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일손(金馹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77CC190B1464X0
자(字)계운(季雲)
호(號)탁영(濯纓)
호(號)소미산인(少微山人)
시호(諡號)문민(文愍)
생년1464(세조 10)
졸년1498(연산군 4)
시대조선전기
본관김해(金海)
활동분야학자 > 유생
김맹(金孟)
조부김극일(金克一)
저서『탁영집(濯纓集)』

[상세내용]

김일손(金馹孫)
1464년(세조 10)∼1498년(연산군 4). 조선 초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 또는 소미산인(少微山人).

사헌부집의 김맹(金孟)의 아들이다.

1486년(성종 17) 7월에 진사가 되고, 같은해 11월에 식년문과 갑과에 제2인으로 급제하였다. 처음 승문원에 들어가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여, 곧 정자(正字)로서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겸하게 되었다.

그뒤 진주교수(敎授)로 나갔다가 곧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가 운계정사(雲溪精舍)를 열고 학문의 연찬에 몰두하였다. 이 시기에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 들어가 정여창(鄭汝昌)강혼(姜渾) 등과 깊이 교유하였다.

다시 환로(宦路)에 들어서서 승정원주서(注書)를 거쳐 홍문관박사부수찬성균관전적사헌부장령사간원정언을 지냈으며, 다시 홍문관수찬을 거쳐 병조좌랑이조좌랑이 되었다.

그뒤 홍문관부교리교리사간원헌납이조정랑 등을 지냈는데, 관료생활 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여 학문과 문장의 깊이를 다졌다.

그리고 주로 언관(言官)에 재직하면서 문종의 비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소릉(昭陵)을 복위하라는 과감한 주장을 하였을 뿐 아니라, 훈구파의 불의‧부패 및 ‘권귀화(權貴化)’를 공격하는 반면, 사림파의 중앙정계 진출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그 결과 1498년(연산군 4)에 유자광(柳子光)이극돈(李克墩) 등 훈구파가 일으킨 무오사화에서 조의제문(弔義帝文)의 사초화(史草化) 및 소릉복위 상소 등 일련의 사실로 말미암아 능지처참의 형을 받게 되었다.

그뒤 중종반정으로 복관되었다. 그리고 중종홍문관직제학, 현종도승지, 순조이조판서가 각각 추증되었다.

17세 때까지는 할아버지 김극일(金克一)로부터 『소학』‧사서(四書)‧『통감강목(通鑑綱目)』 등을 배웠으며, 이후 김종직의 문하에 들어가 평생 사사하였다. 김종직의 문인 중에는 김굉필(金宏弼)정여창 등과 같이 ‘수기(修己)’를 지향하는 한 계열과, 사장(詞章)을 중시하면서 ‘치인(治人)’을 지향하는 다른 한 계열의 인물들이 있었는데, 후자의 대표적 인물이었다.

한편, 현실대응자세는 매우 과감하고 진취적이었는데, 소릉복위 상소나 조의제문을 사초에 수록한 사실 등에서 그 정치적 성향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세조의 즉위 사실 자체와 그로 인해 배출된 공신의 존재명분을 간접적으로 부정한 것으로서, 당시로서는 극히 모험적인 일이었다. 이같은 일련의 일들이 사림파의 잠정적인 실세(失勢)를 가져다 준 표면적인 원인이 되었다.

저서로는 『탁영집(濯纓集)』이 있으며, 「회로당기(會老堂記)」‧「속두류록(續頭流錄)」 등 26편이 『속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자계서원(紫溪書院)도동서원(道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민(文愍)이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濯纓集
佔畢齋集
景賢錄
續東文選
朝鮮前期畿湖士林派硏究(李秉烋, 一潮閣, 1984)
The Literati Purges:Political Conflict in Early Yi Korea(Wagner, E. W.,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집필자]

이병휴(李秉烋)

명 : "일손(馹孫)"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4曰任爾不食世謙與侍臺不食○親試取金驥孫等十一人上親行釋菜後御明倫堂發策試士越數日考官選十一人而金驥孫馹孫兄弟俱捷馹孫爲第一驥孫在二等上親覽試券排上甲科特賜宴于公堂以樂具慶○進賢科取李承建等四人○冬十月明淑
國朝編年v05李思恭請見不聽主命義禁府經歷洪士灝都事愼克成馳往慶尙道又命掖捷騎能走馬任中路察罪人拿來遲速飛報旣而拿馹孫至主御修文堂設鞠思愼弼啇韓致亨子光守勤注書李希舜參鞠時馹孫得風疾在咸陽家鄕鞠問史草何以誣書先朝事供曰
國朝編年v07識之遠如此故能自立於頹波之中終是不渝爲己卯完人焉乙巳復科後不就職其壻盧守愼康惟吉也墓碣○金大有字天祐馹孫之兄提學駿孫之子世居淸道公與提學公坐濯纓之禍俱謫湖南丙寅改玉恩赦明年丁卯公中庭試壯元直赴進士科以行誼
紀年便攷v10子光嘗遊咸陽作詩鏤板揭壁金宗直之守是邑也撤而去之即大喜與盧思慎尹弼啇䓁上變惟都承旨慎守勤掌出納主命拿馹孫鞫於修文堂七月下傳旨曰金宗直草茅賤臣成宗擢寘經筵久在侍從以至刑判今其弟子金馹孫所修史草中以不道之言証
紀年便攷v10賤臣成宗擢寘經筵久在侍從以至刑判今其弟子金馹孫所修史草中以不道之言証錄 先王朝事又載其師宗直吊義帝文馹孫䝺其文曰以寓忠憤我世祖大王當危疑之際誅除逆徒宗社危而復安不意宗直譏議望德至使馹孫誣書於史予今思之不覺
紀年便攷v10先是馹孫在史院錄
紀年便攷v10譏議朝廷謗訕時事極邊付䖏成重淹李宜茂徒年修史官見馹孫史艸而不卽啓魚世謙李克墩柳洵尹孝孫金銓䓁罷職左議政韓致亨䓁上箋致賀弼商思慎致亨䓁各賜田民厩馬表裏子光
紀年便攷v10又載其師宗直吊義帝文馹孫䝺其文曰以寓忠憤我世祖大王當危疑之際誅除逆徒宗社危而復安不意宗直譏議望德至使馹孫誣書於史予今思之不覺慘怛其議刑名以啓刑名以啓於是論宗直斷以大逆剖棺斬屍馹孫權五禞權景裕朋奸黨忘淩遲䖏
紀年便攷v10而復安不意宗直譏議望德至使馹孫誣書於史予今思之不覺慘怛其議刑名以啓刑名以啓於是論宗直斷以大逆剖棺斬屍馹孫權五禞權景裕朋奸黨忘淩遲䖏死李穆許磐誣餙 先玉并䖏斬姜謙杖百藉沒極邊為奴表沿沫洪瀚鄭汝昌茂豊副正摠罪
紀年便攷v10刑曹判書金宗直殺獻納金馹孫䓁先是馹孫在史院錄其師金宗直吊義帝文於史艸中至是修成宗實錄克㻻為堂上素不恱馹孫見錄其文以為意指世祖言於子光子光素啣宗直㷊詩事子光嘗遊咸陽作詩鏤板揭壁金宗直之守是邑也撤而去之即大喜
東國歷代總目v02乙卯元年皇明孝宗弘治八年○戊午追罪故判書金宗直剖其棺殺獻納金馹孫杖流前佐郞金宏弼等○馹孫修史錄宗直吊義帝文李克墩修史見其文言于柳子光子光素啣宗直謂其文譏斥○光廟遂起史獄燕山追罪宗直剖棺斬屍
歷代帝王紀年v01士永歸田里以奉廟祧後用薦直長又登第守柒原縣監三月化大行因謝歸家食時群不用事指爲僞學收其官爵卒年七十二馹孫之姪
國朝捷錄v01馹孫侄天佑三足堂
國朝人物志v1海人處士克一子世宗戊午生員進士辛酉文科執義性廉退不附勢利年七十四卒子駿孫驥孫馹孫皆登第國朝榜目孟弟勇世宗丁卯文科檢閱同上
國朝人物志v1謀亂禍機垂發誅除逆徒宗社危而復安子孫相繼以至于今功業巍巍德冠百王不意宗直與其門徒譏議聖德使馹孫誣書於史此豈一朝一夕之故陰蓄不臣之心而歷事三朝予今思之不覺慘懼其議刑名以啓七月二十七日以亂
國朝人物志v1福權景裕朋奸黨惡同聲相濟稱美其文以爲忠憤所激書諸史草欲垂不朽其罪金宗直同科竝令凌遲處死馹孫又與李穆許磐姜謙等誣飾先王所無之事傳相告語筆之於史李穆許磐竝皆處斬姜謙決杖一百
國朝人物志v1轉人玉堂與金馹孫最爲莫逆友行義大爲一世人所推重戊午禍起以佔畢齋門徒自野城拿致闕下與馹孫景裕首被極禍碪質在頸而從容就盡辭氣不少變時年三十二有集行于世從孫文海跋中宗改玉命贈
國朝人物志v1挽而哭之比於韓愈王通又金馹孫受業於宗直而疏論李克墩及開史局克墩爲堂上見馹孫史草與子光往見盧思愼尹弼商與之密告日夜鍛鍊遂爲綱打之計凡藏宗直文字者皆令自首焚於賓廳
國朝人物志v1科時年十八名聲大振中宗改玉金馹孫未伸冤希曾曰禍自史局吾輩所宜先論因抗疏陳論竟復馹孫官爵歷檢閱官止修撰己巳卒年二十四東儒師友錄希曾弟希閔字孝翁中宗
國朝人物志v1字天佑號三足堂金海人直提學駿孫之子馹孫姪丁卯進士以隱逸拜典牲直長賢良薦目曰器宇超凡識度明敏己卯文科戶曹正郞北門禍作罷科而歸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