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송기수(宋麒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A1AE30C218B1507X0
자(字)태수(台叟)
호(號)추파(楸坡)
생년1507(중종 2)
졸년1581(선조 14)
시대조선전기
본관은진(恩津)
활동분야문신 > 문신
송세충(宋世忠)
공신호추성위사보익공신(推誠衛社保翼功臣)

[상세내용]

송기수(宋麒壽)
1507년(중종 2)∼1581년(선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태수(台叟), 호는 추파(楸坡). 군수 송세충(宋世忠)의 아들이다.

1531년(중종 26)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이어서 1534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호당(湖堂)에 들어갔다.

어려서부터 농을 좋아하지 않고 학업에 열중하면서 선생이나 연장자와 교유하는 것을 즐겨 하였다.

그러나 당시 권세가이며 간신인 김안로(金安老)에게 아부하지 않아 모함에 걸려 물러나 있다가, 김안로 일당이 물러난 뒤 비로소 등용되었다.

1538년 홍문관수찬에 부임하고, 이어서 교리로 승진하였으며, 이조정랑이 되었다.

이듬해에 강원도어사로 나아가 공채(公債)를 적발하여 조정에 간하기도 하였다.

1542년 홍문관응교사헌부집의를 지내고, 1544년 홍문관직제학에 올랐다. 인종 때에 우승지를 지내고, 명종이 즉위하자 도승지가 되었다.

이때에 명종이 나이가 어려서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수렴청정을 하고 있었는데, 윤원형(尹元衡)이기(李芑)임백령(林百齡)정순붕(鄭順朋) 등과 함께 을사사화를 일으키자 도승지로서 이에 가담하여 추성위사보익공신(推誠衛社保翼功臣)3등에 책록되고, 덕은군(德恩君)에 봉하여졌다.

이듬해 사화가 일어나기 직전에 어떤 사람이 사림을 일망타진할 계획을 그에게 말하면서 “규암(圭庵: 종형 麟壽의 호)이 화를 면하지 못할 것인데, 어떻게 하겠는가.” 하니 “동산에 가시덤불이 무성한데, 그 가운데 한송이 매화가 있다면 어찌 매화가 상한다고 가시덤불을 없애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결국 송인수가 처형되자, 사람들로부터 형을 모함한 공신으로 지목받았다.

1546년(명종 1)에 호조참판이조참판을 역임하고, 이어서 외직으로 경기도관찰사강원도관찰사를 지냈다.

1550년 다시 내직으로 들어와서 형조참판공조참판을 지내고, 잠시 병을 칭탁하여 사직하였다.

1555년 이조참판으로 등용되고 이어 형조참판을 역임하였는데, 형조참판으로서 성절사 겸 사은사(聖節使兼謝恩使)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서 지동지중추부사(知同知中樞府事)예조참판을 지내고, 1559년 명종의 특명으로 한성부판윤이 되었으며, 곧 이어 대사헌이 되었다.

당시 명종은 성년이 되면서 윤원형의 전횡을 싫어하여 사림의 인물을 뽑아 대간에 배치하였는데, 그 중의 한 사람이 되었다. 그리하여 정사를 바로 하고, 1565년 문정왕후가 죽자 윤원형의 관직을 삭탈하고 귀양을 보냈다.

그 동안 예조판서를 거쳐 이조판서에 올랐는데, 윤원형이 제거되자 을사사화 이후에 죄를 입은 당대의 명사들을 다시 등용하였다. 이어 좌참찬을 거쳐 형조판서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567년 명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덕흥군(德興君)의 제3자인 하성군(河城君)으로 대통을 잇게 하였는데, 이때 여러 대신들에 의하여 입승(入承: 방계로 임금의 대를 잇는 것)의절의 논의가 분분하였다.

이때 그가 경전에 의거하여 사군(嗣君)은 마땅히 오모백포(烏帽白袍)를 입고 소여(小輿)를 타고서 광화문 서협(西夾)으로 들어와야 한다고 주장하여 의절이 정해졌다.

이황(李滉)과 친숙하였으며, 선조초에는 경연에서 학문을 강론하면서 자문구실도 많이 하였다.

1570년(선조 3) 이조판서를 다시 역임, 이듬해에 경상도관찰사가 되어 선정을 폈다.

1573년 좌참찬을 거쳐 호조판서가 되었다가 기로소에 들어갔다.

4조(朝)를 섬기면서 부귀와 장수를 누렸으나, 을사사화에 가담하였다고 하여 사림의 지탄을 받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집필자]

최완기(崔完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