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언각(鄭彦慤)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5B8AC01B1498X0
자(字)근부(謹夫)
생년1498(연산군 4)
졸년1556(명종 11)
시대조선전기
본관해주(海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희검(鄭希儉)

[상세내용]

정언각(鄭彦慤)
1498년(연산군 4)∼1556년(명종 11).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근부(謹夫). 진사 정희검(鄭希儉)의 아들이다.

1516년(중종 11) 생원이 되고, 1533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을 거쳐 1537년 박사에 이어 정언지평장령교리응교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546년(명종 1) 직제학으로 춘추관편수관을 겸하여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사옹원정검상사인 등을 지냈고, 1547년 부제학으로 재임시 경기도 양재역(良才驛)에서 “여왕이 집정하고 간신 이기(李芑) 등이 권세를 자행(恣行)하여 나라가 장차 망하려고 하니 이를 보고만 있을 것인가.”라는 익명의 벽서를 발견, 이기정순붕(鄭順朋) 등에게 알림으로써 벽서사건을 일으켰다.

이로 인하여 을사사화의 잔당이 아직 남아 있다고 하여 봉성군(鳳城君: 중종의 아들)송인수(宋麟壽)이약빙(李若氷) 등을 죽이고, 권벌(權橃)이언적(李彦迪) 등 20여명을 유배시킴으로써 윤원형(尹元衡)일파가 정권을 장악하게 하였으며, 그 권세를 빌려 온갖 횡포를 자행하였다.

도승지판결사를 거쳐 1551년 전라도관찰사로서 이열(李悅)의 노비를 약탈하여 파직되기도 하였다.

이듬해 동지중추부사로 다시 등용,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고, 경상도관찰사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1556년 경기도관찰사로 있을 때 낙마하여 비참하게 죽었다.

1570년(선조 3) 관작이 추탈되었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明宗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朝野輯要
大東野乘

[집필자]

이범직(李範稷)

성명 : "정언각(鄭彦慤)"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鄭彦慤誣告良才驛壁書復治乙巳餘人朱獜壽林亨秀等皆坐死後竝伸雪
國朝編年v08廟喪畢上冕服出臨勤政殿上大王大妃尊號曰恭懿百官陳賀權停禮○行中殿冊封禮○是月復論乙巳餘人殺鳳城君岏等鄭彦慤時爲副學宣傳官李櫓以一封書入啓曰臣彦慤女子從夫歸全羅道送至良才驛見壁上有書關重國家故取來封進傳曰此不
國朝編年v09也酷加陰刑極其慘毒瑠不勝其苦欲誣服速死而不得其說推官敎之乃得取招鳳城之死出於金明胤之讒口壁書之禍生於鄭彦慤之毒手忠州之獄始於同氣之䦧墻成於元兇之鍜鍊紛紛告變者不知其幾此由罔蔽君上羅織忠賢寃痛極天擧國之人莫不
國朝編年v10以眇末之資叨守艱大之業仰體皇考之志親承慈后之敎當丁卯之權收用舊人逮庚午之廷諍略採公論李芑鄭順朋林百齡鄭彦慤等奪其官柳灌柳仁淑等滌其逆名丁未己酉被罪之人復其職牒還其籍沒一國之人雖欲盡革先朝之事未敢輕議顧輿情之
國朝彙鑑v1船潛行諸島者依憑采葛登山橫行者永勿許接其船一凡約束一從鎭將之令違者重則三年輕則二年勿許接秋九月副提學鄭彦慤以良才驛壁書有怨望語封進之尹元衡使領議政尹仁鏡左議政李芑右議政鄭順朋等列書應罪人入啓于大王大妃於是鳳
郯述v04鄭彦慤
韓史綮v1馬島主所知朝鮮宜赦之春二月乃與日本修定條約○時有人於良才驛壁匿名揭書有女主執政國將亡之語秋九月副提學鄭彦慤得而進之尹元衡以爲是尹任餘黨所爲使領議政尹仁鏡及李芑等曰王將尹任獄覆獻於是宋麟壽李若氷林亨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