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혁연(柳赫然)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D601C5F0B1616X0
자(字)회이(晦爾)
호(號)야당(野堂)
시호(諡號)무민(武愍)
생년1616(광해군 8)
졸년1680(숙종 6)
시대조선중기
본관진주(晉州)
활동분야무신 > 무신
유효걸(柳孝傑)

[상세내용]

유혁연(柳赫然)
1616년(광해군 8)∼1680년(숙종 6).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土]). 자는 회이(晦爾), 호는 야당(野堂). 유효걸(柳孝傑)의 아들이다.

대대로 무신집안에서 자랐으며, 1644년(인조 22) 무과에 급제하여 덕산현감선천부사를 역임하였다.

1653년(효종 4) 6월 황해도병마절도사로 승진되고, 이듬해에 수원부사로 부임하였는데, 이때 군병과 기계를 잘 정비하여 효종으로부터 내구마(內廏馬)를 하사받았다. 당시 효종은 북벌을 염두에 두고 군비확충 및 국방에 진력하던 때여서 이에 적임한 무장을 찾고 있던 중, 그는 여러 문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약 승지로 발탁되었다.

그뒤 이완(李浣)과 더불어 쌍벽을 이루면서 효종의 북벌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듬해 5월 충청병사로 부임하였다가 11월에는 삼도수군통제사에 승서되었다.

1656년 10월 공조참판이 되었다가 곧이어 어영대장으로 승서되었다. 당시는 당쟁이 서서히 격화되던 때이기 때문에 남인계열로 지목되어, 북벌에 대한 뜻은 같이하면서도 서인계열인 송시열(宋時烈) 등은 그를 싫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효종의 신임이 매우 두터워서 형조참판한성좌윤 등을 역임하면서도 군직을 그대로 맡고 있었다. 김수항(金壽恒) 등의 문신들로부터 국왕에게 아뢰는언사(言辭)가 외잡함과, 대신에 대한 비례(非禮)로 탄핵을 받아 동지중추부사지중추부사 등의 한직으로 밀려나기는 하였으나 수도방어의 핵심군영으로 발전한 어영청의 대장직에서 물러나지는 않았다.

1669년(현종 10) 3월에는 현종온양온천으로 요양차 행행할 때, 그는 어영대장으로서 호위의 책임을 다하지 못하였다는 문신들의 탄핵에 의하여 도제조(都提調)로 군직 일선에서 물러났다가 다시 우포도대장이 되었다. 현종 때에는 급료병인 5,000여명의 훈련도감병 운영비가 지나치게 많이 들어가 이에 대한 논의가 많았다.

이에 그는 호(戶)‧보(保)로 편제되는 훈련별대(訓鍊別隊)를 창설하여 급료병의 수를 줄여 재정의 곤란을 덜고 군액(軍額)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 훈련별대는 뒤에 병조의 정초군(精抄軍)과 합하여 금위영(禁衛營)으로 합설되었다.

이와같은 공로로 그해 10월 다시 공조판서로 승서되었으나 문인들의 반발로 중추부로 돌아갔다가 12월에는 형조판서, 그리고 이듬해 8월에는 다시 공조판서로 승서되었다.

1673년 정월 지중추부사로 물러났다가 다시 훈련대장한성판윤포도대장을 역임하고 그해 12월에 다시 훈련도감으로 돌아와 군직에 머물렀다. 숙종 때에는 한성판윤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으나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숙청될 때 이에 연루되어 경상도 영해로 유배되었다.

그는 무예에 뛰어나 무신의 시사(試射)에서 줄곧 수석을 차지하였으며 전략‧군사행정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

북방민족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방략으로 그는 북방지역의 길가에는 여러 나무들을 무성하게 심어 기병들의 내습을 막자고 하였고, 화차(火車)의 사용 권장, 병서(兵書)의 연구를 강력하게 내세웠으며, 글씨나 죽화(竹畵)에도 뛰어났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신원되어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참고문헌]

孝宗實錄
顯宗實錄
肅宗實錄
燃藜室記述
黨議通略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성명 : "유혁연(柳赫然)"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1命備邊司選儒將以洪處厚成楚客洪重普申洬奇震興李禬柳淰等七人啓又選武臣不次擢用者崔廷顯柳赫然等十人
紀年便攷v25柳赫然孝傑子南以興外孫光海丙辰生字晦甫號野堂仁祖甲申登武科以文筆名于世被李浣別薦歷黃兵忠兵北兵統使與李浣際
紀年便攷v26御營大將柳赫然奏曰我國有產硫黃之地而貿於他國不䏻繼用今送于珎山郡採取之此外亦多有產地而郡邑畏其貽獘皆掩敝宜令廟堂施
紀年便攷v26時都監軍兵有名無實徒費國廪人皆有尾大難掉之憂宋時烈請作御營兵制改設新軍而罷都監許積柳赫然力賛之上决意行之於是名新軍曰訓鍊别隊其舊軍之逃散者亦皆充補
紀年便攷v27外乃使各殿紅袖至為有子之人其傷壞殿下家法為何如㢤㐲乞推恩施法早决量䖏焉翌夜上御宣政殿許積権大運張善徵柳赫然申汝哲金徽尹深䓁入侍極言禎柟䓁之寃王大妃時在帷後乃大聲哭責積䓁曰汝以累朝奮臣受恩如何而不恩報效敢以吾
紀年便攷v27領議政許積建白訓錬大将柳赫然監築也
紀年便攷v27柳赫然
紀年便攷v27斬之光城金萬基亦不可不除去云㒖送其書於金錫冑於是大臣諸宰請對許積曰若不早為善䖏将無以折奸萌鎮人心閔煕柳赫然尹鐫金錫冑䓁皆請全恩上曰焜臨昌君熀臨城君并絶島安寘乃命李㒖庭鞫壓膝烙刑不服而死有偵購捕刑一次承服䖏斬
紀年便攷v27然福善君柟䓁君右以西人與者吳斗寅李端相数人而金萬基薄暮始至掖隷還奏上聞其黨衆勢張决意除芟即命留門牌招柳赫然申汝哲金萬基卽席承牌而起積前摻萬基手曰此何舉措公知之萬基荅以不知拂衣而出座間奠不失色柳命天謂積曰今此
紀年便攷v27以御帳及進宴時所排板索䓁物并皆持去上怒曰御用帷幄任意持去韓明潧之所不為也卽命掖隷徃偵之見一時権宰畢集柳赫然福善君柟䓁君右以西人與者吳斗寅李端相数人而金萬基薄暮始至掖隷還奏上聞其黨衆勢張决意除芟即命留門牌招柳
紀年便攷v27老南部叅奉除授初積鐫䓁密議假托大義别設軆府於積家園邊積為都軆察使兼総両局輦轂兵旋罷再設時忽稱八道兼管柳赫然擅設兵屯遂興不逞之徒日夜聚會謀議陰秘又廣募力士招納不軌窺上動靜詗察朝紳至是堅與李元楨吳挺昌李台瑞宗
紀年便攷v27保社勳過数月元成又上變曰元老與吳挺昌通謀後諱之其外兄趙彬目見書尺徃復云遂再設鞫吳挺昌崔萬說趙挺時㐲誅柳赫然賜死李元楨趙熤物故元老堂古介行刑李元成追錄保社勳後勿論也
紀年便攷v27鐫復官賜祭○罪人李光漢李金重夏金煥䖏斬金益勳朴斌物故李立身南斗北并瘐死獄中○特贈趙持謙正卿韓泰東亞卿柳赫然李壽慶并復官左議政睦來善以持謙泰東挺身頹波獨持正論合有褒獎之道請特贈赫然䓁請復官○命削誣告人保社勳號
大東彙纂v1就獄納招箇箇發明判付內信聽人言至使骨肉至親陷於不測不勝痛泣竝爲放釋翌日夜對備局諸堂許積權大運張善徵柳赫然申汝哲金徽尹深等上張燭東向坐諸臣入閤內有哭聲積曰此必慈殿親臨也因請至近之地入侍未安臣等當少退殿下入
我我錄v1社相謂之斷然無罪也但其謀逆云云則曾以爲非公案矣今聞子之說稍解前日之疑矣然吳始壽則文谷金壽恒以私嫌殺之柳赫然則淸城金錫胄引誘而殺之兩人之死果然冤矣子亦知之乎余曰所謂私嫌所謂引誘之事則余未知之也然吳始壽則與鐫積
我我錄v1獄起也尤翁力爲救解曰渠豈全然誣罔者乎恐猶有活理也閔驪陽維重語人曰迂哉大老也以此推之或有間於鐫積耶至於柳赫然事則時以訓將受積之指揮擅設伊川土團屯兵以爲相應之資未知柳不知堅之謀逆而置其屯兵耶抑亦知其叛意而設之者
龍問門答v1社相謂之斷然無罪但其逆謀云則以爲非公案矣今聞子之說稍解前日之疑然吳始壽則文谷金相壽恒以私嫌殺之柳赫然則淸城金錫胄誘引而殺之兩人之死果然冤矣子亦知之乎余曰所謂私嫌與誘引之事余未知之然吳始壽則與䥴穆
國朝捷錄v01斗緖孝彦恭齋善道曾孫進士李宜炳梧亭進縣監字文仲李匡師進士見文章正英曾孫眞伩儒子朴弼琦稚圭無臭翁奉朝賀柳赫然德章從祖武判書統制使孝源五代祖尹汲梧陰後判書金相淑相臣相福弟縣監號比窩在田曾祖曺命教號澹雲齋提學允亨
武陞資錄武兵使戊子 申景琥 武知中辛卯 申㻐 蔭判書癸巳 柳赫然 訓丙申 南斗柄 武工參丙申 顯宗 李汝發 訓己
職官考v01柳赫然
御營廳都謄錄n1-2책近例議大臣薦望之意敢啓答曰知道大將望統制使(부호)柳赫然左尹具仁墍春川府使金應海
御營廳都謄錄n1-2책 丙申十二月初八日 傳曰御營大將柳赫然之上來未易其間莫重軍務決不可付之於生疏中軍都提調姑
御營廳習陣及捉虎謄錄 丁酉四月初十日 大將柳赫然 丁酉四月初十日大將柳赫然今四月十一日習陣日次而客行在於畿境依前退行 計料爲
御營廳習陣及捉虎謄錄都提調意 延陽府院君 啓曰明日習陣事旣已啓下而大將柳赫然今日遽 遭外祖母喪習陣重事勢難代行待大將成賑後 退
御營廳習陣及捉虎謄錄初十日 己亥四月初十日今四月十一日習陣日次而大將臣柳赫然以身病不得操鍊 爲白臥乎事
御營廳習陣及捉虎謄錄九日 戊申七月二十九日來八月初一日習陣日次而大將臣柳赫然社稷差祭進 去退行計料爲白臥乎事
御營廳抄謄錄n1-1책順治十三年孝宗七年大將申㻐柳赫然南斗杓
御營廳抄謄錄n1-1책各道所屬軍兵邑以中兼把管察事大將申㻐草記節目新大將柳赫然統營上來間都提調兼察事傳敎營貨所負人嚴囚督捧事草記
御營廳抄謄錄n1-1책大將柳赫然
御營廳抄謄錄n1-1책大將柳赫然
御營廳抄謄錄n1-1책順治十六年顯宗朝元年大將柳赫然
御營廳抄謄錄n1-1책大將柳赫然
御營廳抄謄錄n1-1책康熙元年大將柳赫然
御營廳抄謄錄n1-1책康熙二年顯宗朝五年大將柳赫然
御營廳抄謄錄n1-1책 甲辰年 甲辰大將柳赫然御營前中軍朴而昭別將差下事大將筵稟步軍中日時片箭添
御營廳抄謄錄n1-1책大將柳赫然
御營廳抄謄錄n1-1책康熙五年顯宗八年大將柳赫然
御營廳抄謄錄n1-1책大將柳赫然
御營廳抄謄錄n1-1책柳赫然李汝發
靑邱風雲v1金壽恒抗章力討鑴等計不售庚申金錫胄金萬基等發積堅諸南人逆謀上亟命鞫得其狀於是尹鑴許積許堅吳挺昌柳赫然李元楨趙䃏等皆死而餘黨竄廢西人遂復當國壬戌又有許璽許瑛逆獄自庚申亂後金錫胄實受上旨偵察諸南人逆節
大事編年v15李元楨刑七次壓滕不服物故院啓柳赫然嚴鞫事傳曰依前旨賜死
國朝人物志v3趨闕上曰目今危疑多端以光城府院君爲訓鍊大將卽入軍門枏與許堅承款伏誅尹鐫許積柳赫然次第就戮策勳賜奮忠效義炳幾協謀保社功臣號固辭上不許萬基眇一目丁卯卒贈領相諡文忠人物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