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자광(柳子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C790AD11B1439X0
자(字)우복(于復)
생년?(미상)
졸년1512(중종 7)
시대조선전기
본관영광(靈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유규(柳規)
공신호익대공신(翊戴功臣)
공신호정국공신

[상세내용]

유자광(柳子光)
미상∼1512년(중종 7).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자는 우복(于復).

부윤 유규(柳規)의 서자이다.
1. 성품
갑사(甲士)로서 건춘문(建春門)을 지키다가,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자원하여 종군하고 돌아와서 세조의 사랑을 받아 병조정랑이 되었다. 1468년에 병조정랑으로 온양별시문과(溫陽別試文科)에 장원하였다.

1468년 예종이 즉위하자 남이(南怡) 등이 모반한다고 무고하여 익대공신(翊戴功臣) 1등, 무령군(武靈君)에 봉하여졌다. 천성이 음험하면서 재능이 있어 자기보다 임금의 사랑을 더 받는 이가 있으면 반드시 모함하였다고 알려지는데, 1476년(성종 7) 한명회(韓明澮)를 모함한 것이 드러났으나 임금이 죄를 묻지 않았다. 뒤에 임사홍(任士洪)박효원(朴孝元) 등과 함께 현석규(玄錫圭)를 배제하려다 실패하여 동래로 유배되었다가 얼마 뒤에 풀려나 공신의 봉작만 회복받았다. 이극돈(李克墩) 형제가 조정에서 권력을 잡자 몸을 굽혀 결탁하였다. 정조사(正朝使)등극사(登極使) 등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1491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2. 사초사건
일찍이 함양군에 있으면서 시를 지어 군수에게 현판하게 한 일이 있었다. 뒤에 김종직(金宗直)이 이 고을의 군수로 와서 그것을 떼어 불태워버리면서 “자광이 어떤 놈이기에 감히 이럴 수 있느냐?”라고 하였다. 그가 이를 듣고 몹시 분해하였으나, 김종직이 임금의 신임을 크게 받던 때였으므로 도리어 교분을 맺고, 김종직이 죽었을 때에는 제문을 지어 울면서 그를 왕통(王通)한유(韓愈)에 비하기까지 하였다.

이극돈이 일찍이 전라감사로 있을 때 성종의 상을 당하였는데, 궁중에 향을 바치지도 않고 기생과 놀아난 일이 있었다. 김일손(金馹孫)이 그 사실과 또 뇌물 먹은 일을 사초(史草)에 써서 이극돈이 고쳐주기를 청하였으나, 김일손이 들어주지 않으므로 감정을 품고 있었다. 1498년(연산군 4) 『성종실록』을 편찬할 때 이극돈실록청당상(實錄廳堂上)이 되어 김일손이 쓴 사초에 자기의 나쁜 일을 쓴 것과 또 세조 때의 일을 쓴 것을 보고 원한을 품었다.

이극돈총재관 어세겸(魚世謙)에게 “김일손이 선왕(世祖)을 무망(誣妄), 훼방(毁謗)하였으니 신하로서 이같은 일을 보고서 임금에게 알리지 않는 것이 옳겠습니까? 나의 생각에는 사초를 봉하여 위에 아뢰어서 처분을 기다리면 우리들은 후환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하니, 어세겸은 깜짝 놀라면서 대답하지 아니하였다.

얼마 뒤에 이극돈이 유자광에게 의논하니, 유자광은 “이것이 어찌 의심하고 주저할 일입니까?” 하고 노사신(盧思愼)윤필상(尹弼商)한치형(韓致亨)에게 가서, 먼저 자기들이 세조에게 은혜를 입었으므로 그것을 잊을 수 없다는 뜻을 말하여 그들의 마음을 움직여 놓은 뒤에야 그 일을 말하였다.

노사신윤필상은 세조의 총애를 받던 신하이고, 한치형은 그 족당이 궁중에 관련되었으므로 반드시 자기의 말에 따를 것으로 알고 말하였던 것이다. 세 사람의 동의를 받고 함께 차비문(差備門)밖에 나가서 도승지 신수근(愼守勤)을 불러내어 이야기하고 임금에게 아뢰었다.

신수근이 승지가 될 때에 대간들이 외척이 권력을 잡는 것이 옳지 않다고 힘써 간하였으므로, 신수근은 이들에게 감정을 품고 “조정은 문신들의 수중에 있는 물건이니 우리들은 무엇을 하겠는가.”라고 불평한 적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 때에 와서 김일손 등에 대한 여러 사람의 원한이 쌓여 한데 뭉치게 되었다. 연산군 또한 포학하고 학문을 좋아하지 않아 글하는 선비를 미워하였으나 감히 손을 대지 못하던 차에 유자광 등이 아뢰는 말을 듣고, “이 나라에 충성한다.”는 말로써 특별히 칭찬한 뒤 남쪽 빈청에서 죄인을 국문하도록 명하고, 내시 김자원(金子猿)을 시켜 왕명의 출납을 맡게 하고 나머지 사람은 참여하지 못하게 하였고, 유자광이 옥사를 직접 맡았다.
3. 조의제문
이때 유자광은 김종직이 지은 「조의제문(吊義帝文)」을 들추어 여러 추관(推官)에게 보이고 “이것은 세조를 가리켜 지은 것인데, 김일손의 악한 것은 모두 김종직이 가르쳐서 만든 것이다.”라고 말하고, 스스로 주석을 달아 글귀마다 해석하여 연산군으로 하여금 알기 쉽게 하고 이어 “김종직이 우리 세조를 비방하고 헐뜯었으니 마땅히 대역부도로서 논죄해야한다고 했다. 연산군은 그 말에 따라 김종직의 시문을 찾아 빈청에서 불사르게 하고, 무오년 7월 17일에 교지를 내려 김종직과 그 제자들을 사초사건과 관련지어 크게 제거하는 무오사화를 일으켰다. 이후 유자광의 권세가 조정과 민간에 군림하였다. 한때 1504년(연산군 10)에는 이극균과 사귀었다는 것으로 임사홍과 함께 직첩을 몰수당하고 경기도에 충군(充軍:군대에 편입함)되었으나, 곧바로 취소되었다.

1506년 성희안(成希顔)과의 인연으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 1등,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에 봉하여졌다. 그러나 이듬해 대간과 홍문관예문관의 탄핵으로 훈작을 삭탈당하고 광양으로 유배되었고, 이어서 평해로 옮겨졌다가 1512년에 죽었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범직(李範稷)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