便攷v13蓮從成守琛遊明宗丙午司馬乙卯登明經科選湖堂歴銓郞舎人副學提學選清白吏宣祖丁丑削時有頒教文製進事命文衡金貴榮製進詞意拙畧 上曰是國家大事當詞明義備以曉中外豈可草草如此乃改命後白製進清德文章爲世所宗居官盡職律身
紀年便攷v15金貴榮
紀年便攷v15金貴榮見明宗朝湖堂
紀年便攷v15金貴榮見明宗朝湖堂又見宣祖朝相臣
紀年便攷v15金貴榮
紀年便攷v15人乙亥沈金角立朝著不靖李珥見盧守慎請出両人于外守慎白 上上於親政時以特旨除孝元慶興府使吏判鄭大年兵判金貴榮䓁啓以極邉非書生所宜鎮守命換富寧因李珥啓又改為三陟府使初被奬於李滉曺植知為學之方在經幄補益弘多三爲守
紀年便攷v17地之才補天洛日之㓛又奏聞于 帝帝嘉之賜都督印至今蔵子營舜臣嘗有詩曰誓海魚龍動盟山草木知讀者垂淚初兵判金貴榮欲以庶女與舜臣為妾舜臣不肯曰吾初出仕路豈敢托跡權門媒進耶在軍七年未嘗近女色贈右相加贈左相追錄宣武元㓛
紀年便攷v18富䧺於郷里宣祖壬辰臨海順和兩王子避賊兵到會寧留数月縱豪悍奴僕侵擾民間逼責守令大失人心敬仁叛縛二王子及金貴榮黃廷彧黃赫兵使李瑛府使文夢軒穩城府使李銖等数十人馳牒送款于賊廷彧八歲孫兒裂死于眼前清正單騎入城觧縛厚
記聞v1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功臣洪可臣等四人○相閔箕洪暹吳謙被劾李鐸鄭大年被劾朴淳盧守愼姜士尙鄭惟吉被劾金貴榮鄭芝衍鄭惟吉柳㙉李山海鄭徹鄭彦信沈守慶柳成龍李陽元崔興源壬辰以後尹斗壽兪泓鄭琢金應南李元翼李德馨李恒
記聞v1尹潔尹春卿韓智源朴民獻沈守慶許曄柳順善金貴榮金弘度金質忠尹毅中金繼輝安璲明宗大提學申光漢
宣廟中興誌v1之意杞城府院君兪泓上疏請囻守京城語甚切上召泓慰諭之宗室數十人外又聚閤門外痛哭請勿棄京城領中樞府事金貴榮又入對力請曰倡儀棄城者皆奸臣也上敎曰宗社在此予將何適衆遂退出然上意已動朝遠亦無定計事不可爲矣立光海
龍問門答v1爲上疏言彦信當廷鞠之日欲斬告者之說公然肆發而此說傳播已久朝廷無一人言之是亦可愕云上問于其時同參諸臣金貴榮以爲耳聾不得聞李山海以爲日久不得記憶兪泓洪聖民皆以聞之洪聖民又爲啓之曰鄭彦信發言時臣實抗之
歷代帝王紀年v01金貴榮顯卿東皐領相姜渾卞季良春亭
國朝捷錄v01金貴榮
國朝捷錄v01奇服齋門人宣祖朝朴淳見相錄儐歐希稷李滉字景浩號退溪贊成再典塡子文純公盧守愼光州人大海父儐韓世能見相錄金貴榮見相錄李珥字叔獻號栗谷贊成元秀子九度壯元文貞公黃儐洪憲王敬民李山海見相錄柳成龍見相錄相後再典李陽元見
國朝捷錄v01易於花潭沈守慶思順侄許曄字大輝草堂監司瀚子尹毅中駱村衢子有東湖對策字致遠柳順善繼仲素齋監司蒸子晉州人金貴榮見相金弘度南厓牧使魯子忤栦姦卒文魯㒱有人使命其名敀甲故以爲小字其後連魁蓮桂果驗又謫死甲山其㒱益驗金質
靑邱風雲v1守益號七峯黃廷彧號芝川溪翁川上翁字景文金號黃江子沙溪孫愼齋槃曾益謙盧禛號玉溪字子膺金貴榮號東園鄭澈號松江字季涵奇大升號高峯李陽元號鷺渚字伯春李濟臣號淸江崔岦號簡易齋沈守慶號
韓史綮v1之向咸鏡道也先遣王妃及二王子及改向義州招王妃還而王子聽其往于時王子至曾寧府府吏鞫景仁縳王子及陪從官金貴榮等獻于淸正淸正置軍中爲質以景仁爲判刑官使制北路○以文臣崔岦爲承文院提調使掌中國咨奏文字岦於文
韓史綮v1必迪等屯慶州以備賊朝鮮亦分遣金命元李薲權慄等以應之時綎新以閩蜀兵五千繼至矣○六月淸正歸二王子及金貴榮等○都元帥金命元罷以權慄代之○先是禹性傳於幸州之役率師爲後援且出沒掠賊於畿境王聞之賞陞大司成于時
東國續修文獻錄v1叔號思庵忠州人文領相文忠盧守愼字寡悔號蘇齋光山人文領相几杖文懿姜士尙字尙之晉州人文右相貞靖金貴榮字顯卿號東園尙州人文左相壬亂陷倭鄭芝衍字衍之號南峯光弼曾孫文右相鄭惟吉字吉元號林塘光弼孫
東國續修文獻錄v1宣祖朝朴淳見相湖堂李滉見湖堂再典金貴榮見相湖堂盧守愼見相湖堂李珥見湖堂李山海見相臣湖堂再典李陽元見相湖堂柳成龍見相湖堂李德馨見相湖堂三典黃
東國續修文獻錄v1州人二相沈守慶希安聽天舍人思遜子豐山人右相許曄太暉草堂奉事澣子陽川人嶺伯柳順善繼仲參判蒸子晉州人副學金貴榮顯卿東園應武子尙州人左相平難勳金弘度重遠南厓提學魯子安東人典翰金質忠直夫忠義鏡子光州人校理尹毅中致遠
東國續修文獻錄v1柳成龍而見西厓監司仲郢子豐山人領相文忠大提學金貴榮選癸酉
東國續修文獻錄v1閔仁伯驪陽君鎭安郡守捕魁賊拜禮議文韓準淸川君黃監判書李綏南溪君告者趙球金陵君告者南嶻宜溪君捕賊晉士金貴榮見相柳琠領相參鞠兪泓見相鄭澈左相李山海左相洪聖民益城君時爲禁府堂上李準全城君刑判
東國續修文獻錄v1人八十三參贊宋贊始叔鎭川人九十四判敦沈守慶見相八十五姜暹明仲晉州人八十二判書黃琳汝溫昌原人八十一判書金貴榮見相七十四李遴叔膺永川人七十三判書安自裕李弘順興人八十一判書睦詹思可泗川人七十九參贊申湛仲卿高靈人八
國朝人物志v2選入湖堂李珥薦進三人德馨與焉鵝溪李山海以女妻之辛卯拜大提學時年三十一東園金貴榮曰年少位卑行先諸老稍待才老德熟如何德馨聞以欣然心服壬辰倭酋到忠州宣言請見德馨講和
國朝人物志v2爲小人亦不敢以成德許之辛巳拜右議政兼大提學錄平難功臣封上洛府院君入耆社上曰左相金貴榮憚於甲乙是非欲爲依阿苟容之態自古大臣有如此者乎解相家居久之趙憲上疏斥貴榮遂辭歸商山
國朝人物志v2迤向北路會寧亂民鞠敬仁等謀執王子一行致于賊賊將淸正待王子稍加禮貌以廷彧及金貴榮幽置別所而以廷彧子承旨赫爲順和君婦翁故每有要脅必使爲狀以聞後奉王子還自釜山遂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