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완(李浣)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644FFFFB1602X0
자(字)징지(澄之)
호(號)매죽헌(梅竹軒)
시호(諡號)정익(貞翼)
생년1602(선조 35)
졸년1674(현종 15)
시대조선중기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무신 > 무신
이수일(李守一)

[상세내용]

이완(李浣)
1602년(선조 35)∼1674년(현종 15).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 인조반정공신 이수일(李守一)의 아들이다.
1. 가계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한 뒤 당시 인조반정공신의 한 사람이며 군사권을 장악하고 있던 이서(李曙)의 추천으로 처음 만포첨사(滿浦僉使)가 되었다.

1627년 영유현령을 거쳐 1629년 상원군수, 이듬해 숙천부사를 지내고 1631년 평안도병마절도사로 승진되었다.
2. 관직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도원수 김자점(金自點)별장(別將)으로 출전하여 정방산성(正方山城)을 지켰는데, 적을 동선령(洞仙嶺)으로 유인하여 복병으로 하여금 이를 크게 무찌르게 하여 공을 세웠다.

1638년 함경남도병마절도사로 옮겼다.

이듬해 7월 최명길(崔鳴吉)의 추천으로 동부승지의 내직으로 돌아왔으나 문신들의 많은 반대를 받았다.

1640년 황해병사로 있을 때 청나라의 요청에 의하여 주사대장(舟師大將) 임경업(林慶業)부장(副將)으로 명나라 공격에 나섰으나 이 사실을 명장에게 알려 종일토록 서로 싸웠으나 양쪽에 사상자가 나지 않았다 한다.

이듬해 8월에 돌아왔으나 청나라의 지탄을 받아 벼슬에 나아가지 못하였다.

1643년 4월 양주목사로 부임하였다가 5월 경기도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어사에 임명되어 수도 외곽의 방어에 전력하였다.

그뒤 공청도병마절도사(公淸道兵馬節度使)로 부임하였으나 내상을 당하여 칩거하였다. 인조 말년에 다시 어영대장으로 조정에 돌아왔다.

1649년 효종이 즉위한 이듬해 우포도대장으로 임명되었으나 형조와의 알력으로 한성우윤(漢城右尹)으로 옮겼다가 다시 호군(護軍)의 한직으로 밀려났다.

그가 한성우윤으로 재직할 때 당시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종이 금리(禁吏)를 구타한 사건이 일어났다고 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았으나, 효종은 그해 8월 오히려 어영대장으로 기용하고 12월에는 김자점의 모반사건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히려 포도대장을 겸하게 하였다.

효종인조 때 양차에 걸친 호란의 후유증을 수습하고 대청강경책을 표방하여 북벌을 위한 군비확충을 추진하던 때이므로 그를 북벌의 선봉부대인 어영청의 대장으로 임명한 것 같다.

어영군의 분번숙위제(分番宿衛制)를 확립하고 보인체제(保人體制)를 확립하여 어영청이 군영의 체모를 갖추게 하였으며, 안산(安山) 덕물도(德勿島)를 개간하여 둔전을 두고 강화도의 문호 방비에 진력하였다.

이듬해 11월 병조참판에 승진되었다.

1653년(효종 4) 11월 종래 훈척(勳戚)으로만 임명되던 훈련대장에 임명되어 현종 때까지 근 16년 동안 다른 자리로 옮기면서도 훈련대장만은 겸하였다.

즉 이듬해 7월에는 한성판윤, 1654년에는 공조판서로 승진되어 한때 천안군수 서변(徐忭)의 무고로 모역죄를 뒤집어 쓸 뻔하였으나 그해 7월 형조판서로 옮겨 앉는 등 판윤판서 등의 문관직에 있으면서 대개 효종대에 있어서는 훈련대장직을 겸하고 있었던 것 같으며, 1649년 4월 효종이 죽었을 때에도 한성판윤이면서 훈련대장으로 도감병을 동원하여 궁성을 호위하였다.

또한, 효종의 북벌계획에 깊이 관여하여 신무기의 제조, 성곽의 개수 및 신축 등으로 전쟁에 필요한 여러 대책을 강구하고 특히 포대(布袋)사용을 주장하여 시행하도록 하였다.

즉 당시 효종은 우리 군사들이 투구와 갑주가 없기 때문에 갑자기 적을 만나면 시석(矢石)을 막기 어렵다고 하여 목순(木楯: 나무로 만든 방패)을 쓰자고 한 데서 발단되었다.

이때 그는 목순을 가지고 다니기가 어려우니, 차라리 군사들로 하여금 큰 포대를 가지고 다니게 하여 전쟁이 일어나면 여기에다 흙을 담아 방어진지를 구축하도록 주장한 것이다.

현종 때에는 군비축소를 단행하여 북벌의지가 좌절되었으나 그는 판윤, 공조형조판서로 중용되었고 그러면서도 훈련대장만은 겸하였으며 때로 포도대장까지도 겸하고 있었다.

1666년(현종 7) 8월 판의금(判義禁)에 이르렀고, 그해 12월 병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병이 위중하고 또한 병조훈련도감을 겸할 수 없다고 사양하며 나아가지 않았다.

당시 실록을 편찬한 사관은 이러한 사실을 “사존사영(辭尊謝榮)하기란 옛 사람도 어려운데 무부(武夫)로서 능히 판단하였다. 권력을 탐하고 자격이 없으면서도 좋은 자리로 나아가려고 하는 문사(文士)들을 어떻게 보았겠는가?”라고 기록하였다.

그뒤에도 두 차례나 병조판서에 임명되었지만 끝내 나아가지 않고 훈련대장으로만 있었다.

1667년 정월 급료병으로 편제된 훈련도감을 없애고 어영군과 같이 호(戶)‧보(保)로 된 군영을 신설하려는 논의가 일어나자, 완강히 반대하여 훈련별대(訓鍊別隊: 금위영의 전신) 설치에 그치고 훈련도감의 폐지는 면할 수 있었다.

또한 정부 일각에서 강화도의 수군을 폐지하자는 의논이 일어났을 때에도 이는 실계(失計)라고 하여 끝내 자기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해 3월에는 왕이 온양에 가자 유도대장(留都大將)으로 도성을 지켰으나 성기(省記: 궁성을 경비하는 장수에게 교부하는 군호)문제로 병조와 다투어 파직되었다.

그러나 그해 7월 다시 포도대장으로 복귀하고, 뒤에 판윤형조판서병조판서 등에 임명되었으나 병이 위중하다고 번번이 벼슬을 사양하였다.

1671년 5월에 수어사(守禦使), 1674년 5월에는 우의정에 제수되었으나 그해 6월 군역변통에 대한 유소(遺疏)를 남기고 죽었다.
3. 평가
아버지 이수일과 마찬가지로 무장으로서 입신하여 효종송시열(宋時烈) 등과 함께 북벌에 집착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성품은 최명길의 말과 같이 강직하고 깨끗하며 용감하고 결단력이 있어 매사에 시시비비가 분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기의 뜻이 옳다고 생각할 때에는 국왕 앞에 병부를 풀어놓고 대들었으며 공사가 분명하였다.

반면, 매사에 심중한 일면도 있었으니 군교(軍校)나 서리들이 자기에게 품의할 일이 있으면 반드시 동료와 같이 와서 의논하게 하여 남의 의심을 사지 않으려 하였다.

1685년(숙종 11) 8월 정익(貞翼)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肅宗實錄
明陪臣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대표명이완(李浣)
성명이완(李浣)
시호정익(貞翼), 정익공(貞翼公)
징지(澄之)

성명 : "이완(李浣)"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淸人將攻錦州衛督令助兵朝廷以林慶業李浣爲將率舟師赴之
紀年便攷v21禎十二年命諸道恤鰥寡孤獨賑飢餒埋骴骼頒救荒撮要於中外○命禮曹抄擇志學而有行者使之恒留泮宮○淸徵舟師遣李浣林慶業等往赴之先是淸徵師將侵天朝遣柳琳林慶業等赴之以師不及期驅逐之是歲又徵師助攻登萊命浣等發舟師往赴
紀年便攷v21癸未二十一年崇禎十六年以李浣爲三道統禦使特加一資通信使尹順之趙絅等回自日本刷還壬辰被擄男女十三人命本道給衣食有親戚生存者亦幷給
紀年便攷v21李浣守一子李克健姪壻宣祖壬寅生字澄之學於從兄瀷年十五作詩曰鴨水傾爲酒遼山學作肴又曰樹如大纛高牙立雲似千兵
紀年便攷v23殲賊特加通政除彌串僉使賜錦緞以旌之丙子邊報日急衆推爲大將亦屢勝林慶業柳琳之行以先鋒斥堠將偕往又於慶業李浣之行以中營將偕往出奇制勝有不忘尊周之義再爲彌串再爲宣沙僉使甲申龍川人聞大砲之聲出西海礪器未能的知砲聲
紀年便攷v23子世器字信用孝宗辛卯登武科李浣一見許以干城曰眞虎父虎子也以南兵使未老而退逍遙海山間襲封鶴林君年五十五卒
紀年便攷v23金汝水完子宣祖庚子生字水哉仁祖甲子魁武科官止捕將襲封海城君李浣曰文能綏敵武能匡國惟金汝水爲然顯宗庚戌卒年七十一贈戶判
紀年便攷v24李尙敬琢子登武科仁祖丁丑侍從世子于瀋陽忠義功節與林慶業李浣及斥和諸臣相上下八典州郡九握梱節官止統制使淸白廉謹事載國乘顯宗甲寅卒年六十玄孫柱國見下
紀年便攷v25甲午五年順治十一年以李浣爲訓鍊大將初上密問於領議政鄭太和曰訓將具仁厚老不堪任誰可代者太和以浣對上卽拜浣爲訓將一日上夜召浣入臥
紀年便攷v25柳赫然孝傑子南以興外孫光海丙辰生字晦甫號野堂仁祖甲申登武科以文筆名于世被李浣別薦歷黃兵忠兵北兵統使與李浣際遇孝廟密勿訏謨嘗赴西防有詩曰獰風驅雪曉來深寒透將軍病臥衾平明強起彈弓坐
紀年便攷v25柳赫然孝傑子南以興外孫光海丙辰生字晦甫號野堂仁祖甲申登武科以文筆名于世被李浣別薦歷黃兵忠兵北兵統使與李浣際遇孝廟密勿訏謨嘗赴西防有詩曰獰風驅雪曉來深寒透將軍病臥衾平明強起彈弓坐猶有陰山大獵心其勵志如此登壇
紀年便攷v25至引疾不出迎觀察使閔維重雖罷之常稱其志節炳然每曰吾因宋公時烈得奉孝宗密旨馬革裹屍素志也嘗莅藩五年而歸李浣以數斛穀預置其家曰此公還家夕炊亦難矣肅宗辛酉卒年五十七以原從功贈刑判李縡稱其烈曰中原千古一武穆我東一
紀年便攷v25柳炳然忠傑子仁祖乙丑生字文叔戊子登武科除宣傳官歷南兵使捕將統使官止副摠管被李浣將薦背涅精忠報國四字人皆不知及其浴屍而始見之爲宣川府使時會淸使至引疾不出迎觀察使閔維重雖罷之常稱其志
紀年便攷v25岦宣傳官代領其衆多戰捷功歷昌城釜山甲山長湍肅川永興黃兵全兵南兵北兵使陞嘉善再任南梱宋時烈選文文武全才李浣等五人東岦居其一由副摠管爲平兵以訓中除摠戎使顯宗壬寅卒年六十二
紀年便攷v26従訓鍊大将李浣之請也
紀年便攷v26是戶曺判書李慶億言漕船至安興前洋輒臭載今若醫掘後港以通漕路便也上即命慶億徃審形便慶億歸言掘之便鄭太和李浣以為不可由是掘浦之議遂寝乃命禮曺判書金佐明徃相其設倉䖏佐明歸言其不便宋時烈獨以為聖意為惜人命有此設倉
紀年便攷v26李浣見仁祖朝将臣文䚘
紀年便攷v26李浣
紀年便攷v26而逍遥海曲今之謀國政者可知已吾善賈者也其銀足以市九王之頭然投之海中而来者無所可用故耳卞太息而去卞素與李浣善浣時帯御營大将甞與言委巷閭閻之中亦有奇才可與共大事者乎卞具言許生浣大驚曰奇哉其名云何卞曰與居三年終
東國歷代總目v02卒年八十四諡文敬戊戌行大同法於全羅道○徵宋時烈爲吏曹判書宋浚吉爲大司憲○上復任儒賢使與相臣鄭太和大將李浣圖議北伐浚吉尋陞兵曹判書
記聞v1卽位十五年昇遐壽三十四○相鄭維城洪命夏許積緣坐賜死鄭致和宋時烈洪重普金壽恒李慶億金壽興鄭知和李浣武○配判樞文簡公趙絅追黜兼兵判忠肅公金佐明領相翼靖公鄭太和追配○主文金壽恒文谷趙復陽松谷金萬基李端夏
紫橋小藏v1悖之文字橫加大臣惟意所欲若不明正其罪無以杜讒慝而嚴隄防請遠竄不允金始煥罷職諸臺蔡膺福掌令宋必恒執義李浣掌李廷熽持平處置出仕醜詆之言不足掛齒云云依啓○修撰洪鉉輔疏略臣雖自畫於進講之任其口亦能言也金始煥初
紫橋小藏v1後已豈不大可畏哉末請禮致權判府事答曰權判府事道德予嘗宗仰可不留意金始煥事已言于臺臣之批矣○掌令李浣論金始煥疏與蔡疏大同而末云始煥之負犯非常而承宣李世瑾之疏乃以罷職之命謂之慰安大臣說出遽下二字顯有陰
紫橋小藏v1義之方全不知爲何事惟務黨同伐異不顧事理是非云云答批有曰前上疏辭誠國體斷斷無他意外侵斥誠不滿一哂○掌令李浣啓金始煥請討實出公議豈但爲大臣地而李世瑾挺身遮攔遊辭營救臣疏所斥蓋出於此而未安之敎何敢晏然例批
紫橋小藏v1承宣反請顯斥沮擊言者之習不可不規警草草臚列矣尙不自反云云例批○玉堂箚請諸臺李廷熽持宋必恒執李德壽持李浣掌洪龍祚正任泂司蔡膺福掌出仕趙聖復納遞差
紫橋小藏v1○二十一日兵判崔錫恒以掌令李浣院疏言金始煥配所事陳疏答曰未徹之疏不必爲嫌調理行公毋使大政遷就
紫橋小藏v1安爲敎纔及周年又有西銓之命伊時委折大略如斯若其所謂阿好闒茸者誰某見棄公議者何人云云正言李廷熽之疏掌令李浣之避拳踢迭出臣若不早引退則未知危井駭機至於何境云云答曰此等所習予實痛惋決不可以此引入中其逐去之計卿以
紫橋小藏v1大憲洪啓迪執義洪龍祚掌令宋道涵李浣大諫兪崇正言李聖龍校理申昉
紫橋小藏v1云云答曰箚辭得宜依施焉三十日批下後以時任大臣無故行公只領左相命以九月初四備忘原任及宗班中備擬又因掌令李浣疏請依丁丑例以大臣○送領左相請對以左相單付○正言李廷熽三告遞司諫金橰就職○政院啓右相命召來納傳曰姑待
紫橋小藏v1後因李浣疏左相單付
紫橋小藏v1日答曰已悉於前批更何多言○掌令宋道涵正言李聖龍愼無逸皆以判樞金宇杭疏批中臺言過當之敎避嫌幷例批○掌令李浣疏請奏請使依丁丑例大臣充送事答曰已定於今日矣○領左相請對入侍奏請使礪山君枋改差以左相單付事及吏判崔
紫橋小藏v1掌令李浣申翊夏事
紫橋小藏v1李浣
歷代帝王紀年v01李廷龜聖徵月沙左相李堣松齋李浣淸之右相
國朝捷錄v01李 浣
武陞資錄 具仁垢 武左相壬午 李時白 蔭領相戊子 孝宗 李浣 武右相癸巳 顯宗 李汝發 武知中己酉 柳赫然
武陞資錄垢 訓丁丑 申景禋 武知敦癸未 黃瀗 武統制甲申 李浣 訓丙戌 金應海 武統制丁亥 孝宗 安澈 武兵使
御營廳抄謄錄n1-1책大將李浣
御營廳抄謄錄n1-1책順治七年孝宗朝元年大將李浣
御營廳抄謄錄n1-1책順治八年孝宗二年大將李浣申景琥
推刷都監儀軌n1-2책竝加資判 書洪命夏留守金汝鈺各熟馬一匹判書許積判尹李浣判 書尹綘各半熟馬一匹判書鄭維城‧申埈參判李時楷判
靑邱風雲v1相文翼公弟文谷鄭知和字禮卿太和從弟號南谷甲寅拜父廣敬祖昌衍曾維吉外閔有慶妻父安廷建李浣字淸之慶州人甲子副元帥甲寅拜父鷄林府院君守一祖鸞曾自琛外長原監貴年妻父鄭民救武諡貞翼
東國續修文獻錄v1錫甫號華谷慶州人文左相金壽興字起之號退憂堂壽恒兄文領相文翼鄭知和字禮卿號南谷昌衍孫文左相李浣字澄之慶州人武右相貞翼
國朝人物志v3而還時慶業坐罪謫鐵山庚辰春淸人請兵夾攻明錦州朝廷解配爲舟師上將慶業與副將李浣佯爲飄風送人于明通其應變之意六月次蓋州遇明船四十隻彼此去丸放銃去簇放矢良久相戰佯敗而還淸將
國朝人物志v3於王子體貌自別雖在異域不可從酒所終不赴上嘉其雅操終始眷注顯宗丁未拜右相陞左議政李浣語人曰一心奉公終始不怠吾立朝五十年唯見鄭相一人人物考
國朝人物志v3勳戚家子弟勸武汝哲以諸生應命顯宗朝由宣傳官登武科歷職內外上詢誰可將貞翼公李浣擧汝哲以對遂拜御營大將肅宗朝敍勳勞擢拜輔國判府事上在宥久道化成汝哲任國家心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